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금보유고(金保有高)는 주로 [[화폐]]의 가치 안정을 목적으로 [[중앙은행]]이 비축한 [[금]]의 양을 의미한다. == 국가별 금보유고 == || 순위 || 국가 || 금보유고 (t) || 외환보유고에서 금의 비중 || || 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8,133.5 || 66.3% || || 2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3,359.1 || 66.0% || || 3 || [[국제통화기금|국제통화기금(IMF)]] || 2,814.0 || 62.9% || || 4 ||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2,451.8 || 62.9% || || 5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2,436.4 || 57.8% || || 6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2,298.5 || 21.4% || || 7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1,948.3 || 3.3% || || 8 ||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 1,040.0 || 5.6% || || 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846.0 || 3.5% || || 10 ||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 || 754.1 || 6.9% || || 11 ||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 612.5 || 55.4% || || 12 || [[유럽중앙은행|[[파일:유럽중앙은행 로고.svg|width=25|유럽중앙은행]]]] [[유럽중앙은행]] || 504.8 || 34.3% || || 13 || [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 423.6 || 4.3% || || 14 || [include(틀:국기, 국명=카자흐스탄 )] || 402.4 || 68.3% || || 15 ||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 394.2 || 23.9% || || 16 || [include(틀:국기, 국명=포르투갈)] || 382.6 || 68.9% || || 17 || [include(틀:국기, 국명=우즈베키스탄 )] || 362.0 || 59.7% || || 18 || [include(틀:국기, 국명=사우디아라비아)] || 323.1 || 3.9% || || 19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310.3 || 68.9% || || 20 || [include(틀:국기, 국명=레바논)] || 286.8 || 9.3% || || 21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281.6 || 17.8% || || 22 ||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 280.0 || 48.0% || || 23 || [include(틀:국기, 국명=태국)] || 244.2 || 5.8% || || 24 || [include(틀:국기, 국명=폴란드)] || 230.8 || 8.1% || || 25 ||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 227.4 || 31.8% || || 26 || [include(틀:국기, 국명=알제리)] ||173.6 || 18.0% || || 27 || [include(틀:국기, 국명=베네수엘라)] || 161.2 || 82.9% || || 28 || [include(틀:국기, 국명=필리핀)] || 157.8 || 8.5% || || 29 || [include(틀:국기, 국명=싱가포르)] || 153.7 || 2.1% || ||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104.4[* 실물분을 전부 [[영란은행|영국 영란은행]] 내부의 금고에 보관하고 있다.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3060615170003681?dtype=1&dtypecode=5543cf65-465f-4daf-84bf-818bc602e286&did=NT&prnewsid=A2023060714060003447|#]] ] || 1.1[* 장부 내 가격 기준, 시가기준 1.4% ] || [[분류:금]][[분류:경제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