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금호타이어)] [목차] == 시판 모델 == === 솔루스 (Solus) === 1998년 부터 지금까지 롱런하고 있는 금호타이어의 대표적 사계절 컴포트 타이어 브랜드다. TA21, TA31, TA51 등 다양한 라인업으로 구성된다. 일반 승용차 기준으로 무난한 성능과 무난한 가격대로 가장 많이 접하는 브랜드이기도 하다. * 솔루스 TA21 - TA11[* 국내에서만 단종되었고, 북미 등 해외시장에선 여전히 판매 중이다.] 및 센스 (KR26 & KL26)의 후속작으로 2021년 8월 17일에 국내시장에 발매됐다. 금호타이어 60년 기술을 집약한 제품으로, 합리적인 가격과 최적의 균형 잡힌 성능을 만족하는 가성비 라인업 제품이다. 특히 사계절 전용 컴파운드와 소음억제·분산을 위한 최적의 블록 배열 설계로 우수한 승차감과 저소음 성능을 구현했다. 이 외에도 고속주행 안정성 제고를 위한 인터락킹(Interlockin) 3D 사이프(Sipe) 설계는 물론 트레드 접지형상 최적화로 마일리지를 강화했다. 전작인 센스 처럼 승용차 및 SUV차량에도 장착이 가능하다. * 솔루스 TA31 - 저소음 패턴 설계로 동급대비 조용하여 무난무난한 성능을 구현하는 올시즌 컴포트 타이어. 경차부터 대형세단 그리고 일부 SUV까지 장착이 가능하고, [[LF 쏘나타]], [[크라이슬러 200]] 등의 OE 타이어로 공급되는 등 2010년도 솔루스 시리즈의 간판 모델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TA51이 출시된 후에도 찾는 수요가 많아 온라인 전용, OE 및 해외시장용 판매 모델로 변경되었다. 북미형 [[폭스바겐 제타]], [[크라이슬러 퍼시피카]], [[크라이슬러 200]], 7세대 북미형 [[현대 아반떼]], [[기아 셀토스]], [[르노코리아 XM3]], [[닛산 알티마]] 등의 OE 타이어. * 솔루스 TA31+ EV - 소형/준중형 전기차 전용 타이어. 전기차에 맞는 하중보강으로 주행안전성을 확보하였으며, 입체 사이프 적용으로 블록의 강성 강화를 통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은 1등급이며, 컴파운드 개선으로 주행 마일리지 또한 개선되었다. 기존의 TA31과 달리 사이드월 디자인이 다르며 회사 레터링과 제품명 레터링 등이 마제스티9 처럼 음각처리되어 고급감을 살렸다. 다만 다른 전기차용 타이어와 달리 모든 사이즈에 흡음제가 적용되지는 않았다. 아무래도 가격 및 포지셔닝상 흡음제를 적용시키지 않은 것으로 추측됨. * 솔루스 4S (HA32) - 자사의 올웨더 타이어로서, 2020년 해외 시장에 먼저 선보였다가 2023년 5월에 국내시장에 발매됐다. 미쉐린 CrossClimate2, 한국 Kinergy 4S2 등이 국내에서 높은 인기를 얻고 있기에 수요층의 출시 요구에 맞추어 출시하였다. * 솔루스 TA51 - 금호타이어 60년 기술이 집약된 새로운 60년을 여는 신제품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프리미엄급 성능을 경험할 수 있는 뛰어난 가성비로 만족도를 높인 제품으로서 TA31 & TA71의 통합 후속작으로 2021년 4월 5일에 출시되었다. 특히 국내 환경에 최적화된 사계절 전용 컴파운드를 적용하는 한편 타이어 홈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딤플(dimple) 설계로 분산시켜 소음을 저감시키는 ‘패턴소음 저감기술’을 적용하였으며, 패턴 설계 해석 시스템을 활용하여 주행성능 및 마모성능을 향상시켰다. 또한 트레드 강성 극대화로 상온/저온에서 제동력을 향상시켰으며 눈길에서도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 더해 이용자 편의적인 측면에서 입체 아이콘 설계로 트레드의 마모상태를 시각화할 수 있는 ‘마모 모니터링 기술’을 적용시켜 타이어 성능 저감 상황 및 교체시기를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사이드월에는 자사가 처음으로 선뵈는 4분법 사이드월 디자인이 적용되었으며, 한국 전통 디자인에서 차용한 기와 형상 및 전통 문양의 홀로그램 널링 기법을 적용해 고급감을 더 했다. [[기아 레이 EV]]의 OE 타이어. * 솔루스 TA51a - 기존의 TA11, TA31, TA71의 통합 후속 모델[[https://www.moderntiredealer.com/articles/34302-kumho-updates-solus-line-with-ta51a|#]]로써, 북미시장 전용으로 2023년 2월 6일에 출시됐다. 제품명의 'a'는 'America'를 뜻한다.[[https://www.tirereview.com/kumho-tire-whats-treading/|#]] 국내형 TA51 대비 사이드월 디자인 및 트레드 패턴이 다른게 특징이며 승용, 미니밴 및 SUV에도 장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13인치부터 19인치까지 총 82가지의 사이즈 제공 및 전량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한다. === 크루젠 (Crugen) === '''SUV''' 전용 타이어 브랜드. 과거에는 '시티벤처' 시리즈 명으로 판매해 왔으나, 2014년부터 크루젠으로 브랜드명을 변경했다. 전세계적으로 SUV 수요가 늘면서 도심과 고속도로 등을 주로 운행하는 고객들을 위해 승용차용 타이어와 거의 비슷한 승차감 구현과 트레드 패턴을 접목시켜 현재는 금호타이어의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했다. * HP91 - 크루젠 시리즈 중 유일한 여름용 타이어이다. [[BMW X3]]의 OE 타이어. * HP71 - 고급 올시즌 투어링 타이어. [[현대 싼타크루즈]], [[폭스바겐 타오스]], [[닛산 패스파인더]], [[닛산 로그]], [[기아 EV6]], [[기아 EV9]], [[기아 텔루라이드]], [[빈패스트 VF 9]] 등의 OE 타이어. * HP71 EV - 전기차용 올시즌 투어링 타이어. 타이어 내부에 흡음재가 부착되었고, 회전저항이 매우 낮아서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1등급이다. 내연기관 자동차에도 장착할 순 있지만, 사이즈가 많지 않아서 호환되는 사이즈가 별로 없다. [[폭스바겐 ID.4]]의 OE 타이어. * HP51 - 2022년 새로 출시된 올시즌 타이어. 구름저항이 개선된 덕에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4등급이 대부분인 KL33, HP71과 다르게 3등급인 경우가 많다. * 크루젠 프리미엄(KL33) - 크루젠 시리즈의 보급형 타이어. '프리미엄'이라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제대로 만든 컴포트 타이어와 비교하면 품질이 심하게 떨어진다. 대신 트레드웨어 440 대비 마일리지 (내구성) 하나는 훌륭하다. 크루젠 시리즈 중 유일하게 사이드월에 금호 윙 로고가 박혀있다. 코드를 보면 알겠지만 진짜배기 크루젠이 아니라 시티벤처 제품이다. 이 제품이 '''2011년에 출시되어 개선이 이루어진 적이 단 한번도 없다보니'''[* 2011년에 시티벤처 컴포트 샵이라는 이름으로 출시하고, 시티벤처 프리미엄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2014년에 지금의 크루젠 프리미엄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타이어 자체도 매우 딱딱하다. 후속인 크루젠 HP51이 출시됨으로써 당분간 해외용 및 출고용 타이어로만 생산되다 단종될 듯 하다. [[아우디 Q5]], [[폭스바겐 아틀라스]], [[르노코리아 QM6]] 등의 OE 타이어. * HT51 - 북미시장용. [[LCV]] 및 픽업트럭에도 장착 가능하다. 전량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된다.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의 OE 타이어. === 마제스티9 (Majesty 9 Solus TA91) === 최고급 컴포트 사계절용 타이어 브랜드다. 이전작은 2010년에 출시했었던 마제스티 솔루스 (KU50). 솔루스 시리즈 중 프리미엄 제품이지만 시장에선 기존의 솔루스보다 한급 더 높게 쳐준다. 럭셔리한 승차감과 초저소음으로 따라올 수 없는 탁월한 컴포트 성능을 가진 타이어이다. 맞춤별 주행성능과 신소재로 차급별 최적의 사계절 주행 성능을 자랑한다. 고품격 홀로그램 디자인으로 카리스마 넘치는 차별화된 디자인을 적용했다. 최적의 패턴 블록배열로 이상적인 주파수 하모니를 조합했다. 피크 소음 억제 및 소음분산을 최적화하는 사운드 하모니 테크놀러지를 적용함으로써 초저소음 성능을 구현했다. 트레드 패턴 블록내 슬라이드 챔퍼 기술을 통해 블록내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하여 진동소음을 최소화했다. 신개념 좌우 비대칭 설계 및 주행 방향의 블록 강성화로 고속주행시 조종 안정성 및 제동력을 향상했다. 승차감 및 제동성능 극대화를 위한 신기술, 신소재 및 차세대 컴파운드를 적용했으며 저연비, 마모, 빗길안정성 최적화를 위한 5세대 S-SBR 및 고함량 실리카 시스템을 적용했다. 북미의 경우 Tire Rack을 통해 온라인으로 주문 및 장착이 가능하며 가성비 좋은 프리미엄 타이어로 평가받고 있다. [[기아 K3]], [[기아 셀토스]], [[현대 그랜저]] 등의 OE 타이어. * '''마제스티9 EV (Majesty 9 EV Solus)''' - 전기차용 버전. 기존 TA91 대비 금호의 K-Silent 기술인 패턴을 통한 소음 저감 기술과 타이어 내부에 흡음재를 적용하여 정숙성을 확보시켰다. 또한 기존 TA91에 비해 사이드월을 보강시켜 매우 단단한 편이다.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은 2등급이다. 유럽형 [[현대 코나 EV]], [[테슬라 모델 Y]]의 OE 타이어.[[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0823000433|#]] * '''마제스티X (Majesty X Solus TA92)''' - 2022년 4월 11일에 출시된 고성능 프리미엄 차량 전용 플래그십 타이어다. 기존 마제스티9 대비 마모성능과 눈길 제동력 등을 대폭 개선하여 내구성을 강화시켰고, 승차감과 제동성능을 높이기 위해 고분산 정밀 실리카가 적용된 컴파운드를 적용시켰고, 타이어 홈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딤플 설계로 분산시키는 패턴소음 저감기술을 적용해 한층 더 업그레이드 되었다. 또한 TA91에서 접할 수 없었던 타이어 내부에 폼 (form) 부착 사양을 옵션으로 마련하였다. TA51에 앞서 선보였었던 입체 아이콘으로 타이어 트레드의 마모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술을 적용시켰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가 아이콘을 눈으로 확인하고 타이어 성능 저감 상황과 교체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코드 네임상 마제스티9의 후속작이지만, 기존 TA91은 당분간 병행판매된다고 한다. 18인치부터 22인치까지 장착이 가능하다. * '''마제스티 솔루스 (Majesty Solus KU50)''' - 금호타이어 창립 50주년을 기념해 2010년 출시된 마제스티 시리즈의 첫 출시작. 후속인 마제스티9의 출시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판매전용으로 전환되었다. [[르노코리아 SM6]]의 OE 타이어. === 엑스타 (Ecsta) === 파워레이서 시리즈의 후속으로 유럽 마스터스 F3, 독일 VLN 시리즈 등 다양한 모터 스포츠 대회의 경험으로 축적된 레이싱 타이어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고성능 타이어 브랜드이며, 자사의 레이싱팀인 [[엑스타 레이싱팀]]의 이름도 여기서 따왔다. [[한국타이어]]의 선례를 따라서 일반 타이어의 고급형 브랜드로도 나온다. * 엑스타 LX (KU27) - 2007년에 출시한 당시 제품명은 엑스타 LX 플래티넘. 마제스티가 나오기 전 세렉스와 더불어 자사의 승용차용 프리미엄급 타이어였다. 마제스티 출시 후 한동안 단종되었다가 온라인 전용 판매 제품으로 재출시되어 현재도 생산 & 판매 중이다. 온라인 전용 상품인만큼 오프라인 매장에선 구할 수 없다. 초기 품질에서 다운그레이드 되어 과거 대비 승차감과 정숙성은 기대 이하지만, 여느 염가형 제품에 비해 내구성은 우수하다는 평가. 가성비 타이어로서 나름 무난한 평가를 받는다. 미국에서도 [[월마트]]에서만 구입 및 장착이 가능하다. * 엑스타 STX (KL12) - 2002년에 출시한 엑스타 STX 모델은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자동차용 초고성능 타이어 타이틀을 얻은 바 있으며 (26~28인치), Tire Rack에서 실시한 소비자 평가에서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 현재도 북미시장에서 판매 중. * PS31 - 금호타이어 엑스타 시리즈의 엔트리급 제품으로 2018년 10월 엑스타 4XII의 후속이다. 북미시장 등 해외에서 선출시 되었다가 국내에서 출시된 케이스다. 핸들링의 우수성과 고속주행 시 안정성 그리고 빗길 제동력 및 정숙성까지 겸비하여 젊은 튜닝 마니아층들을 위한 스타일 감각과 경제성을 모두 갖추었으며, 전작 대비 소음 부분에서 많이 개선이 되어 정숙성에 대한 평가 또한 높아졌다. 다만 타이어의 패턴상 여름용 타이어에 속하므로 겨울철 성능엔 취약한 단점이 있어 겨울철엔 윈터타이어 장착이 필수적이다. * PS71 - 2018년 3월, 엑스타 LE Sport를 한층 업그레이드한 후속 제품. 엑스타 PS71은 고성능/고출력 차량이 가진 퍼포먼스를 안정적으로 구현해내기 위한 타이어로써 고성능 프리미엄 스포츠 UHP 타이어라는 타이틀에 걸맞은 뛰어난 핸들링과 고속 주행 안정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마일리지 성능을 강화하고 엑스타 LE Sport의 최대 강점인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능도 그대로 유지했다. 또한 견고한 블록 강성 설계, 벨트와 비드 내구력 강화를 통해 민첩하고 정교한 핸들링 성능을 구현했고, 각 리브 별 최적 형상 설계를 통해 안정된 고속 주행이 가능하다. [[기아 EV6]], [[스코다 옥타비아]], [[스코다 카뮉]]의 OE 타이어. * PS71S - 기존의 PS71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서 서킷 주행에 있어 기존 대비 접지면을 10% 이상 확보하였고, 패턴 블럭 강성을 15% 증가시켜 브레이킹, 트랙션, 코너링 성능의 향상을 이루어낸게 특징이다. 이 제품은 ‘2017 현대자동차 아반떼컵 레이스`의 공식타이어로 공급되기도 했다. * PS71 EV - 고성능 전기차 전용 타이어. 기존의 PS71에서 패턴 설계, 구조 설계, 컴파운드 설계, 사이드월 설계 등을 최적화해 내구성 측면에서 저소음, 내구성 강화, 제동성능 안전성을 확보하였고, 타이어 내부에 흡음재가 부착되었다. 16인치부터 20인치까지 장착이 가능하며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은 2등급이다. * PS91 - 최고 출력 500마력 이상의 고출력/고성능 차량에 최적화된 UHP 타이어. 2013년에 출시되었다. 고성능 차량의 퍼포먼스에 대응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된 특수 컴파운드가 적용되었으며, 후륜전용 규격에는 총접지면적 비율 (NG%) 확대 및 그루브 배열 최적화 패턴설계로 그립력 및 블록강성을 강화시킨게 특징이다. 더불어 PS91 전용 고강성 신규벨트 패키지를 적용하여 고속주행 안정성을 확보하였으며, 방열딤플 기술 적용으로 열발산 능력을 극대화하여 고속주행에서의 내구성 향상, 일반 UHP 타이어 대비 림프로텍터 기능이 강화되고 비드부 응력을 최적화하여 고속횡강력을 대폭 개선시켰다. 다만 나온지 10년이 넘은 사골모델에다 경영난 등으로 개선품이 나오지 못하면서 그동안 경쟁사들의 UHP 타이어들의 성능에 밀려 현재는 예전과 달리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후속 출시가 시급한 상황. [[BMW 5시리즈]] (G30)의 OE 타이어로 공급되었다. * V720 - 2014년에 출시한 초고성능(UHP) 타이어. 서킷에서의 최상의 성능을 발휘하는 포뮬러 테크놀로지가 적용됐다. 엑스타 V720은 고속 주행 시 뛰어난 내구력과 조종안정성, 핸들링 성능을 갖췄으며, 3D방열 딤플기술을 통해 열 발산 능력을 강화한 제품이다. 디자인 측면에서는 서킷 주행에 특화된 인-아웃 패턴과 사이드월의 체커기 이미지를 반영하여 역동성을 표현했다. [[닷지 바이퍼|닷지 바이퍼 ACR]]의 OE 타이어로 엑스타 V720을 단독 공급한 바 있으며[[현대 N 페스티벌]], [[TCR]] 등에 V720과 더불어 S700, W700, W701을 단독 공급하고 있다. 북미시장에는 후속 모델인 V730이 출시되었다. 머지 않은 날에 국내시장에서도 V730으로 대체될 전망이다. 이 외에도 PA31(해외용), PA51(해외용) 등이 존재한다. === 윈터크래프트 (WinterCraft) === 고급 세단에 어울리는 저소음, 컴포트 성능을 향상시킨 금호의 겨울용 타이어이다. 눈 내리는 풍경을 담아낸 스노우 아트 디자인과 다양한 겨울 노면에서 뛰어난 윈터 성능을 발휘한다. 고강성 보강재를 적용하여 승차감 및 주행안전성을 향상했다. 윈터 성능을 위한 최적 비율의 비대칭 패턴 설계와 블록 강성 강화를 통한 핸들링, 제동성능 향상을 위해 3D 사이프를 적용했다. 종 그루브 최적 설계를 통한 배수성능을 향상했고 지그재그 형태의 그루브 디자인을 적용하여 눈길 견인력을 극대화했다. 모래시계 형태를 한 새로운 마모 인디케이터 개발 및 적용으로 마모진행을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파워 그립 (Power Grip) === [[현대 포터|포터Ⅱ]], [[기아 봉고|봉고Ⅲ]]와 같은 1톤트럭 전용 염가형 윈터타이어. V형 트레드 패턴 설계 및 센터리브 적용으로 후 눈/빗길 주행 성능과 조종안전성을 확보하였고, 후속 제품인 윈터 포트란이 있지만, 단종시키지 않고 가성비 트럭용 윈터 타이어로 공략하고 있다. 90년대 타이어 시장에서 대활약을 펼쳤던 파워 시리즈 중 아직까지 롱런 중인 최후의 모델이기도 하다. === 포트란 (Portran) === [[현대 포터|포터Ⅱ]], [[기아 봉고|봉고Ⅲ]] 등과 같은 [[LCV]] 전용 타이어. 겨울용인 윈터포트란도 있다. 승차감과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어디까지 높은 적재 중량에도 버틸 수 있는 내구성과 강성을 중시한 타이어로서 1톤 트럭 오너들로부터 국산 3사중 최고라는 평가를 받으며, 국산 3사를 넘어 심지어 미쉐린 AGILIS 보다도 내구성이 좋다고 평가 받고 있다. [[현대 쏠라티]] 20인치 사양 및 [[현대 스타리아]]의 OE 타이어로 공급 중이기도 하다. === 에코윙 (Ecowing) === 2012년도에 출시한 친환경 타이어. 현재는 해외시장 전용으로 판매 중. [[세아트 이비자]]의 OE 타이어 (ES31). === 와트런 (Wattrun) === 국내 최초의 전기차 전용 저중량 타이어. [[르노삼성 SM3|르노삼성 SM3 Z.E]]에 OE로 장착되어 나온바 있으며, 현재는 유럽 전략형 타이어로 변경되었다. === 슈퍼마일 (SuperMile) === 택시 등 주행거리가 많은 영업차량용 타이어. KR25와 TX31이 존재한다. 각각 트레드웨어는 680과 720인만큼 내구성이 질긴편이며, 경쟁 모델로는 [[한국타이어]] 마일리지 플러스3 및 [[넥센타이어]] 마일캡이 있다. 간혹 TA31이 택시용이라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TA31은 엄연히 일반 세단용이며, 이를 기반으로 영업용으로서 내구성에 몰빵하여 만든 것이 TX31이다. === 로드벤처 (Road Venture) === 오프로드 전용타이어. AT (All-Terrain/모델명:AT51) 및 MT (Mud-Terrain/모델명:KL71) 제품이 존재하며 다른 제품들과 달리 로드벤처는 전량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한다. 시티벤처 출시 이전에는 로드벤처 시리즈가 금호타이어의 대표적 SUV/RV 전용 타이어였으며, 군용 타이어로도 사용된 바 있다. 2022년 2월, 북미시장에선 신제품 AT52가 출시되었다. 로드벤처 시리즈는 오프로드 캠핑이 국내보다 훨씬 발달되고 활발한 북미를 비롯한 해외지역에서 더욱 마케팅을 펼치는 중이다. 또한 타이어프로에서 취급도 잘 안하는 반면 북미시장 기준 AT/MT 모두 합쳐 총 5가지의 라인업이 존재한다. === 대형트럭/버스용 === 트럭용은 카고, 덤프트럭, 트레일러용 타이어 등 다양한 용도의 타이어가 존재하며, 한국타이어 못지않게 매니아 층이 형성되어 있다. 경쟁업체인 한국타이어는 사이드 강성이 강하다는 평을 듣지만 이쪽에선 승차감은 우위의 수준에 있지만 마모가 되면 타이어로 인해 특정 속도에서 차량이 트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LCV]] 전용인 포트란 시리즈와 달리 내구성면에선 한국타이어에 비해 열세이다. 반면 버스용 타이어는 한국타이어에 비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데, 과거 그룹사였던 [[금호고속]]을 운영하면서 타이어에 필요한 기술을 접목해온만큼 이 분야에선 독보적인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하여 운송업계 사이에선 버스용은 금호, 트럭용은 한국이라는 말이 있다. 여담으로 [[금호고속]], [[아시아나항공]] 승무원 셔틀버스, [[아시아나에어포트]] 램프버스, [[삼화고속]], [[동부고속]], [[동양고속]], [[금남고속]], [[전북고속]], [[중부고속]], [[새서울고속|서울고속ㆍ새서울고속]], [[충북리무진]], [[코리아와이드]][* 계열사인 코리아와이드경북, 코리아와이드진안, 대성티앤이에서도 장착중이다.], [[용남고속]], [[경일여객]], [[친선고속]], [[동해고속]] 등 시내, 전세는 지금도 금호타이어만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트럭은 [[CJ 대한통운]]도 사용하고 있다. KRA 시리즈, KRS 시리즈 등이 있다. 출고용은 [[기아]], [[현대자동차]], [[타타대우상용차]]에서 사용하고 있다. 2023년 10월 4일, 트랙터 및 카고용 KXA17, 전기버스용 KCA31, 5톤카고 후륜용 KXD10+ 및 시외버스 후륜용 KRA53을 출시했다. === 군용/특수차량 타이어 === [[지게차]]용, [[로더]]용, [[굴삭기]]용 타이어 등도 생산한다. [[K-151]] 및 [[중형표준차량]]에 KFA02 모델이 장착되며, [[K-911]]에 KFD04c 모델이 장착되어 출고한다. == 단종 모델 == * 센스 (Sense) - 실속형 사계절 타이어. 접지력이나 승차감 등은 보급형이였던 만큼 딱 그 가격대에 맞는 수준이였으며, 13인치부터 16인치까지 대응한다. 승용차용 (모델명:KR26)과 SUV용 (모델명:KL26)이 존재했었다. 2021년 8월, 후속작인 솔루스 TA21이 출시되면서 단종되었다. 단점으로 이상마모 증상 및 사이드월이 물러 코드절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넥센 CP672 및 한국 스마트플러스2에 비해 많이 팔리진 못했다. 다만 정숙성 만큼은 경쟁사 대비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 시티벤처 (City Venture)- 로드벤처를 기반으로 도심형에 맞게 개선한 SUV 타이어 브랜드. 2014년에 브랜드가 폐지되었다. 그러나 현존하는 시티벤처 제품이 아직 존재하는데, 그것이 바로 크루젠 프리미엄으로 개명한 시티벤처 프리미엄 KL33. * 카고메이트 (Cargomate) - 포트란 시리즈의 전신. 기아 봉고 프런티어 및 현대 포터 3세대 등의 OE 타이어로 사용된 바 있으며 2000년대 초반까지 봉고3 및 포터2의 스페어 타이어로도 장착된 바 있다. 지금도 노후화 된 1톤 화물차에 아직도 카고메이트가 장착된 것을 가끔씩 볼 수 있다. * 파워레이서 (Power Racer) - 엑스타 시리즈가 출시되기 전엔 자사의 대표적 고성능 타이어였다. * 파워 스타 (Power Star) * 파워 가드 (Power Guard) - 시티벤처 출시 이전에 로드벤처와 더불어 자사의 대표 SUV/RV용 타이어였다. 여담으로 로드벤처와 같이 [[기아]] [[K-131]] 등 군용 타이어로 사용된 바 있다.[[http://www.offroad.co.kr/bbs/board.php?bo_table=sub0505&wr_id=313|#]] * 파워 러너 (Power Runner) * 파워 맥스 (Power Max) * 오토파워 (Auto Power) - 세렉스와 파워레이서의 장점을 접목시켰고 자동 변속기 차량에 특화된 타이어로서 지금으로 치자면 친환경 타이어 개념이 되겠으나 당시만 해도 국내에는 오토매틱 차량 수요가 높지 않았던 시절인지라 국내보다 해외시장에서의 판매량이 더 높았다고 한다. * 세렉스 (Xelex) - 1993년에 출시한 자사의 승용차용 최고급 타이어. 뉴 세렉스, 세렉스DX 등 개선모델 출시로 2010년까지 롱런하다 마제스티 솔루스 (KU50)에 자리를 물려주고 단종되었다. 파워 시리즈와 더불어 금호타이어의 주력 브랜드였다. 이름 때문에 [[기아 세레스]]와 혼동된 사례도 종종 있었으나 이쪽은 영문 스펠링이 'XELEX' 였고, 세레스 차량의 영문 스펠링은 'CERES'였다. * 아이젠 (I'Zen) - 윈터크래프트가 나오기 전의 윈터타이어. 현재 북미, 러시아 등 일부 동절기 기후를 갖춘 해외시장 전용으로 판매 중. * 래디얼 시리즈 (Samyang/Kumho Radial Series) [[분류:타이어]][[분류:금호타이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금호타이어, version=550, paragraph=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