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역과 [[월롱역]] 사이에 [[영태역]]이 신설 논의 중이다. || ||<-3> {{{+2 '''금촌역'''}}} || ||<-3> [[파일:GJLine_icon.svg|width=30]] || || [[문산역|{{{#!html
문산 방면}}}]][[월롱역|월 롱]][br]← 4.1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html
경의·중앙선
(K331)
}}}]] || [[서울역|{{{#!html서울}}}]][[지평역|{{{#!html·지평}}}]] {{{#!html방면}}}[br][[금릉역|금 릉]][br]2.1 ㎞ → || ||<|2> [[문산역|{{{#!html
문산 방면}}}]][[문산역|문 산]][br]← 10.7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html
경의·중앙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em" {{{#ffffff '''경의선 급행 A'''}}}}}} || [[서울역|{{{#!html
서울 방면}}}]][[운정역|운 정]][br]5.2 ㎞ →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html
경의·중앙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em" {{{#ffffff '''경의선 급행 B'''}}}}}} || [[용문역(중앙선)|{{{#!html
용문 방면}}}]][[금릉역|금 릉]][br]2.1 ㎞ → || ||<-3>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금촌역, 너비=100%, 높이=224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Geumchon || || [[한자]] ||<-2><|2> 金村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金村, ruby=クムチョン)] || ||<-3> '''주소''' || ||<-3> [[경기도]] [[파주시]] 새꽃로 193 ([[금촌동]] 329-355) || ||<-3> '''관리역 등급''' || ||<-3> [[배치간이역]][br]([[문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서울본부) || ||<-3> '''운영 기관''' || || [[경의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3> '''개업일''' || || [[경의선]] ||<-2> 1906년 4월 3일 || || [[수도권 전철 경의선|{{{#ffffff 경의선}}}]] ||<-2> 2009년 7월 1일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ffffff 경의·중앙선}}}]] ||<-2> 2014년 12월 27일 || ||<-3> '''역사 구조''' || ||<-3> 지상 3층 || ||<-3> '''승강장 구조''' || ||<-3>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 ||<-3> '''철도거리표''' || || [[서울역|{{{#!html
서울 방면}}}]][[금릉역|금 릉]][br]← 2.1 ㎞ || '''[[경의선]]'''[br]금 촌 || [[도라산역|{{{#!html
도라산 방면}}}]][[월롱역|월 롱]][br]4.1 ㎞ → || ||<:>[[파일:금촌역.png|width=100%]][br]역사 (1번 출구)||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금촌역 스탬프.jpg|width=150]] || || 금촌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금촌역사를 형상화했으며, 스탬프 패드 문제로 잘 찍히지 않으므로 개인 스탬프 패드와 휴지 지참이 필요하다. || >'''잦은 수해피해로 현대식 고가 역사로 재탄생''' >금촌역은 1906년 경의선의 보통역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하였다. 옛 역사는 155.76㎡ 규모의 목조 기와 단층역사로 일제강점기 표준역사와 유사한 모습이지만 재료와 구축이 변화된 1960년대 표준역사였다. 남북분단과 휴전선으로 파주 일대의 관공서가 인근으로 내려오면서, 지역주민들의 일상과 지역 발전을 통근 열차와 함께 해왔다. 금촌역에서 순달교 방향 도로 양쪽에는 크게 번성했던 역답게 선술집과 가게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었다고 전해진다. 공릉천 칠간 다리에서 기차 화통이 울어대면, 손님맞이를 준비하던 가게들. 그러나 지역 특성상 수해 피해가 잦아 이를 대비하기 위해 2008년 현대식 디자인의 대형 고가 역사로 새롭게 탄생하게 되었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철도]]역으로 번호는 K331번. [[경기도]] [[파주시]] 새꽃로 193 ([[금촌동]] 329-355)에 위치해 있다. == 역 정보 == === 일제강점기 === 1906년 [[경의선]] 개통과 함께 문을 연 유서깊은 역으로서 당시엔 교하군 아동면에 속하는 조그만 촌락에 불과했다. 그러나 역이 들어섬과 동시에 [[교하군]]의 중심지 역할을 맡았으며 동시에 급속도로 성장하기 시작한다.[* 경의선 최초 개통 당시에 수도권 구간에 존재한 역은 [[서울역|서울]]-[[수색역|수색]]-[[능곡역|능곡]]-[[일산역|일산]]-금촌-[[문산역|문산]]-[[장단역|장단]]-[[봉동역|봉동]]-[[개성역|개성]]-[[개풍역|토성]]-[[여현역|여현]] 밖에 없었다.] 금촌은 본래 '''새말'''이라고 불리던 곳이다. [[경의선]] 부설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당시인 [[1904년]] 경, [[일본인]] 조사관들이 지명 조사를 하다가 교하군에 속해있던 이 동네의 지명을 묻자 마을 사람들이 '''새말'''이라고 대답했는데, '''쇠마을'''이라고 잘못 알아들은 것을 그대로 한자화해 금촌(金村)이 되어 버렸다고 한다. 파주 사람들 사이에서는 금촌이라는 지명이 당시 금촌역의 역장이었다는 카네무라(金村)에서 따왔다고 하는 민간어원설도 있고, 이 지역이 금속가공을 많이 하는 지역이라고 해서 금촌이 됐다는 설도 있다. 이는 인근의 [[탄현역|탄현]]과 엮이는데 숯 만드는 곳이 탄현이고 야장을 하는 곳이 금촌이라는 것. 새말이란 구역은 금촌역 뒤쪽인 금촌3동 구역인 파라다이스 아파트, 팜스프링 아파트, 금신초등학교, 문산제일고 주변을 새말이라고 하고, 금촌1동 구역은 그냥 금촌으로 부른다. 원래 읍이었다가 파주가 시로 승격되자 이 지역은 동 지역으로 다들 바뀌었다. 1914년 일제에 의한 [[부군면 통폐합]] 당시 파주군에 통합되면서 천 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교하군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는데 오랜 기간 동안 금촌역은 구 교하를 상징하는 마지막 남은 유물과도 같은 역할을 했다. 파주군청이 옮겨온 [[문산역]] 일대에 각종 관공서가 옮겨가면서 문산이 두드러지게 발전하고 중심 기능을 잃은 금촌은 성장을 하기는 했지만 문산에 상대적으로 뒤쳐지며 [[문산역]]을 보조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 20세기 중후반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orail_Gyeongui_line_Geumchon_station_entrance_20060620.jpg|width=100%]] || || 구 역사 || 상황이 반전된 것은 [[6.25 전쟁]] 이후이다. 초창기 [[개성역]]까지 열차가 다닐 당시만 해도 [[일제강점기]]와 크게 다를 바 없었지만, 개성-장단 일대의 [[군사분계선]]이 남쪽으로 더 내려오면서 바로 다음 역이자 파주군의 중심지였던 [[문산역]]이 종착역이 되었고 [[임진강]] 연안인 문산은 휴전선과 너무 가깝다는 이유로 파주군청, [[파주경찰서]], [[문산제일고등학교]] 등등 파주의 모든 주요 시설물이 금촌으로 이사를 왔다. 금촌이 상대적으로 발전하면서 금촌역은 파주에서 문산역과 함께 대표되는 역으로 자리잡았지만, 경의선 자체는 크게 쇠퇴하여 복선이었던 것도 단선으로 바뀌고 열차 수도 크게 줄었다. 금촌과 문산의 관계가 역전한 데에는 [[6.25 전쟁]]뿐만 아니라 분명 금촌역의 존재가 컸다. [[파주역]], [[운정역]]을 비롯한 다른 역들은 최소 [[1960년대]] 이후에 생겨난 역들로, 당시 파주에는 문산역과 금촌역 외에 다른 철도역은 존재하지 않았던데다가 [[군사분계선]]과 가까운 문산의 기능을 옮기는데 마땅한 지역이 금촌 외에는 없었기 때문이다. 파주의 중심 기능이 옮겨온 금촌이 파주의 중심지로 확립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였으며, 금촌역은 금촌을 지금처럼 만드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아무튼 금촌 지역이 파주의 중심지 기능을 이어받은 이후 서서히 문산과의 격차를 벌려 가며 파주의 중심지로 확실히 자리를 굳혔다. [[1990년대]]에 이르러서는 문산과 2배 이상으로 인구 격차를 벌리면서 파주의 중심지로 기능을 다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문산과 금촌 모두 전형적인 소도시이며 개성과 파주 사이에는 [[군사분계선]]이 지나고 있어서 전방 지역인 파주는 더 이상의 도시 개발을 못 하였고, 파주는 [[2000년대]]까지 발전이 정체되었다. 한때는 무연탄 화물 도착역으로 지정됐던 적도 있었으나, [[1994년]]에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 이 역은 저지대에 자리 잡아서 수해에 매우 취약했다. [[공릉천]]이 시내를 구비도는 금촌 역시도 매해 홍수로 물바다를 이루는 9시 뉴스 단골 현장이었다. [[경의선]]도 예외없이 잠기기 일쑤였고 수없이 운행 중단이 되었는데[* 장마철에 수해만 나면 경의선은 짤 없이 서울역 ~ 일산역 구간만 운행으로 짤렸다.] 이는 [[2000년대]] 들어서 하천 대정비사업을 거치면서 수그러들었다. [[2006년]] [[11월 1일]]부터 다녔었던 소위 '''임진강라이너'''라 불리던 5천원짜리 단거리 경의선 [[새마을호]]가 이 역에 정차한 적이 있었다. 서울-일산-금촌-문산-임진강에 정차했다. === 경의선 복선전철화 === [[파일:attachment/7288215408_3209e08d07.jpg]] 1990년대 중반에 옆동네 [[고양시]]의 [[일산신도시]]와 화정지구, 행신지구, 탄현지구, 중산지구가 입주를 시작했고, 그 영향을 받아 파주도 점차 국가 차원의 개발계획이 세워졌다. 개발로 인해 늘어나는 인구와 교통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단선 비전철로 다니던 경의선을 [[복선]] 전철화해 [[수도권 전철]]을 운행시키고자 했고, 금촌역도 물론 그 정차역으로 선정되었다. 금촌 시가지가 확장되면서 금촌역 북쪽으로도 주택단지가 들어서기 시작했다. 이런저런 골목길이 생기면서 건널목도 많아졌다. 이에 따라 전철화 공사를 하면서 그냥 철로를 고가로 올려 버렸다. 경의선은 거의 대부분을 지상으로 이동하지만, 금촌역 전후 약 1.5km 구간은 고가로 달린다. [[수도권 전철 경의선]]을 위한 복선 전철화로 금촌역 일대가 고가로 옮겨짐과 동시에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져 80년을 쓰던 유서 깊은 구역사도 [[2008년]]에 허물어졌다. 현재 금촌역 남쪽 광장과 주차장 자리에 구역사가 있었는데, 지금도 남아있는 [[일산역]] 구 역사와 상당히 비슷하게 생겼었으며 크기는 2배정도 더 컸다. 초록색 도색에 벽면하며 지붕, 역 간판까지 똑같은 양식이었는데 맞이방 길이가 더 길어서 무려 '''[[스토리웨이]]'''가 들어와 있기도 했었다(!) 1920년대 건축양식 자료로서 가치가 높은 역이었지만 쌍둥이같은 일산역 하나로 충분했는지 도로를 잇는다는 명목으로 [[2008년]] 말경 소리소문없이 사라지고 말았다. == 역 주변 정보 == 금촌역 주변으로 파주시내가 펼쳐져 있는데 그리 큰 규모는 아닌지라 금촌시내가 한 눈에 보이기도 한다. 강매역 이후로 끊임없이 펼쳐지는 아파트밭의 파노라마를 볼 수 있는 처음이자 마지막 구간이기도 하다. 능곡-대곡-곡산 구간이 촌동네이긴 하지만 워낙 드넓은 평지를 끼고 있어 시가지가 계속해서 보이고, 일산과 덕양간 거리도 그리 멀지 않아 사실상 연담도시화 되어 있다. 그 위로도 일산신도시-탄현지구-덕이지구-운정신도시-금촌을 통해 계속하여 연담도시가 끝없이 나오는 식인데 이 시가지를 볼 수 있는 마지막 역이 바로 금촌역이다. 금촌 위로 올라가면 분위기부터가 이전과는 비교를 불가한다. 인근에 [[파주시청]], 금촌동우체국과 붙어 있다. 다만 꽤 걸어야 하므로 시내버스나 마을버스 탑승을 추천한다. 구 서부터미널과도 인접해있으며 금촌시장이 있는 번화가와도 연결되어 역세권이 꽤나 발달한 역이다. 시내버스 연계 또한 '''매우''' 잘 되어있다.[* 운정 신도시와 교하 신도시에서 보이는 몇몇 버스를 빼면 파주 시내에서 보이는 버스는 죄다 금촌역을 경유한다고 봐도 무방하다.]마을버스 역시 마찬가지로, 봉일천이나 문산 행 마을버스는 이 곳이 기점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제로 금촌역에서 마을버스로 환승하는 수요가 매우 많다. 이 역 근처에서 [[고양시]] [[곡산역]]에서부터 시작한 [[경의로]]와 [[통일로]]([[1번 국도]])가 합쳐진다. 정확히는 금촌역에서 문산 방향으로 약 1km 지나서 나온다. 이 이후 [[경의선]]은 [[통일로]]와 나란히 달린다. 통일로가 경의선 선로보다 3~5m 정도 밑에 있기 때문에 통일로 타고 [[드라이브]]를 가게 되면 경의선 전철이 지나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청소년수련시설로는 금촌청소년문화의집이 위치하고 있으며, 위치는 시민회관옆에 위치하고 있다. 간혹 봉사활동을 하러 오다가, 혼동해서 시민회관으로 가는 친구들이 있으니, 전화로 위치를 물어보고 찾는게 좋다. [[역(교통)|역]]에서 200m 떨어진 "문화로" 주변은 금촌의 전형적인 [[원도심]] 상권이다. 따로 홈페이지도 있다. [[http://pjgcmarket.co.kr/|금촌통일시장]] 원래 3호선 계획은 [[양재역]]에서 [[벽제역]]까지 이은 후 향후 가칭 '''[[조리금촌선]]'''이라는 이름으로 관산, 내유, 봉일천, 조리를 거쳐 금촌역에서 종착하려고 했으나 [[1992년]] 고양시 승격 후 [[일산신도시]]가 개발되자 3호선을 벽제 대신 원당/화정지구와 현 일산신도시인 신일산으로 보내기로 하여 이 계획이 무산되고 대신 [[일산선]]과 연결되어 현재의 화정, 일산신도시 방면의 선형이 되었다. 위의 통일로를 따라가는 조리금촌선은 원흥이나 삼송에서 분기하는 3호선의 지선 형태로 지금도 파주시에서 연장을 추진하고 있으나 벽제-광탄 일대 인구가 적어서 가능성은 매우 낮은 편이다. 파주여자고등학교와 파주광일중학교는 '''월롱면'''에 속해 있으나, [[월롱역]]보다 이 역에 더 가깝다. 과거에는 역 인근에 금촌터미널[* 서울, 문산으로 가는 노선이 있었다.]과 서부터미널[* 일산, 교하, 탄현으로 가는 노선이 있었다. "탄현버스종점"으로 불리기도 했다.]이 있었으나 둘 모두 지금은 사라져 흔적만 남아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파일:GJLine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09년 || 5,796명 || [* 개통일인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0년 || 8,011명 || || || 2011년 || 9,281명 || || || 2012년 || 9,625명 || || || 2013년 || 11,426명 || || || 2014년 || 12,754명 || || || 2015년 || 13,878명 || || || 2016년 || 14,428명 || || || 2017년 || {{{#73c7a6 14,717명}}} || || || 2018년 || 14,677명 || || || 2019년 || 14,717명 || || || 2020년 || 10,550명 || || || 2021년 || 10,891명 || || || 2022년 || 12,168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br]수송통계 자료실]] || }}} * [[파주시]]의 상업/교통 중심지로서 개통 초기부터 이용률이 높았던 역이다. 2009년에 6개월 치 승객이 하루 평균 5,800여 명을 기록하여 [[서울역]], [[문산역]], [[일산역]]에 이어 [[수도권 전철 경의선]] 전체 4위로 시작했다. 그 이후로 쭈욱 이용객이 큰 폭으로 늘어나 노선이 [[공덕역]]으로 연장된 직후인 [[2013년]]에 하루 평균 1만 명을 돌파하였고, 그 이후에도 꾸준히 한해 1천 명 이상씩 증가하였다. * 그러나 [[2014년]] [[12월 27일]] 경의선 전철의 완전 개통으로 [[경의·중앙선|중앙선과 연결된]] 이후에는 증가세가 크게 꺾였다. 매년 많게는 2천 명 이상, 적게는 1천 명 이상 성장하던 수요가 2015년을 기점으로 급격하게 꺾여, 2016년에 550명, 2017년 289명 증가하는 것에 그쳤다. * 증가세가 꺾인 것은 다르게 말하면 수요가 안정화 되었다는 얘기이다. 이미 공덕역 연장 이후로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을 통해 서울 주요 지역으로 갈 수가 있었으니, 배차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계 범위가 넓어졌기 때문에 더이상의 수요를 늘리기엔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다만 [[금촌동|금촌]] 전체 인구가 84,000명에 불과하고[* 2020년 8월 기준], 그나마도 [[금릉역]]과 분산되기 때문에 배후 인구가 적다는 한계가 있다. * 주 이용객은 금촌 주민들 및 주변의 [[군인]]이다. 노선의 특성상 군인 수요가 많은 편이지만, 유독 금촌역부터는 급격하게 군인 수요가 증가한다. 파주 북부에 군부대가 몰려있는데, 문산은 생각보다 작고 그나마 금촌이 멀지도 않고 할 것이 많기 때문인 듯하다. * [[2015년]]까지는 출퇴근과 낮 시간, 평일과 주말을 가리지 않고 거의 대부분의 시간대에 '''앉아갈 수 있는 마지노선 역'''이었으나 이후 여기서 절대 못 앉는다. [[월롱역]]이나 [[파주역]], 정말 심하면 [[문산역]]이 마지노선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하고 초창기 몇 년 간은 출퇴근 때만 빼면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의 대명사였으나, [[공덕역]] 연장 후 [[일산역]]으로 자리 착석보장의 마지노선이 생기더니 용산 연장 - 중앙선 연결 이후로는 포텐이 터지면서 이젠 금촌역부터 입석을 세우는데 평일 낮 시간에도 입석을 세운다. [[일산역]] 항목에도 있지만, 경의선은 유독 구간 수요가 적고 물갈이가 안 되는 순수한 [[광역철도]]여서 금촌 이후로 타는 이용객은 중간에 앉을 일이 거의 없다. 문산에서 어느 정도 채운 후 파주에서 몇 명 타고, 월롱에서 2/3까지 자리를 채운 다음 금촌에서 우루루 몰려 타는 식. 여기서 다 못채워도 운정을 지나기 전에 거의 100% 입석을 세운다고 보면 된다. 탄현 이후 승차하는 승객들은 지못미(...) 당연한 이야기지만 퇴근 시간대나 저녁 시간대에는 반대의 상황이 펼쳐진다. == 승강장 == || [[파일:Geumchon_pf34.jpg|width=100%]]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 || ||<-8> [[월롱역|월롱]] || || ↑ || {{{#ffffff 4}}} || {{{#ffffff 3}}} || ↑ || ↓ || {{{#ffffff 2}}} || {{{#ffffff 1}}} || ↓ || ||<-8> [[금릉역|금릉]] || || {{{#ffffff 1·2}}} ||<|2>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완행·{{{#red 급행}}} ||[[금릉역|금릉]]·[[일산역|일산]]·[[서울역]]·[[용문역(중앙선)|용문]] 방면|| || {{{#ffffff 3·4}}} || 완행·{{{#red 급행}}} ||[[월롱역|월롱]]·[[파주역|파주]]·[[문산역|문산]] 방면||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 연계 교통 == === 역 앞 정류소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21|{{{#fff 021}}}]]}}} - 금촌로타리, 경찰서, 파주시청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22|{{{#fff 022}}}]]}}} - 금촌로타리, 문산제일고, 용상골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25|{{{#fff 025}}}]]}}} - 금촌사거리, 장안아파트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30|{{{#fff 030}}}]]}}} - 파주시청, 파주병원, 금릉역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32|{{{#fff 032}}}]]}}} - 파주시청, 봉일천시장, 봉일천고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33|{{{#fff 033}}}]]}}} - 금촌사거리, 장안아파트, 금촌로타리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34|{{{#fff 03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34|{{{#fff 034-1}}}]]}}} - 보건소, 파주병원, 교하행복센터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36|{{{#fff 036}}}]]}}} - 신세계아울렛, 헤이리, 대동리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62|{{{#fff 062}}}]]}}} - 봉일천, 광탄, 용미리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64|{{{#fff 064}}}]]}}} - 봉일천, 장곡리, 하니랜드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64|{{{#fff 064(쌍둥이)}}}]]}}} - 봉일천, 장곡리, 쌍둥이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64|{{{#fff 064(재활용)}}}]]}}} - 봉일천, 재활용선별장, 하니랜드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65|{{{#fff 065}}}]]}}} - 봉일천, 동문아파트, 고양자유학교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65|{{{#fff 065(봉고등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65|{{{#fff 065(봉중등교)}}}]]}}} - 파주시청, 봉일천, 동문아파트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65|{{{#fff 065(봉고하교)}}}]]}}} - 파주시청, 봉일천고, 동문아파트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65|{{{#fff 065(봉중하교)}}}]]}}} - 파주시청, 봉일천중, 동문아파트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66|{{{#fff 066}}}]]}}} - 파주시청, 봉일천, 뇌조리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68|{{{#fff 068}}}]]}}} - 파주시청, 봉일천시장, 푸르지오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73|{{{#fff 073}}}]]}}} - 교하지구, 출판도시, 산남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78|{{{#fff 078}}}]]}}} - 금릉역, 교하지구, 출판도시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85|{{{#fff 085}}}]]}}} - 금릉역, 산내마을, 야당역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9|{{{#fff 9}}}]]}}} - 금촌로타리, 문산제일고, 맥금동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10|{{{#fff 10}}}]]}}} - 금촌로타리, 운정, 일산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11|{{{#fff 11-2}}}]]}}} - 금촌로타리, 경찰서, 파주시청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17|{{{#fff 17}}}]]}}} - 봉일천, 고양, 서울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8|{{{#fff 38}}}]]}}} - 고양, 양주, 의정부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2367; font-size: .95em" [[파주 버스 75|{{{#fff 75}}}]]}}} - 탄현행복센터, 금산리, 만우리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2367; font-size: .95em" [[파주 버스 75|{{{#fff 75-1}}}]]}}} - 맥금동, 신세계아울렛, 탄현중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2367; font-size: .95em" [[파주 버스 75|{{{#fff 75-2}}}]]}}} - 신세계아울렛, 헤이리, 대동리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2367; font-size: .95em" [[파주 버스 77|{{{#fff 77-1}}}]]}}} - 교하체육공원, 교하지구, 송촌리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2367; font-size: .95em" [[파주 버스 77|{{{#fff 77-2}}}]]}}} - 교하행복센터, 교하지구, 송촌리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90|{{{#fff 90}}}]]}}} - 봉일천, 동문아파트, 일산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92|{{{#fff 9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92|{{{#fff 92-1}}}]]}}} - 파주시청, 운정, 일산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150|{{{#fff 150}}}]]}}} - 운정, 일산, 김포공항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567|{{{#fff 567}}}]]}}} - 운정, 고양, 서울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600|{{{#fff 600}}}]]}}} - 금촌로타리, 운정, 일산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799|{{{#fff 799}}}]]}}} - 봉일천, 고양, 서울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900|{{{#fff 900}}}]]}}} - 금촌로타리, 운정, 일산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800ff; font-size: .95em" [[시외버스 3000, 3030|{{{#fff 3000}}}]]}}} - 운정, 일산, 인천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5000|{{{#fff 5000}}}]]}}} - 일산, 인천, 부천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95em" [[공항버스 5600|{{{#fff 5600}}}]]}}} - 금릉역, 운정, 인천공항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7101|{{{#fff 7101}}}]]}}} - 금화초, 운정, 서울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9709|{{{#fff 9709}}}]]}}}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9709|{{{#fff 9709N}}}]]}}} - 봉일천, 고양, 서울 방면 === 역 건너편 정류소 === 다음 정류소인 금촌1동에서 종착하는 노선은 제외한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21|{{{#fff 021}}}]]}}} - 월롱역, 파주읍, 문산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22|{{{#fff 022}}}]]}}} - 순복음평화교회, 파주여고, 영태리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25|{{{#fff 025}}}]]}}} - 월롱역, LCD산업단지, 웅지세무대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30|{{{#fff 030}}}]]}}} - 문산제일고, 축현산업단지, 웅지세무대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32|{{{#fff 032}}}]]}}} - 영태리, 문산제일고, 맥금동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33|{{{#fff 033}}}]]}}} - 신세계아울렛, 헤이리, 탄현중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34|{{{#fff 034}}}]]}}} - 탄현행복센터, 오금리, 문산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34|{{{#fff 034-1}}}]]}}} - 탄현행복센터, 축현리, 문산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61|{{{#fff 061}}}]]}}} - 오산리, 광탄, 비암리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65|{{{#fff 065}}}]]}}}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66|{{{#fff 066}}}]]}}} - 문산제일고, 검산초, 검산골판지단지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68|{{{#fff 068}}}]]}}} - 금촌1동, 송화초, 팜스프링아파트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파주 버스 078|{{{#fff 078}}}]]}}}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8|{{{#fff 38}}}]]}}}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90|{{{#fff 9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150|{{{#fff 15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567|{{{#fff 567}}}]]}}}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9709|{{{#fff 9709}}}]]}}}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9709|{{{#fff 9709N}}}]]}}} - 팜스프링아파트, 문산제일고, 맥금동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9|{{{#fff 9}}}]]}}} - 문산제일고, 하이마트, LCD산업단지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10|{{{#fff 10}}}]]}}} - 광탄, 법원읍, 갈곡리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17|{{{#fff 17}}}]]}}} - 월롱역, LCD산업단지, 서영대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92|{{{#fff 9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92|{{{#fff 92-1}}}]]}}} - 문산, 파평, 적성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600|{{{#fff 600}}}]]}}} - 파주읍, 법원읍, 갈곡리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900|{{{#fff 900}}}]]}}} - 신세계아울렛, 헤이리, 통일동산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5000|{{{#fff 5000}}}]]}}} - 월롱역, 문산역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95em" [[공항버스 5600|{{{#fff 5600}}}]]}}} - 월롱역, 문산고속버스정류소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7101|{{{#fff 7101}}}]]}}} - 팜스프링아파트 방면 === 금촌고속버스정류소 === 1번 출구 서쪽에 위치한 정류소이다. 문산에서 출발한 시외/고속버스 노선들이 경유하는 정류소였으나 현재는 지방 가는 노선들은 전부 폐선되었고 금촌발 인천행 [[시외버스 3000, 3030|3000번]]의 경우 승차는 시내버스 정류소에서 하고 하차만 여기서 한다. 2023년 현재 여기서 승차할 수 있는 버스는 주말에만 운행하는 7700번과 7701번 외에는 없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7700|{{{#fff 77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7700|{{{#fff 7701}}}]]}}} - 문산, 적성, 감악산 방면 == 사건사고 == || [youtube(IuM1-qei94E)] || || 에스컬레이터 사고 || * 2021년 12월 21일, 에스컬레이터 덮개가 열려 60대 여성의 다리가 빨려 들어가 부상 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 여담 == * 네이버 상세 위성지도와 다음 지도에서 보이는 최북단역이다. 이 역 이후부터는 최전방지대인 관계로 상세 위성 지도를 제공하지 않는 듯. [[구글 어스]]는 정상적으로 보인다. [[카카오맵]] 스카이뷰를 2009년으로 돌려보면 월롱역까지는 선명하게 보인다. * 드라마 [[열아홉 순정]]에서 [[강남길]]이 설정상 금촌역장으로 출연했으나 실제 촬영은 구 [[일산역]]에서 진행되었다. * [[경의선]]에서 유일한 고가 역사이며, 경의선 구간에서 유일하게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하다.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의선의 역 목록)] [include(틀:파주시의 교통)] [[분류:190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파주시의 도시철도역]][[분류:경의선의 도시철도역]][[분류: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