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북구(포항)의 면]] [include(틀:북구(포항)의 읍면동)] ||<-2> '''[[파일:포항시 CI.svg|height=15]] [[포항시|{{{#000000,#dddddd 포항시}}}]] [[북구(포항)|{{{#000000,#dddddd 북구}}}]]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기계면}}}'''[br]杞溪面 | Gigye-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포항시 북구 기계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북도 || || '''기초자치단체''' || 포항시 || || '''일반구''' || 북구 || || '''행정표준코드''' || 5040015 || || '''관할 법정리''' || 16리 || || '''하위 행정구역''' || 24행정리 102반 || || '''면적''' || 91.91㎢ || || '''인구''' || 4,927명[*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53.61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포항시 북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정재]] ,,(재선),, || ||<-2> '''경상북도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한창화(정치인)|한창화]] ,,(4선),, || ||<-2> '''포항시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상백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상범(1965)|이상범]] ,,(3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근면길 14 (현내리 284) || || [[https://www.pohang.go.kr/bukgu/eupmyun/gigye|기계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에 있는 [[면(행정구역)|면]]. == 역사 == 삼국시대 - 신라 퇴화군(退火)의 속현 모혜현(芼兮) 또는 화계현(化鷄) 남북국시대 - 신라 경덕왕의 지명한화정책으로 757년 의창군(義昌) 속현 기계현(杞溪)으로 개칭 고려시대 - 경주부 기계현 조선시대 - 경주부 기계현 → 1789년 면리제 실시로 경주 기계면 → 1906년 흥해군 기계현 (42리동) 일제시대 - 1914년, 부군면동리 통합으로 흥해·청하·장기·연일군 등 4군이 통합된 영일군의 기계면이 됨 (42리동→23동) 대한민국 - 1967년, 기북출장소 설치 1988년 동(洞)을 리(里)로 개정 1986년, 기북출장소가 기북면으로 승격 분리 1995년, 도농통합으로 포항시 북구 기계면이 됨 신라시대 현기(縣基)는 현재 기계면 문성리 무학산(일명 백마산) 기슭이었으나, 신라 말에 아찬 유삼재(兪三宰,기계유씨 시조)가 낙향하면서 현재 기계면 현내리로 현기를 옮겨서 현재 기계면 면소재지까지 이어졌다. 후삼국시대 기계 호족 유의신(兪義臣)이 신라가 항복한 뒤에도 고려에 항복하지 않자 왕건은 그를 기계현 호장으로 삼았다. 기계 유씨는 고려 조정에 벼슬을 하지 않고 은둔하다가 고려 후기에 가서야 중앙 관직으로 진출하였다. ⊙ 계전리(桂田) ⊙ 고지리(高旨) ⊙ 내단리(內丹) ⊙ 문성리(文星) ⊙ 미현리(美峴) ⊙ 봉계리(鳳溪) ⊙ 성계리(星溪) ⊙ 인비리(仁庇) ⊙ 지가리(芝柯) ⊙ 학야리(鶴野) ⊙ 현내리(縣內) ⊙ 화대리(禾垈) ⊙ 화봉리(禾峰) ⊙ 가안리(駕安) ⊙ 구지리(九旨) ⊙ 남계리(南溪) == 주요 시설 == === 기관 === * 기계면행정복지센터 === 교육 === ==== 초등학교 ==== * 기계초등학교 ==== 중학교 ==== * 기계중학교 ==== 고등학교 ==== * [[경북세무고등학교]] == 교통 == === 버스 === 포항은 좌석버스 요금이 일반버스 요금에 통합되었지만 경주는 좌석버스 요금을 여전히 따로 징수하고 있어 경주 버스가 좀 더 비싸다. ==== 좌석 ==== * [[포항 버스 700]] - 포항시내방면이다. * [[경주 버스 200]] - 안강 / 경주방면이다. 안강까지는 기계1번 공동 이용가능. ==== [[코리아와이드 포항마을버스/기계·기북 권역|마을버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코리아와이드 포항마을버스/기계·기북 권역)] * [[포항 버스 기계1]] * 포항 버스 기계2 * 포항 버스 기계3 * 포항 버스 기계5 * 포항 버스 기계6 * 포항 버스 기계9 * 포항 버스 기계10 * 포항 버스 770 * 포항 버스 771 === 도로 === * [[31번 국도]] - 포항시내와 청송을 잇는 국도로, 기계면 주민들의 발인 국도다. *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서포항IC]] * [[68번 지방도]] - 기계와 경주시 안강읍 및 신광면을 잇는 도로. === 철도 === 기계면에는 철도가 없으며, 기계면에서 가장 가까운 철도역은 [[경주시]] [[안강읍]]의 [[안강역]]이다. 단, [[안강역]]으로 바로 가는 버스는 없다. 안강역으로 가려면 안강읍내로 가는 시내버스를 이용한 다음 안강에서 [[경주 버스 210]]이나 택시를 이용해야 한다. == 이야깃거리 == 6.25전쟁 중 [[영천·신녕전투]]의 접전지 중 하나였다. 아이러니하게도, 기계면 내에는 전쟁을 피해 피란온 사람들이 형성한 마을이 있었다. 그것이 바로 기계면 미현리 내의 중재내미. 지금은 마을이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기계 유씨]]의 기계가 바로 이 곳이다. 이외에 [[경주 최씨]], 안강 노씨 등도 많이 살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