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금융]] [목차] == 정의 == 금리 변동 시 금융회사의 금리민감 자산과 금리민감 부채의 가치가 변하면서 발생하는 자본과 이익의 변동성을 의미한다. 은행이 일반적으로 관리하는 주요한 리스크 중 하나이다.[* 흔히 은행이 관리하는 리스크의 종류로 BIS비율 산출 시 고려되는 신용리스크, 시장리스크, 운영리스크 등이 꼽히나, 은행은 이러한 리스크 외에도 금리리스크, 유동성리스크, 신용편중 리스크 등 다양한 리스크를 측정하고 관리한다. 은행 자체적으로 다양한 리스크를 측정하고 그 리스크 총량을 은행의 가용자본[* 회계상 자기자본과 다른 경우가 많다. BIS비율 산출 시 사용하는 자기자본이나 기본자본을 사용하기도 한다.]의 일정 수준 이내로 관리하는 것을 내부자본 리스크관리라고 한다.] == 측정 개요 == 바젤위원회는 2016년 4월 금융기관의 금리리스크 관리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표준화된 금리리스크 관리기준(이하 IRRBB[* Interest Rate in the Banking Book. 은행의 자산부채 계정을 트레이딩과 비트레이딩(은행계정)으로 나눈다고 할 때, 비트레이딩 계정에 대한 금리리스크 측정을 의미한다. 트레이딩 상품에 대한 금리리스크는 시장리스크 측정 시 고려한다.]로 명칭)을 발표하였다. 우리나라는 2019년 11월부터 은행권 금리리스크 관리에 이 기준을 적용하도록 관련 규정을 정비하였다. === IRRBB 주요 특징 === 1. 표준화된 금리리스크 지표 제시 금리리스크 측정 지표로서 자본변동(△EVE[* Economic Value of Equity, 자기자본의 경제적 가치 변동])와 이익변동(△NII[* Net Interest Income, 순이자이익 변동])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산출 방법을 제시하였다. 1. 금리민감 자산 및 부채의 현금흐름 산출방식 현실화 자산 및 부채의 현금흐름금액 산출 시 대출의 조기상환, 예수금의 중도해지 등을 고려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1. 금리충격 시나리오 다양화 총 6개의 시나리오(평행상승,평행하락,스티프너,플래트너,단기상승,단기하락)에 대하여 통화별/기간별 금리충격치를 제시했다. 1. 주의은행 선정기준 강화 금리리스크량이 은행의 BIS기본자본의 15%를 초과하는 경우 주의은행으로 선정하도록 하였다. 1. 공시 의무화 금리리스크 산출 및 관리에 있어 일관성, 투명성, 비교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표준화된 양식에 따라 공시할 것을 의무화하였다. == IRRBB에 따른 금리리스크 산출 방법 == IRRBB에서는 금리리스크 산출 단계를 크게 세 개의 단계로 구분한다. 금리리스크 대상 계정과목 분류, 현금흐름 표준화 여부 판별, 주요통화 선정 핵심예금비율 및 고객행동비율(대출의 조기상환율, 예수금의 중도해지율), 금리기간구조 산출 금리민감 자산 및 부채의 현금흐름, 통화별/만기구간별 할인율 계산 및 최종 금리리스크 지표값 산출 === 1단계 === ==== 금리리스크 대상 계정과목 분류 ==== 금리민감자산에는 대출, 예치금, 콜론 등이 있으며 금리민감부채에는 예수금, 차입금, 사채 등이 있다. 이 외에 금리스왑과 같은 파생상품도 포함된다. 현금이나 주식과 같은 비금리부 상품은 금리리스크 대상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 현금흐름 표준화 여부 판별 ==== IRRBB에서는 현금흐름을 표준화 적합/표준화 부적합/표준화 부분적합 포지션으로 구분한다. 표준화부적합 포지션은 비만기성 예금(요구불 예금 등), 또는 조기상환이나 중도해지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상품을 의미하며, 표준화 부분적합 포지션은 금리 관련 옵션이 있는 상품을 의미한다. 부적합 또는 부분적합 포지션에 해당되지 않으면 모두 표준화 적합 포지션으로 분류된다. ==== 주요 통화 선정 ==== IRRBB에서는 금리리스크를 주요 통화와 그렇지 않은 통화를 구분한 뒤, 통화별로 금리리스크를 산출한다. 어떤 통화의 금리민감포지션(난내 및 난외 항목 포함한 자산이나 부채 금액 중 큰 금액)이 금리민감자산의 5% 이상에 해당할 경우 해당 통화를 주요 통화로 선정한다. === 2단계 === ==== 핵심예금비율 산출 ==== 비만기성 예수금은 핵심예금[* 인출되지 않을 가능성이 큰 안정적인 예금 중에서도 금리 변동이 심할 경우에도 적용 금리가 개정될 가능성이 적은 예금]과 비핵심예금으로 구분하여야 한다. 이예 따라 전체 예금에서 핵심예금이 차지하는 비율인 핵심예금비율을 추정해야 한다. ==== 고객행동비율 산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