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금관총)] [[파일:금관총 청동자루솥1.png]] [목차] == 개요 == 金冠塚 靑銅鐎斗.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 [[이사지왕]]의 무덤인 [[금관총]]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청동 자루솥.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파일:금관총 청동자루솥2.jpg]] 길이 46.5㎝. 높이 15.9㎝, 손잡이 길이 33.7㎝. 금관총 초두(鐎斗)라고도 부른다. 초두란 액체를 데우거나 끓일 때 사용하는 청동제 기물을 말한다. 1921년 [[금관총]]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유물로, 제작 연대는 함께 출토된 다른 유물들과 동일하게 5세기경(서기 400년대)으로 추정되고 있다. 당시 금관총에서는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금관총 금관]]을 시작으로 장신구류, 꾸미개류, [[말갖춤]]류, 무기류, 용기류 등의 신라시대 유물들이 약 4만여 점이나 출토되었다. 지금까지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출토된 청동그릇 가운데 가장 화려하고 아름답다고 평하는 사람들이 많다. 둥근 몸체에 [[말굽]]형의 긴 다리 세 개가 달려 있으며 몸체 위에 솥의 전과 같은 날개를 돌렸으며 뚜껑에는 복련(複蓮)의 꽃잎을 돋을새김으로 만들었다. 귀때는 용머리 모양으로 만들었으며, 이단(二段)으로 꺾인 손잡이의 양 끝에도 용머리가 장식되어 있다. 자루솥의 전을 [[덥석]] 물고 있는 듯한 모습의 용머리와 마치 혀를 내밀고 있는 듯 다섯 잎의 아름다운 인동문(忍冬文)잎사귀를 물고 있는 자루 끝의 용머리가 매우 사실적이면서도 기발하게 표현되어 있다. 주로 [[신라]]에서 발견되는 수준 높은 문화재로 이와 비슷한 양식의 초두가 [[황남대총]], [[서봉총]], [[식리총]], [[천마총]] 등에서도 다수 발견되었다. 특히 이 금관총 유물과 비교할 수 있을 만큼 완성도 높은 초두는 [[일본]] [[도쿄국립박물관]]에 단 하나만이 소장되어 있는데, 이는 [[경상남도]] [[합천]]에서 발견되어 [[일제강점기]] 때 유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금관총 출토품은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갖추고 있어, [[신라]]의 화려한 금속공예술을 대표하는 유물 중 하나로 평가된다. 특히 [[삼국시대]] 초두의 제작과 변화 과정을 고찰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 외부 링크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6969|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초두(鐎斗)]] * [[https://gyeongju.museum.go.kr/kor/html/sub04/0406.html?mode=V&dvs_code=&mng_no=430&GotoPage=2|국립경주박물관 큐레이터 추천 유물 : 자루솥]] * [[http://www.srbsm.co.kr/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281&idx=19110|서라벌 신문 : 금관총 출토 청동자루솥]] [[분류:신라의 공예]][[분류: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분류:경주시의 문화재]][[분류:금관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