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신라 국왕)]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0%,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신라 제15대 국왕[br]{{{+1 기림 이사금 | 基臨 尼師今}}}'''}}} || ||<|2> '''출생[br]{{{-3 (음력)}}}''' ||연대 미상 || ||[[사로국]] [[서라벌]] || ||<|2> '''사망[br]{{{-3 (음력)}}}''' ||[[310년]] [[6월]] || ||[[사로국]] [[서라벌]] || || '''능묘''' ||미상 || ||<|2> '''재위기간[br]{{{-3 (음력)}}}''' ||'''{{{#fbe673 제15대 이사금}}}'''|| ||[[298년]] [[12월]] ~ [[310년]] [[6월]] {{{-2 (12년)}}}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경주 석씨]] || || '''휘''' ||기림(基臨) / 기립(基立) || || '''부모''' ||부친 석걸숙 || ||<|2> '''왕호''' ||'''기림 이사금(基臨 尼師今)''' || ||'''기립 이사금(基立 尼師今)''' ||}}}}}}}}} || [목차] [clearfix] == 개요 == [[신라]]의 제15대 군주. 칭호는 [[이사금]]. 제14대 [[유례 이사금]]부터 석씨 [[왕실]]의 마지막 왕이었던 제16대 [[흘해 이사금]]까지 세 명의 자세한 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제13대 [[미추 이사금]] 이후에는 김씨가 영향력을 행사했을 가능성이 높고, 이후 석씨 왕실이 무너지며, 김씨가 왕실을 차지하는 과정에서 석씨 왕실의 계보가 실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기림 이사금은 제11대 [[조분 이사금]]의 아들, 손자, 증손자라는 여러가지 설이 있다. 나이 차이로 보아 아들일 가능성은 적고, 일반적으로 《[[삼국유사]]》가 석걸숙을 누락한 것으로 본다. 조분 이사금의 손자라는 설을 따르면 아버지는 [[이찬]] 석[[걸숙]]인데 《[[삼국사기]]》에는 석걸숙이 조분 이사금의 손자라는 주장도 함께 싣고 있다. == 업적 == 300년 정월 [[왜]]와 화친하고, [[비열홀]]에 순행해 노인과 빈민들을 위문하며 식량을 하사했다. 비열홀이 현재 비정되고 있는 [[함경남도]] [[안변군]]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들고 있는데 [[경상도]] 지역도 제패하지 못한 3~4세기 신라의 상태에서 그 정도 북쪽까지 올라갈 능력이 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아무튼 기록상으로는 지금의 [[강원도]] [[춘천시]] 근방인 우두주에 이르러 [[태백산]]을 바라보며 [[제사]]를 지냈고, 그 해 음력 3월 [[낙랑]]과 [[대방]] 두 나라가 [[항복]]해왔다고 한다. 다만 낙랑과 대방이 이 시기에 항복해왔다는 기록은 다소 믿기 어렵다. 신빙성을 찾아보겠다고 생각하고 봐도 낙랑과 대방의 항복 기사는 진짜 항복이 아니라 [[고구려]]에 대응하기 위한 수교 요청일 가능성이 높은데[* 비슷한 사례로 중국 측 사서에 몇 번이고, [[현도군]]에 귀속을 청하는 [[고구려]]가 있다. 이것 또한 현대적인 관점의 항복이 아닌 적대적인 관계를 청산하고, 정상적인 외교 강화를 맺은 것으로 본다.] 바로 직전에 고구려와 맞대고 있는 지역인 비열홀에 순행했다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신라가 비열홀까지 갔을 가능성도 드물어서 기사 자체에 의문이 들기도 한다. 307년, [[탈해 이사금]](제4대)이 '[[계림]]'으로 바꿨던 [[국호]]를 다시 '신라'로 되돌렸다. 신라로 확정한 것은 후대의 [[지증왕]](제22대)때의 일이다. [[서라벌]]의 [[음차]]인 신라, [[사로국|사로,]] 사라 등이 왔다갔다하고 있었고 국호를 확정했다는 언급은 지증왕대에 나온다. 기림 이사금의 행적은 동시대의 다른 신라 왕들과 비교해봐도 기이하며, 위와 같이 시기적으로 [[모순]]된 기록이 자주 나타나는 것 때문에[* [[조분 이사금]](제11대)의 아들인지, 손자인지, 증손자인지 기록마다 전부 다른 것도 이와 연관이 있을 것이다.] [[미추 이사금]](제13대), [[유례 이사금]](제14대)과 더불어 후대의 기록이 앞당겨졌다는 설도 있는데 구체적으로 기림 이사금이 [[충주 고구려비]](480년 건립 추정)에 나오는 매금 '''기'''(忌)와 동일인일 가능성이 있다. 《[[북사]]》와 《[[수서]]》에 기록된 다소 뜬금없는 신라 건국 신화와 연관이 있을지도 모른다. 이 기록에 따르면 신라는 [[위(삼국시대)|조위]]의 장수 [[관구검]]과의 [[비류수 전투]]에서 패배한 [[동천왕]]을 따라 [[옥저]]로 이동한 [[고구려]]의 유민이 훗날 동천왕이 고구려로 돌아갈 때 돌아가지 않고 남아 세운 나라로, [[마한왕|백제 사람을 왕으로 세웠으며]] 한 / 예 / 옥저 / 불내에 걸쳐 있다가 바다를 건너와 신라를 건국했다고 전한다. == 《[[삼국사기]]》 기록 == [include(틀:삼국사기)]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42677&cid=49615&categoryId=49798|《삼국사기》 <기림 이사금 본기>]]''' 一年冬十二月 기림 이사금이 즉위하다 二年春一月 장흔을 이찬으로 삼다 二年春二月 시조묘에 제사지내다 三年春一月 왜국과 강화를 맺다 三年春二月 비열홀에 순행하다 三年春三月 태백산에 망제를 지내고, 낙랑과 대방 두 나라가 항복해 오다 三年 봄과 여름에 가물다 七年秋八月 지진이 일어나 샘물이 솟아오르다 七年秋九月 서울에 지진이 일어나다 十年 나라 이름을 다시 신라라 하다 十三年夏五月 죄수들을 사면하다 十三年夏六月 왕이 죽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신라 왕실)] [[분류:이사금]][[분류:경주 석씨]][[분류:310년 사망]][[분류:경주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