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망가타임 키라라 작품)] [include(틀:금빛 모자이크)] ||<-2>
{{{#ffcb08 {{{+2 ''' 금빛 ''' }}}{{{#000000 {{{+2 ''' 모자이크: 프리티 데이즈 ''' }}} (2016) [br]'''{{{#ffcb08 きんいろ}}}{{{#000000 モザイク Pretty Days}}}'''[br] '''{{{#ffcb08 Kin-iro}}} Mosaic: Pretty Days'''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inmozamovieposter.jpg|width=100%]]}}}|| ||<-2> {{{#000000,#000000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기타 키 비주얼 ▼ [[파일:movie_image (1).jpg|width=100%]]{{{#000000,#000000 스페셜 포스터}}}}}}}}}}}} || ||<-2> {{{#000000,#000000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작품 정보 ▼ ||
{{{#000000 '''장르''' }}} ||[[애니메이션]], [[드라마]], [[코미디]] || || {{{#000000 '''감독''' }}} ||[[타나카 모토키|텐쇼]] || || {{{#000000 '''각본''' }}} ||[[하라 유이]], [[타카하시 타츠야]] || || {{{#000000 '''원안''' }}} ||[[하라 유이]] || || {{{#000000 '''캐릭터 디자인''' }}} || || || {{{#000000 '''음악''' }}} || || || {{{#000000 '''음향''' }}} || || || {{{#000000 '''목소리 출연''' }}} ||[[니시 아스카]], [[타나카 마나미]], [[타네다 리사]], [[우치야마 유미]], [[토야마 나오]], [[타무라 유카리]], [[한 메구미]], [[무라카와 리에]], [[사토 사토미]], [[오오니시 사오리]], [[스와 아야카]] 외 || || {{{#000000 '''제작사''' }}} ||[[스튜디오 5조]] || || {{{#000000 '''수입사''' }}} ||[[퍼스트런]] || || {{{#000000 '''배급사''' }}} ||[[퍼스트런]] || || {{{#000000 '''개봉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2016년]] [[11월 1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2017년]] [[2월 16일]] || || {{{#000000 '''상영 시간''' }}} ||50분 || || {{{#000000 '''제작비''' }}} || || || {{{#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 || || {{{#000000 '''대한민국 총 관객수''' }}} ||4,709명 (최종) || || {{{#000000 '''스트리밍''' }}} ||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 상영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width=6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전체 관람가}}}]]''' || || '''{{{#373a3c,#373a3c 관련 사이트}}}''' ||[[http://kinmosa.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inmosa_anime, 크기=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6년]] [[11월]] [[일본]]에서 개봉한 [[금빛 모자이크]]의 [[극장판]] 애니메이션. [[대한민국]]에는 [[2017년]] [[2월 16일]] [[메가박스]]에서 단독으로 개봉하였다. 시리즈의 주인공 5명 중 [[코미치 아야]]가 실질적인 주인공인 편이다. 작중 학교 축제를 준비하는 바깥 이야기와 아야와 [[오오미야 시노부]], [[이노쿠마 요우코]]의 중3 수험생 시절을 다룬 안 이야기의 [[액자식 구성]]을 취했다. 작중 최초로 주인공들이 다니는 학교 이름이 현립 모에기(もえぎ) 고등학교임이 언급되었다. 포스터에는 풍어기[* 祭가 써진 깃발, 한국에는 흔히 풍어기로 알려졌으나 일본에서는 대어기라고 부른다.]가 그려져 있는데 한국에서는 이게 아무리 풍어기여도 [[욱일기]] 비슷한 마크만 나오면 논란이 일어나기 때문인지 욱일기가 연상될 수 없도록 수정했다. 원본은 노란색과 빨간색 선이 교차되는데 여기서 노란색 부분을 지워버린 것. [[페르소나 5|작품 자체에 우익 성향도 없고]] 내용이 외국인이 일본 문화를 체험하는 것들이 자주 나오는데다 일본 축제 등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전통적으로 써오던 풍어기였기 때문에 따로 논란은 없었다. [[http://livedoor.blogimg.jp/takebo416/imgs/4/6/46878246-s.jpg|일본 포스터]] == 개봉 전 정보 == == 예고편 == [youtube(zraP39GlVbI)] == 시놉시스 == 모에기 고등학교의 문화제를 코앞에 둔 어느 날, 여느 날처럼 아슬아슬하게 등교한 주인공 5인조가 잠시 대화를 나누던 중, 아야는 중학교 1학년 때 전학왔기에 자신이 모르던 소학교 시절을 회상하는 시노부와 요우코의 대화에 약간의 소외감을 느낀다. 축제 때 상영할 연극 각본과 의상 두 분야를 모두 담당하느라 바쁜 시노부를 돕기 위해, 휴일에 모인 5명의 주인공들. 그리고 그 곳에서, 시노부가 잠시 밖에 나간 사이에 앨리스와 카렌은 처참한 성적의 시노부가 어떻게 모에기 고등학교에 합격했는지 궁금해 하고, 요우코는 이들에게 중3 입시생 시절 이야기를 들려주며, 이를 들으며 아야는 그 시절을 회상하는데.... == 등장인물/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금빛 모자이크/등장인물)]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5988680, user=5.3)]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kiniro-mosaic-pretty-days, user=3.4)]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998518, user=없음)]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56132, user=4.03)]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47031, user=없음)]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6823819, user=7.4)]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VvQDR, user=2.7)]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4157, light=없음)]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58224, expert=없음, audience=9.06, user=7.98)]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09414, expert=없음, user=5.1)]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38776, user=4.1)]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33034, user=7.52)] 중학교 [[내신]] 성적이 저조한 시노부와 요우코가 [[고입선발고사]]에서 아야의 특훈으로 모에기 고등학교에 합격하게 되는 사연이 [[일반계 고등학교]] 합격자들과 고등학교 입시를 준비중인 중3들에게 큰 공감을 샀다. == 흥행 ==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관람 인원}}}''' || '''{{{#ffffff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0명 || 0명 || -위 || 0원 || 0원 || ||<|7> {{{#ffffff 1주차}}} ||2017-02-16. 1일차(목) || 1,023명 ||<|7> 3,339명 || 21위 || 7,399,500원 ||<|7> 24,767,000원 || ||2017-02-17. 2일차(금) || 443명 || 24위 || 3,455,000원 || ||2017-02-18. 3일차(토) || 610명 || 23위 || 4,668,000원 || ||2017-02-19. 4일차(일) || 498명 || 24위 || 3,899,000원 || ||2017-02-20. 5일차(월) || 303명 || 30위 || 2,205,500원 || ||2017-02-21. 6일차(화) || 264명 || 30위 || 1,784,000원 || ||2017-02-22. 7일차(수) || 198명 || 41위 || 1,356,000원 || ||<|7> {{{#ffffff 2주차}}} ||2017-02-23. 8일차(목) || 158명 ||<|7> 1,000명 || 43위 || 1,093,000원 ||<|7> 7,047,500원 || ||2017-02-24. 9일차(금) || 125명 || 47위 || 1,001,000원 || ||2017-02-25. 10일차(토) || 160명 || 43위 || 1,123,000원 || ||2017-02-26. 11일차(일) || 189명 || 40위 || 1,375,000원 || ||2017-02-27. 12일차(월) || 113명 || 50위 || 738,000원 || ||2017-02-28. 13일차(화) || 127명 || 50위 || 821,000원 || ||2017-03-01. 14일차(수) || 128명 || 43위 || 896,500원 || ||<|7> {{{#ffffff 3주차}}} ||2017-03-02. 15일차(목) || 47명 ||<|7> 350명 || 54위 || 351,000원 ||<|7> 2,335,000원 || ||2017-03-03. 16일차(금) || 54명 || 60위 || 378,000원 || ||2017-03-04. 17일차(토) || 96명 || 49위 || 625,000원 || ||2017-03-05. 18일차(일) || 107명 || 46위 || 685,000원 || ||2017-03-06. 19일차(월) || 27명 || 56위 || 166,000원 || ||2017-03-07. 20일차(화) || 18명 || 67위 || 124,000원 || ||2017-03-08. 21일차(수) || 1명 || 99위 || 6,000원 || ||<|7> {{{#ffffff 4주차}}} ||2017-03-09. 22일차(목) || 7명 ||<|7> 14명 || 86위 || 42,000원 ||<|7> 85,000원 || ||2017-03-10. 23일차(금) || 3명 || 87위 || 16,000원 || ||2017-03-11. 24일차(토) || 1명 || 106위 || 5,000원 || ||2017-03-12. 25일차(일) || 3명 || 94위 || 22,000원 || ||2017-03-13. 26일차(월) || -명 || -위 || -원 || ||2017-03-14. 27일차(화) || -명 || -위 || -원 || ||2017-03-15. 28일차(수) || -명 || -위 || -원 || ||<|4> {{{#ffffff 5주차}}} ||2017-03-16. 29일차(목) || 2명 ||<|4> 6명 || 96위 || 10,000원 ||<|4> 31,000원 || ||2017-03-17. 30일차(금) || -명 || -위 || -원 || ||2017-03-18. 31일차(토) || 1명 || 110위 || 7,000원 || ||2017-03-19. 32일차(일) || 3명 || 104위 || 14,000원 || || '''{{{#ffffff 합계 }}}''' ||<-6> '''누적 관객수 4,709명, 누적 매출액 34,265,500원'''[* ~ 2017/03/19 기준] || 결론부터 말하자면, '''망했다.''' 메가박스 측에서 여러모로 띄워준 것 치곤, 개봉 첫날 20위 안에도 들지 못하며 완패했다. 같은 [[제한적 상영]]작인 [[극장판 슈타인즈 게이트: 부하영역의 데자뷰]], [[극장판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도 근소한 차이로 이기지 못하였다. [[극장판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신편] 반역의 이야기]]가 2018년 3월에 정식 개봉하면서 11일차에 누적 관객 4,760명을 달성해 두번 죽였다. 개봉 첫날에 10위권 안에 못 들면 상공하기 힘들기에, 시작부터 20위권 밖이라면 가망이 없다. [[작품은 좋았다|작품 자체를 못 만들어서 욕먹는다기 보다는]], TVA를 꾸준히 챙겨 본 사람들만이 볼 마이너한 작품의 한계가 흥행 실패를 불러왔다고 봐야 한다. 수는 적지만, 극장판을 시청한 국내 관객들의 반응은 대부분 호평 일색이며, 전편 TV판을 보지 않은 사람들에겐 먹히기 어려운 작품이라는 한계를 지적하는 편이다. [[일상물]]이라는 장르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 어렵고, 금빛 모자이크라는 원작이 국내에 팬층이 두꺼운 편이 아니라, 충성도는 높은 편이라도 관객 숫자는 적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여러모로 [[오푸나]], [[프랙탈]] 같은 작품. 메가박스 측에서 신경을 꽤 쓰긴 했는지, 작품 규모 대비 적극적인 마케팅을 한 편이고, 자막 처리에도 공을 들인 흔적이 보인다. 현지 BD 발매 예정일보다 빠른 2017년 2월 28일부터 일부 VOD 서비스에 동시 개봉으로 풀리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3월 14일부터 가격이 조정되었다. === [[일본]] === 청소년 및 어른들이 주요 관람객인 한국과는 달리 일본에서는 어린이 관객들이 가족들을 동반해 많이 관람했다고 한다. 그 덕분에 상영관에서만 9500만엔을 벌었다. == 기타 == * 개봉 첫 주차에 관람 시 특전이 제공됐다. 티켓 한 장당 캐릭터 클리어파일 5종(시노부, 앨리스, 아야, 요우코, 카렌)과 스페셜 포스터 한 장을 증정한다. 캐릭터 클리어파일은 1종 무작위로 제공하며, 원칙적으로는 교환이 불가능하다. 스페셜 포스터는 퀄리티는 준수한 편이며 크기도 제법 크다. 한국어로 적혀있지 않으며, 일본어로 적혀있다. 그러나 포스터에 적힌 캐스트, 스태프 명단이 금빛 모자이크가 아니라 [[Rewrite/애니메이션|Rewrite]]의 [[https://twitter.com/asahina_mmk/status/832082374510903296|그것으로 되어있다.]] 심지어 우측 하단에는 Rewrite의 사이트까지 금빛으로 적혔다. 감독이 둘다 텐쇼라 제작시에 착각하고 넣은 듯. [[파일:kinmozamoviespecial.jpg|width=500]] * 개봉 2주차에 관람시에도 특전이 제공됐다. 캐릭터 마그네트가 지급되는데 1주차와 마찬가지로 티켓 한장당 무작위로 지급되며 교환이 불가능하다. 개봉 3주차에도 특전이 제공되었는데 영남권 개봉관에는 전혀 배포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가장 늦게 개봉이 완료되는 곳이 영남권이라는 것이 이채롭다. [[파일:금빛모자이크2주차특전.jpg|width=500]] * 2016년 9월부터 요양중인 [[타네다 리사]]가 2017년 3월 3일 일본에서 발매된 블루레이 오디오 코멘터리 녹음에 참여했다. [[우치야마 유미]]의 "극장에서 열 번 이상 본 사람도 있었다더라"는 발언이나 [[토야마 나오]]가 무대인사에서 춘 '안절부절 댄스(そわそわダンス)' 이야기를 한 것, 또 '처음에는 [[도쿄]]부터 시작해서 점점 개봉관이 늘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으로 보아 녹음 일자는 '''2016년 11월 14일 이후'''일 가능성이 크다.(공식 웹사이트 공지사항 참조) 단 2017년 3월 7일 현재 타네다 리사가 2분기(4월)부터 방영한 애니메이션에 참여했다는 소식은 없다. * 블루레이 초회 한정판 특전에 들어간 콘티집을 보면 콘티가 완성된 날짜가 2015년 8월로 적혀 있다. 최소한 극장판 공개 계획은 이 시기부터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2021년]] [[10월 14일]], 뜬금없이 TV 최초를 내걸고 [[OCN Movies]] 채널에서 새벽 3시 20분에 방영했다. [[분류:금빛 모자이크/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6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