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1 폐역}}}}}}''' || [[영등포역|{{{#000000,#fff 영등포}}}]] - --[[박람회역|[ruby(박람회, ruby=~1968)]]]-- - '''시흥''' - --[[안양풀장역|[ruby(안양풀장, ruby=~1969)]]]-- - [[안양역|{{{#000000,#fff 안양}}}]] || ||<-3> {{{+2 '''금천구청역'''}}} || ||<-3>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30]]]] || || [[광운대역|{{{-1 {{{#585858,#cccccc 광운대 방면}}}}}}]][br][[독산역|독 산]][br]← 1.2 ㎞ || [[수도권 전철 1호선|{{{-1 {{{#fff 1호선[br](P144)}}}}}}]] || {{{-2 [[서동탄역|{{{#585858,#cccccc 서동탄}}}]][[신창역|{{{#585858,#cccccc ·신창 방면}}}]]}}}[br][[석수역|석 수]][br]2.3 ㎞ → || || [[청량리역|{{{-1 {{{#585858,#cccccc 청량리 방면}}}}}}]][br][[가산디지털단지역|{{{-1 가산디지털단지}}}]][br]← 3.2 ㎞ || [[천안급행 A|{{{-1 {{{#fff 1호선[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0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경부선 급행 A)]}}}}}}]] || [[신창역|{{{-1 {{{#585858,#cccccc 신창 방면}}}}}}]][br][[안양역|안 양]][br]6.6 ㎞ → || || [[서울역|{{{-1 {{{#585858,#cccccc 서울 방면}}}}}}]][br][[영등포역|영등포]][br]← 8.2 ㎞ || [[천안급행 B|{{{-1 {{{#fff 1호선[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8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경부선 급행 B)]}}}}}}]] || [[천안역|{{{-1 {{{#585858,#cccccc 천안 방면}}}}}}]][br][[안양역|안 양]][br]6.6 ㎞ → || || [[영등포역|{{{-1 {{{#585858,#cccccc 영등포 방면}}}}}}]][br][[독산역|독 산]][br]← 1.2 ㎞ || [[수도권 전철 1호선/광명셔틀|{{{-1 {{{#fff 1호선[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249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광명셔틀)]}}}}}}]] || [[광명역|{{{-1 {{{#585858,#cccccc 광명 방면}}}}}}]][br][[광명역|광 명]][br]4.7 ㎞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금천구청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Geumcheon-gu Office || || [[한자]] ||<-2> 衿川區廳 || || [[간체자]] ||<-2> 衿川区厅 || || [[가나(문자)|가나]] ||<-2> [ruby(衿川区庁, ruby=クムチョングチョン)]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대로(서울)|시흥대로63길]] 91[br]([[시흥동(서울)|시흥동]] 113-55) || ||<-3> '''관리역 등급''' || ||<-3> [[보통역]] / 3급[br]([[구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수도권광역본부) || ||<-3> '''운영 기관''' || || [[경부선]] ||<-2><|2> [[한국철도공사]] || || [[경부고속선]] || ||<-3> '''개업일''' || || [[경부선]] ||<-2> 1908년 4월 1일 || || [[수도권 전철 1호선|{{{#fff 1호선}}}]] ||<-2> 1974년 8월 15일 || || [[경부고속선]] ||<-2> 2004년 4월 1일 || ||<-3> '''역사 구조''' || ||<-3>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3> '''승강장 구조''' || ||<-3> 2면 6선 [[쌍섬식 승강장]] (승강장 횡단 가능) || ||<-3> '''철도거리표''' || || [[서울역|{{{-1 {{{#585858,#cccccc 서울 방면}}}}}}]][br][[독산역|독 산]][br]← 1.2 ㎞ || '''[[경부선]]'''[br]금천구청 || [[부산역|{{{-1 {{{#585858,#cccccc 부산 방면}}}}}}]][br][[석수역|석 수]][br]2.3 ㎞ → || || {{{-1 {{{#585858,#cccccc 기점}}}}}} || '''[[경부고속선]]'''[br]시흥연결선[br][* 경부선 기점 17.7㎞ 지점] || [[부산역|{{{-1 {{{#585858,#cccccc 부산 방면}}}}}}]][br][[광명역|광 명]][br]4.3 ㎞ → ||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금천구청역.png|width=100%]]}}} || || '''현 역사(1981년 준공)''' || || [[파일:금천구청역 스탬프.jpg|width=150]] ||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벚꽃십리길을 소재로 했으며, 2014년에 스터디투어의 일환으로 만들었다. || '''금천구청역'''(Geumcheon-gu Office station, 衿川區廳驛)은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대로(서울)|시흥대로63길]] 91([[시흥동(서울)|시흥동]] 113-55)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P144번)의 [[전철역]]이다. 관리등급은 3급이다.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금천구청역 1호선.jpg|width=100%]]}}} || || '''맞이방''' || 1974년에 [[경부선]] 서울 - 수원 구간 전철화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가 정차하기 시작했으며, 1990년대까지 [[비둘기호]], [[통일호]] 등의 완행열차도 일부 정차했다. 그러나 1999년 6월 1일에 [[군포역]], [[부곡역]]과 함께 일반열차 취급이 중단되었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서울 - 수원 급행열차(현재의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2|경부선 급행 B]])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이 역부터 [[경부고속선]]이 시작된다. 남쪽에 있는 시흥연결선의 연결선(경부선) 지점에서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이 나뉘어 총 3복선이 된 뒤에 중앙의 지하터널은 [[광명역]]으로 연결되고, 나머지는 [[석수역]]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수원 경유 편성을 제외한 모든 KTX, 광명셔틀 전동차는 바로 경부고속선으로 빠지며,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일반열차는 분기해서 안양역, 평택역 방향으로 향한다. 남쪽에 설치된 고속선/기존선 분기기는 F26 분기기로 기존선에서 제한속도가 가장 높은 130km/h로 설정되어 있다. 하지만 하행은 기존선 80km/h 제한이 붙고, 상행도 궤도 문제로 80km/h 제한이 붙어서 제대로 쓰지 못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설치 전까지 계단 구조는 역안 [[스토리웨이]]와 개찰구가 같은 층인데도 불구하고 중간에 계단 한 칸이 또 있었다. 엘리베이터 설치와 함께 스토리웨이 쪽 계단을 올려서 출구마저 한 칸 더 올라오게 하였다. 카페 앞에 흔적이 남아 있다. 과거에는 계단 근처 작은 상점이 있었지만 지금은 철거되고 자판기가 들어섰다. 그외에 1층 화장실 자리에도 작은 분식점이 있었지만 철거되고 화장실이 그 자리에 확장되었다. 2006년에 [[수도권 전철 1호선/광명셔틀|광명셔틀]]이 개통하면서 같은 노선 환승역이 되었다. 2019년에 1층 화장실에 바로 이어서 승차장으로 가는 계단과 복도도 개수했다. 이 화장실은 승강장에서 개찰구로 나와 찾아도 안 보이고, 바깥으로 계단을 내려와 역 건물 입구에 화장실이 있다. 서울에서 자살사고가 많은 역으로 유명했다. 서울지역 전철역 대부분에 [[스크린도어]]가 있을 때에도 이 역은 없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49&aid=0000046458|「서울 금천구청역서 20대 男 전동차 투신」]], 채널A, 2015-01-2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1757676|「지하철 1호선 금천구청역서 中국적 50대男 선로에 투신 사망」]], 뉴스1, 2015-11-27] [[2016년]]에 외선쪽에 스크린도어가 완공되어서 가동했다. 정작 많은 열차들이 통과하는 내선 쪽에는 2020년 4월 전까지 쇠사슬만 쳐놓았었다. 4월에 설치를 시작했고 2020년 12월에 완료되어서 가동했다. 2019년 하반기에 1호선 급행화를 위해서 대피선을 설치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2&aid=0003290365|「2019년 서울∼천안 급행전철 추가 운행」]], 세계일보, 2018-07-19] 기존 경부2선(전철선로) 바깥쪽에 설치해서 2019년 12월 30일부터 [[금정역]] 정차와 더불어 급행 배차시간이 50분에서 30분으로 줄었다. 이 역의 대피선을 사용하는 정규 열차는 없으며, 열차 지연 등 특수한 상황에만 사용한다. 청량리급행 신설 초기에는 이 역에서 대피하는 열차가 정규 시간표 상으로 존재하였으나, 이 역이 급행열차가 급행운전을 시작/종료하는 역([[가산디지털단지역]])과 너무 가까워서 시간표 상의 문제가 생겨 2020년 3월 23일부터 평일 정규 대피열차가 사라졌으며, 2020년 6월부터 휴일에도 대피열차가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급행열차는 평일에만 10회 정차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1|청량리-천안·신창 급행]]({{{#red A급행}}})은 상행 3회, 하행 4회 정차하며,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2|서울역-천안·신창 급행]]({{{#090 B급행}}})은 출근시간 상행 2회, 퇴근시간 하행 1회 정차한다. ||<-2> '''금천구청역[br][[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white 급행열차}}}]] 시간표'''[br]{{{-2 (2023년 6월 기준)}}} || || 상행 || 하행 || || '''06:58''' [[서울역]]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2|{{{#090 B}}}]] || '''07:13''' [[천안역|천안]]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1|{{{#red A}}}]] || || '''07:48''' [[서울역]]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2|{{{#090 B}}}]] || '''07:52''' [[천안역|천안]]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1|{{{#red A}}}]] || || '''08:53''' [[청량리역|청량리]]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1|{{{#red A}}}]] || '''18:05''' [[신창역|신창]]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1|{{{#red A}}}]] || || '''19:50''' [[청량리역|청량리]]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1|{{{#red A}}}]] || '''18:38''' [[천안역|천안]]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2|{{{#090 B}}}]] || || '''20:46''' [[청량리역|청량리]]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1|{{{#red A}}}]] || '''19:36''' [[천안역|천안]]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1|{{{#red A}}}]]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부선 공용구간(가산디지털단지-금천구청 구간)에서 하행(신창(서동탄)/광명 방면) 열차를 잘못 탔을 경우 이 역이 환승 가능한 마지막 역이다. 이 역을 마지막으로 신창/천안/서동탄 방향은 [[석수역]]으로, 광명 방향은 [[광명역]]으로 갈라져 나가며, 두 노선 모두 해당 구간에서의 배차간격이 다소 길기 때문에 이 역에서마저 환승하지 못했을 경우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광명역은 역 구조상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이 불가능하다. 기관사도 도착 전 해당 내용을 방송하고 있다. === 역사[[재건축]](복합역사 신축) === [[파일:AKR20200518081800063_01_i_P4.jpg]] 현재 역사는 [[1981년]]에 지어진, 40년이 넘은 낡은 건물이다. 이 때문에 [[2020년]] [[5월 18일]] [[한국철도공사]]에서 역사 [[재건축]]사업을 발주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1615732|「수도권 전철 금천구청역 복합역사 개발 사업자 공모」]], 연합뉴스, 2020-05-18] 한국철도공사쪽은 [[국토교통부]], [[한국토지주택공사]], [[금천구]]와 협의해서 사업을 진행한다. 사업신청서 접수일은 [[2020년]] [[8월 17일]]이다. 연면적 900㎡짜리 작은 역사가 연면적 18,000㎡짜리로 탈바꿈한다. 재건축하면서 상업시설도 들어서고 청년층용 [[행복주택]] 230세대를 건설한다. === 역명 변경 === ||[[파일:external/pds26.egloos.com/c0209256_588951ec90d71.jpg|width=100%]]|| [[파일:(구) 시흥역 역명판.jpg|width=100%]] || || 역명이 바뀌기 전인 [[2004년]] 모습 || 광명역 연장 후인 [[2008년]] 모습 || [[1908년]]에 개업했을 때에는 여기가 [[시흥군]]의 중심이었다. 이 때문에 '시흥역'이 되었는데, 정작 개통 3년 만에 군청을 [[영등포구|영등포]]로 옮겨서 중심지 또한 영등포로 옮겨졌다. [[경성부]]가 [[1936년]]에 편입한 [[영등포]] 지역을 중심으로 꾸준하게 팽창하면서 시흥군 영역이 점차 줄어들었었다. 1962년 12월에 서울대확장으로 인해서 시흥역이 자리한 [[시흥동(서울)|시흥동]]까지 [[서울시]]로 편입되었고, 결과로 시흥군에 없는 시흥역이 되었다. 시흥군은 [[안양시]], [[광명시]], [[과천시]], [[안산시]], [[의왕시]], [[군포시]]가 분리되고 남은 지역을 모아서 1989년에 [[시흥시]]로 승격된다. 남은 지역들은 원래의 시흥군과는 관련이 없는 지역이다. 남부 지역(구 수암면, 군자면)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당시 통합된 [[안산군]]의 일부이고, 북부 지역(구 소래읍)은 1973년 [[부천군]]이 폐지되면서 인접한 시흥군으로 넘어간 지역이다. 결국 [[금천구]] [[시흥동(서울)|시흥동]]으로 행정구역이 바뀌었다. 물론 '''시흥동'''에 있는 역이므로 '''시흥역'''은 틀린 게 아니었지만, [[시흥시]]에 있는 줄 아는 사람이 간혹 잘못 오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시흥역 때에는 역에 "여기는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서울)|시흥동]]입니다. [[경기도]] [[시흥시]]를 찾아가실 분은 목적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하신 뒤에 [[소사역]], [[안양역]] 등에서 버스를 이용하시거나,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오이도역]], [[정왕역]] 등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라는 팻말을 붙인 적이 있다. 이 역에서 오이도역, 정왕역까지는 전철만으로도 1시간 가까이 걸린다. 결국 역명변경찬성 설문조사를 실시해서 주민들의 압도적인 찬성을 얻는다. 때마침 [[금천구청]]이 인근의 거대한 새 청사로 이전하면서 [[2008년]] [[12월 29일]]에 금천구청역으로 바뀌었다. == 역 주변 정보 == [[금천구청]], [[금천구보건소]], [[홈플러스 스페셜 시흥점]], [[안양천]]이 있다. 역안 [[스토리웨이]] 옆으로 계단이 있다. 원래 편의점 부지 옆에 분식점이 있었으나 철수하고 그 부지를 사들여 확장했다. 광명 및 독산1동의 일부지역으로 넘어가는 독산교와 바로 다음에 나오는 육교, 금천한내공원으로 가는 계단이다. 그 계단이 현재 노후화가 심하게 되었는데, 복합역사계획이 예정대로 진행된다면 안양천방향 출구도 만드므로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 같다. 금천구에서 유일하게 마을버스만 직접연계가 가능한 역이다. [[서울 버스 금천01]], [[서울 버스 금천01-1]], [[서울 버스 금천02]], [[서울 버스 금천04]], [[서울 버스 금천06]], [[서울 버스 금천07]], [[서울 버스 금천08]]이 역앞에 멈추지만, 간선 · 지선버스를 타기 위해서는 [[금천구청]], [[서울금천경찰서]] 정류장이나 시흥대교 정류장까지 약 10 ~ 15분을 걸어야 한다. 역세권 지가는 [[금천구]] 일대에서 가장 비싸다. 2021년 기준 아파트 평당가가 3,000만 원을 넘어가고 4,000만 원에 가까운 실거래도 이루어졌다. [[금천구]]에서 드문 역세권 지역에다가, 무지개아파트 재개발, [[대한전선]] 시흥공장부지 개발(종합병원 건립 및 아파트 신축), [[신안산선]] 호재에 [[부동산]]시장 호황까지 겹치며 천정부지로 올랐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 '''연도'''}}}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5]]]] || {{{#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7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74년 || 3,361명 || || || 1975년 || 3,692명 || || || 1976년 || 4,543명 || || || 1977년 || 5,685명 || || || 1978년 || 7,795명 || || || 1979년 || 8,899명 || || || 1980년 || 6,982명 || || || 1981년 || 7,661명 || || || 1982년 || 9,384명 || || || 1983년 || 11,137명 || || || 1984년 || 12,271명 || || || 1985년 || 12,452명 || || || 1986년 || 12,655명 || || || 1987년 || 11,662명 || || || 1988년 || 13,677명 || || || 1989년 || 15,744명 || || || 1990년 || 18,599명 || || || 1991년 || 23,207명 || || || 1992년 || 27,223명 || || || 1993년 || 26,051명 || || || 1994년 || 23,435명 || || || 1995년 || 24,555명 || || || 1996년 || 22,351명 || || || 1997년 || 22,837명 || || || 1998년 || 20,446명 || || || 1999년 || 18,948명 || || || 2000년 || 17,613명 || {{{#fff,#1f2023 비고}}} || || 2001년 || 21,743명 || || || 2002년 || 23,291명 || || || 2003년 || {{{#0052a4 27,425명}}} || || || 2004년 || 21,414명 || [* 해당 연도까지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9863289&id=www_060700000000|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 || || 2005년 || 20,916명 || || || 2006년 || 21,132명 || || || 2007년 || 21,504명 || || || 2008년 || 21,765명 || || || 2009년 || 22,084명 || ||}}}}}}}}} || || 2010년 || 22,834명 || || || 2011년 || 22,646명 || || || 2012년 || 23,408명 || || || 2013년 || 22,985명 || || || 2014년 || 22,509명 || || || 2015년 || 22,557명 || || || 2016년 || 22,443명 || || || 2017년 || 22,267명 || || || 2018년 || 22,645명 || || || 2019년 || 24,555명 || || || 2020년 || 18,674명 || || || 2021년 || 19,560명 || || || 2022년 || 20,880명 || || ||<-3> {{{#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br]수송통계자료실]] || }}} [[2004년]]부터 22,000명 내외를 꾸준하게 유지했었다가, [[2019년]]에 24,555명이 쓰면서 완연하게 이용객 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0년대]] 초반까지 역앞 군부대 때문에 역세권이 형편없었고, 주 교통망인 [[시흥대로(서울)|시흥대로]]와 한 블럭 떨어져 있으며 강남 방향으로 가려면 버스를 타고 [[구로디지털단지역]], [[신림역]]으로 가서 2호선으로 환승하는 것이 가장 빠름을 고려하면 입지가 좋다고 할 수는 없지만 [[서울 버스 금천01]]을 타고 내려와서 환승하는 벽산타운 주민, 시흥대로 인근 주택가 주민, 역 뒤편 [[안양천]] 건너편에서 도보로 쓰는 [[독산동]] 월경지 및 [[광명시]] [[하안동]], [[소하동]] 주민들이 있어서 꾸준히 유지되었었다. 옛 군부대 자리에 개발된 롯데캐슬골드파크, [[대한전선]] 시흥공장 자리에 개발될 부영타운 등의 [[역세권]][[아파트]]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서 수요 증가가 기대되나, [[신안산선]]은 시흥대로로 지나갈 것이라서 감소할 여지도 있다. 2019년에 17년 만의 최고 이용객 수를 기록하면서 지역개발혜택을 확실하게 받고 있다. == 승강장 == || [[파일:attachment/Geumcheonguo1.jpg|width=500]] || || 스크린도어 설치 전 승강장 || 2면 6선 쌍[[섬식 승강장]]이다. 가장 바깥쪽 선로는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1|급행열차]]가 지연되는 경우 완행열차를 추월하기 위해서 쓴다. 선로분기 문제로 인해서 약 45km/h로 통과하며, 선행열차가 없으면 본선으로 고속통과한다. 가운데 본선은 [[KTX]]가 [[경부고속선]]으로 들어가면서 거쳐가며, 본선으로 들어온 열차가 [[고속열차]]나 [[광명셔틀]]이 아닐 경우 고속선 진입 구배 직전의 분기기를 통해 바깥쪽으로 빠진다. 북쪽에 (독산역 방면) 저상 승강장이 있지만 일반열차 취급이 중지된 뒤로 쓰지 않는다. 2면 쌍섬식에 고저상 승강장이 붙어있는 형태인데, [[안양역]]과 [[군포역]], [[의왕역]] 모두 이런 구조를 띄고 있다. 모든 승강장의 스크린도어를 가동했다. ||<-10> ↑ [[독산역|독산]] || || ㅣ || ㅣ || {{{#fff 4}}} || {{{#fff 3}}} || ㅣ || ㅣ || {{{#fff 2}}} || {{{#fff 1}}} || ㅣ || ㅣ || ||<-10> [[광명역|광명]]·[[석수역|석수]] ↓ || || {{{#fff 1}}} ||<|4>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 완행·[[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1|{{{#red 급행A}}}]]·[[수도권 전철 1호선/광명셔틀|{{{#373a3c,#ddd 광명셔틀}}}]] || [[광명역|광명]]·[[서동탄역|서동탄]]·[[신창역|신창]] 방면 || || {{{#fff 2}}} ||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2|{{{#090 급행B}}}]] || [[수원역|수원]]·[[평택역|평택]]·[[천안역|천안]] 방면 || || {{{#fff 3}}} ||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2|{{{#090 급행B}}}]] || [[영등포역|영등포]]·[[서울역|서울]] 방면 || || {{{#fff 4}}} || 완행·[[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2|{{{#red 급행A}}}]]·[[수도권 전철 1호선/광명셔틀|{{{#373a3c,#ddd 광명셔틀}}}]] || [[서울역]]·[[청량리역|청량리]]·[[광운대역|광운대]] 방면 || * 4번 타는 곳에서 동묘앞/청량리/광운대행을 타면, 이 역에서 탄 문(진행방향 기준 오른쪽)은 10정거장 차이가 나는 [[남영역]]에 도착할 때까지 열리지 않는다. == 연계 교통 == ||<-2> {{{+1 {{{#373a3c,#c3c6c8 '''금천구종합청사.금천구청역(18867)'''}}}}}} || || [[마을버스(서울)|{{{#fff 마을}}}]] ||[[서울 버스 금천0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5bb025,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금천01(독산역))]]] [[서울 버스 금천06|[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5bb025,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금천06(구로디지털단지역))]]] [[서울 버스 금천07|[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5bb025,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금천07(구로디지털단지역))]]] [[서울 버스 금천08|[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5bb025,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금천08(독산고등학교))]]]|| ||<-2> {{{+1 {{{#373a3c,#c3c6c8 '''금천구종합청사.금천구청역(18808)'''}}}}}} || || [[마을버스(서울)|{{{#fff 마을}}}]] ||[[서울 버스 금천0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5bb025,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금천02(벽산3단지))]]] [[서울 버스 금천02|[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5bb025,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금천02(안천중학교))]]] [[서울 버스 금천04|[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5bb025,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금천04(기아자동차남문))]]] [[서울 버스 금천06|[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5bb025,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금천06(시흥1동공영주차장))]]][br][[서울 버스 금천07|[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5bb025,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금천07(시흥1동공영주차장))]]]|| ||<-2> {{{+1 {{{#373a3c,#c3c6c8 '''금천구종합청사.금천구청역(18838)'''}}}}}} || || [[마을버스(서울)|{{{#fff 마을}}}]] ||[[서울 버스 금천01|[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5bb025,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금천01(벽산아파트))]]]|| == 기타 == * SNS에서 어떤 사람이 금천구청역이 [[쿰척쿰척]]역으로 들린다는 [[몬더그린]]이 한때 이슈가 되었다.[* [[https://www.wikitree.co.kr/articles/236329|「"이상하게 들려요''...수도권 1호선 쿰척쿰척역?」]], 위키트리, 2015-10-19] * [[이세계아이돌]] 1집 앨범 [[RE:WIND]]의 뮤비에서 [[VR Chat]]으로 구현된 금천구청역이 나왔었다. 이후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에서 한 번 더 등장하기도 하였다. * 천안 방면 승강장 부근에는 [[쌍용정유]](현 [[에쓰오일]])의 광고판 흔적이 남아있다. == 사건 및 사고 == * 1992년 8월 29일 시흥역 하행선 저상홈[* 당시 시흥역은 비둘기호 등 일반열차도 정차했던 곳이라 저상홈을 같이 사용했었다.]에서 박태순 의문사 사건이 발생했다. 박태순은 [[1985년]] [[한신대학교]] 철학과에 입학, 노동운동을 하다 1989년 5월 [[노태우 정부|노태우 정권]] 해체를 요구하며 경기도 수원지방검찰청을 점거한 후 구속되어 1년 6개월간 수감되었다. 출소 후 박태순은 군입대를 거부([[병역기피]])하며 수원 지역 등의 노동현장에 위장 취업하였다. 이때 [[기무사]]와 [[한국 경찰|경찰]]에 의해 감시를 받았고, 당시 [[역곡역]] 근처에 있었던 직장에서 회식을 마치고 귀가하던 중 의문의 열차 사고로 숨진 채 발견되었다. 이 사건은 2001년 [[그것이 알고싶다]], 2022년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에서 다루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7WzXSK2o288|그것이 알고싶다]]][* [[https://www.youtube.com/watch?v=Eu755r5oPiA|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 2022년 7월 13일 폭우([[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 참조)로 인해 침수되면서 수원 방면 열차가 시속 25㎞ 이하로 서행하고 열차 운행이 지연되는 등 퇴근 시간에 극심한 혼잡을 빚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713171300004|「폭우에 지하철 1호선 금천구청역 침수…퇴근길 곳곳 혼잡」]], 연합뉴스, 2022-07-13][*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2/07/618857/|「금천구청역 광명역 줄줄이 침수…폭우에 퇴근길 난리」]], 매일경제, 2022-07-13] * 2022년 8월 8일 폭우로 인해 상하행 선로 장애가 발생해 모든 열차가 연쇄 지연이 발생했다. * 2023년 7월 11일 오후 3시 56분경 폭우로 [[영등포역]]~금천구청역 구간이 침수되어 양방향 운행이 중단됐다. 이후 15분 만에 운행이 재개됐다.[* [[https://v.daum.net/v/20230711185131576|「서울 폭우에 지하철 1호선 한때중단…동남·서남권 침수예보(종합)」]], 연합뉴스, 2023-07-11]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부고속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부선의 역 목록)] [[분류:1908년 개업한 철도역]][[분류:금천구의 도시철도역]][[분류:분기역]][[분류:경부선의 도시철도역]][[분류:경부고속선]][[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