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북한의 공장]][[분류:북한의 자동차 제조사]] [include(틀:북한의 산업시설)]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평안남도|{{{#white 평안남도}}}]]의 [[공장|{{{#white 공장}}}]]'''}}}[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북한|[[파일:북한 국장.svg|height=60]]]]||'''{{{+1 금성뜨락또르종합공장[br]金星뜨락또르綜合工場}}}[br]{{{-2 Kumsong Tractor Factory}}}'''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금성뜨락또르종합공장.jpg |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금성뜨락또르종합공장 트랙터.jpg|width=100%]]}}} || ||<-2> {{{-1 '''▲ 금성뜨락또르종합공장의 모습'''}}} || || '''설립''' ||[[1953년]] {{{-2 (사실상 / 평양농기구제작소)}}}[br][[1973년]] [[7월]] {{{-2 (공식 / 금성뜨락또르공장)}}} || || '''연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평양농기구제작소 {{{-2 (1953~?)}}}[br]기양기계공장 {{{-2 (?~1959)}}}[br]기양뜨락또르공장 {{{-2 (1959~1973)}}}[br]금성뜨락또르공장 {{{-2 (1973~?)}}}[br]금성뜨락또르종합공장 {{{-2 (?~ )}}}}}} || || '''규모''' ||{{{-2 면적}}} 1.32㎢ || || '''수용인원''' ||10,000명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8.91181616071306%2c125.5267013783775&zoom=11, 타입=satellite,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D1C27; color: white" '''금성뜨락또르종합공장'''}}} {{{-2 ([[남포시]] [[강서구역]] 기양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공장]]. [[남포시]] [[강서구역]]에 있는 북한 최대의 [[트랙터]] 생산 공장이다. 이름 중 '뜨락또르(трактор)'는 [[러시아어]]로 '[[트랙터]]'를 의미한다. 이 공장의 부지 면적은 132만㎡ (약 40만 평) 이고, 이 회사의 대표적인 모델은 '천리마' 가 있다. == 역사 == || [[통일전망대(MBC)|[[파일:통일전망대 MBC 로고.png|width=40]] [[파일:김팀장의 북한 확대경.png|width=6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Jr47SNPEr0, width=100%)]}}} || || '''“농기계는 무장장비” 역설계 북한 뜨락또르[br](2023년 8월 10일 공개분)''' || 1953년 설립 당시 간단한 농기구를 생산하는 '평양농기구제작소' 가 모태가 되어 기양 기계 공장으로 성장하였고 1959년 일부 기계 설비와 재배치와 증설을 개하고 회사의 명칭을 '기양뜨락또르공장' 으로 변경했다. 1963년~1964년에는 건평 3만m^^2^^의 대형 가공 조립 직장을 건설히였으며, 1971년부터는 대대적인 확장 공사를 추진하여 자동화와 원격조종화가 이루어져 있는 1973년 7월 연산 3만대 수준의 생산 시설을 확보하고 회사의 명칭을 지금의 '금성뜨락또르공장' 으로 개칭했다. 1970년대~1990년대를 거쳐 주물 공정의 자동화가 활발하게 이루워지고 있었지만, 1990년대 중반 소위 고난의 행군 시기를 거치면서 공장 가동이 어려워졌으며 이 당시 명칭 또한 '종합공장' 에서 '공장' 으로 변경했다. 2000년대 이후를 거치면서 이렇 듯 생산 반영에도 변화가 있어 선전 매체를 통해 보도된 조직을 기준으로 하면 가공 종합공장 직장 혹은 가공 분공장이 해체되었으며 엔진분공장, 자동화 요소 분공장이 단순 직장으로 변경되는 등 과거의 전성기를 뒤로하고 암흑기를 격었다.[* 특히 여타 분공장들이 공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작장 전환내지는 기존 직장에 통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후 2000년대 후반 시기에는 정상 가동이 되어 과거의 암흑기를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2009년에는 김정은이 현지지도를 왔으며 2017년에는 김정은 현지지도를 와서 개건 현대화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로붓화와 특히 무인화를 실천하려고 개건 현대화의 명령을 주어 결국 지금 도색하고 많은 개건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