[Include(틀:북한의 일반철도 노선)] [목차] == 개요 == [[파일:attachment/금골선.jpg]] [[평라선]]의 지선으로, [[여해진역]]에서 단천 북부의 [[무학역]]에 이르는 철도. 83.4km == 상세 == 개통 당시에는 여룡선(汝龍線: 여해진~용양[* 현 [[백금산역]]])으로 불리었다. 2020년 지금은 북한에서는 금골선이라 부르고, 대한민국에서는 함남선이라고도 부른다. [[2001년]] [[KEDO]] 경수로 지원 사업 때 북한에서 ‘함남선’ 시찰을 허용한 적이 있는데 그게 바로 이 금골선 시찰을 허용한 것. 일제강점기에 용양역([[백금산역]])까지 개통하였고, 북쪽에서 추가로 광산이 개발, 발전되면서 무학역까지 연장되었다. 연선 지역은 마그네사이트, 아연, 납등 여러 자원이 매우 풍부하다.[* [[http://eduhope.net/commune/view.php?board=eduhope-850&id=21]]] [[허천선]]과 마찬가지로 부전령산맥 앞까지 다 왔기 때문에 더이상 연장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만약 연장을 하려면 똬리굴부터 시작해 상당한 난공사가 필요할 것이다. 백두산청년선과 잇는 방안도 있는데 그 사이가 산맥이고 터널로 뚫으면 10km나 된다. 대신 길주까지 우회해야 하는 기존 노선에 비해 혜산과 함흥 이남을 좀 더 빠르게 이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검토대상이 되긴 할 듯.[* 이대로 되면 기존 노선에 비해 '''30km'''를 단축한다.] 게다가 현재 백두산청년선이 통과하고 있는 [[길주역]]과 [[백암청년역]] 사이 구간은 [[풍계리 핵실험장]] 부근을 직접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방사능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 대체 노선을 지어야 할 수도 있는 상황상 충분히 건축 가능성이 있다. 물론 기존 금골선 구간의 개량도 필수적이다. 금골선은 여해진역에서 단천역 방향으로 연결된다. 길주역 방향으로 차를 돌리지 않고 가려면 [[두언선]]을 거쳐서 돌아가야 한다. 이 철도는 북한에서 전 지역이 한 시군[* [[단천시]]]내에 있는 노선중 가장 긴 철도이다. 원래는 지선철도이니 거점역인 단천역에서 열차를 갈아타야 했지만, 현재는 평양-금골(舊검덕) 간에 직통열차가 다닌다. 수십년 뒤에 건설된 북한에서 지은 구간의 노반이 불량하다고 한다.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6&aid=0000016491]]] 금골선만의 문제는 아니고 북한 철도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아이러니이긴 하다. 이 노선은 '''[[단천시]] 내부에서만''' 운행된다. 기점부터 종점까지 전부 단천시 안에서만 돌아다닌다. 거의 사실상 단천 지선철도라도 봐도 무방. == 역 목록 == ||<:>km||||<:>역명||<:>환승노선||<:>비고|| || 0.0||[[여해진역|여해진]] ||汝海津 ||[[평라선]], [[두언선]] || 기점 || || 1.2||[[천곡역|천 곡]] ||泉 谷 || || || || 5.5||[[답동역|답 동]] ||畓 洞 || || || || 14.1||[[광천역(금골선)|광 천]] ||廣 泉 || ||구 용잠역(龍岑驛) || || 23.3||[[동덕역|동 덕]] ||東 德 || ||구 함남광천역(咸南廣泉驛) || || 27.7||[[동암역(금골선)|동 암]] ||東 巖 || || || || 33.8||[[수촌역|수 촌]] ||水 村 || || || || 36.7||신 평 ||新 坪 || || || || 42.8||[[리파역|리 파]] ||梨 坡 || || || || 50.3||[[신증산역|신증산]] ||新甑山 || || || || 54.8||돈 산 |||| ||구 함남운송역(咸南雲松驛) || || 59.7||[[백금산역|백금산]] ||白金山 || ||구 용양역(龍陽驛) || || 63.4||[[금골역|금 골]] ||金 골 || || || || 66.3 ||신 덕 ||新 德 || || || || 68.9 ||대 신 ||大 新 || || || || 77.3 ||대 흥 ||大 興 || || || || 83.4||무 학 ||舞 鶴 || || 종점 || [각주] [[분류:금골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