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노르웨이 의회의 원내 구성)] ||<-2> [[파일:노르웨이 기독교민주당 로고.png|width=200]] || ||<-2> {{{#000 '''Kristelig Folkeparti[*A 뉘노르스크][br]Kristelig Folkeparti[* 보크몰]'''}}} || || {{{#000 '''약칭'''}}} ||KrF[*A]|| || {{{#000 '''한글명칭'''}}} ||기독교민주당|| || {{{#000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9d537; border: #;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000 노란색}}}}}} || || {{{#000 '''대표'''}}} ||올라그 볼레스타드|| || {{{#000 '''창당일'''}}} ||[[1933년]] [[9월 4일]]|| || {{{#000 '''당사'''}}} ||Øvre Slottsgate 18–20[br]0154 [[오슬로]]|| || {{{#000 '''이념'''}}} ||[[기독교 민주주의]][br][[사회보수주의]][br][[군주주의]]|| || {{{#000 '''정치적 스펙트럼'''}}} ||[[중도주의|중도]] ~ [[중도우파]]|| || {{{#000 '''북유럽 정당'''}}} ||[[중도 그룹]]|| || {{{#000 '''청년 조직'''}}} ||젊은 기독교민주당원(KrFU)|| || {{{#000 '''국제 조직'''}}} ||[include(틀:중도민주 인터내셔널)]|| || {{{#000 '''유럽 정당'''}}} ||[[유럽 인민당]]|| || {{{#000 '''스토르틴게트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9d537 calc(3*100%/169), #fff 0%)" {{{#000 '''3석 / 169석'''}}}}}} || || {{{#000 '''웹사이트'''}}} ||[[http://www.krf.n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kristeligfolkeparti/|[[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rfnorge/, 크기=25)] [[https://www.instagram.com/krfnorg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노르웨이의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이다. == 상세 == [[1930년대]]에 노르웨이의 세속화에 대응하여 [[기독교]]계를 중심으로 창당하였다. 창당 직후 선거에서 1석을 확보하여 곧바로 원내 진출에 성공한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크게 성장하면서 꾸준히 두자릿수 의석을 확보했고 [[1965년]] 총선에서는 [[보수당(노르웨이)|보수당]], [[좌파당(노르웨이)|좌파당]], [[중앙당(노르웨이)|중앙당]]과 손잡고 전후 첫 보수 정부를 출범시키면서 최초로 내각에 참여했다. 이후에도 노동당의 절대 우세 상황 속에서도 [[라르스 코르발]] 대표 주도로 중앙당, 좌파당과 다수 연정을 구성해 트뤼그베 브라텔리 총리가 이끄는 노동당 소수 내각을 무너트리고 [[1972년]] [[10월 18일]] 정권교체를 만들어내며 창당 후 처음으로 총리를 배출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보수당 주도 우파 연정에 꾸준히 참여하면서 안정적으로 입지를 확보하다가 [[1997년]] 열린 총선에서 이전 총선 대비 12석이 늘어난 25석을 확보, [[진보당(노르웨이)|진보당]]과 공동 2당이 된 후 중앙당, 자유당과 함께 다시 정부를 구성해 창당 이후 두번째 총리인 [[셸 망네 본데비크]] 총리를 배출했다. 이후 보수당과도 손잡으면서 1997년부터 2005년까지 8년간 노동당과 노르웨이 정계를 좌지우지했다. 하지만 2005년 총선에서 6.8%를 득표에 그쳐 선거 전 의석의 절반을 상실한(...) 이후 시점부터 8~10석을 유지해 오다 [[제65회 노르웨이 총선|2021년 총선]]에서는 3석으로 폭락했다. 지지층은 주로 노르웨이 남부의 [[바이블벨트]]이며 아그데르주에서 전국 평균에 비해 더 표를 얻는다. 2010년대 이후 진보당이 성장하면서 진보당과 경쟁하고 있는 상황.[[http://www.tv2nyhetene.no/innenriks/politikk/valg09/-hoybraten-tjener-pa-homomotstand-2884710.html|#]] == 성향 == 당 강령에는 여전히 기독교 가치가 남아있는 상황이지만, 시간이 갈수록 [[세속주의]]와 [[사회민주주의]]가 우세인 상황에서 사회보수적 문화를 지키고 경제적인 면에서 좌파적인 성격을 띄게 되면서 중도 정당 성격이 강해지고 있다. 낙태, 안락사는 반대하지만 강간에 의한 임신이나 임산부의 생명이 위험할 때는 낙태를 지지한다. 따라서 피임 방법도 같이 연구하고 있다.[[http://www.krf.no/ikbViewer/page/krf/artikkel/hva-mener-krf?p_document_id=3595|#]] 동성 결혼과 동성애자 입양 권리도 반대하며 동성애 성직자 문제에 대해서는 중립을 유지하고 있다.[[http://www.krf.no/ikbViewer/page/krf/artikkel/hva-mener-krf?p_document_id=3585|#]] [[분류:노르웨이의 정당]][[분류:사회보수주의 정당]][[분류:기독교 민주주의 정당]][[분류:중도민주 인터내셔널 소속]][[분류:1933년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