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엑시즈 소환]][[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퍼핏(유희왕), top2=RUM)] [include(틀:유희왕/OCG/테마)] [include(틀:IV 덱 관련 문서)] ||<:><-6><#552233> '''{{{#!html기믹 퍼핏}}}'''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퍼핏 퍼레이드.png|width=100%]][br] ,,[[기믹 퍼핏#괴뢰장의-퍼핏 퍼레이드|{{{#F0227D 괴뢰장의-퍼핏 퍼레이드}}}]],,}}} || || '''한국어판 명칭''' ||<-5> '''기믹 퍼핏''' || || '''일어판 명칭''' ||<-5> '''ギミック・パペット''' || || '''영어판 명칭''' ||<-5> '''Gimmick Puppet''' || ||<-2> '''속성''' ||<-2> '''종족''' ||<-2> '''관련 카테고리''' || ||<-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기어 체인저와 폭탄 에그는 땅 속성.] ||<-2> [[기계족]] ||<-2> 효과[br]'''[[엑시즈 소환|엑시즈]]'''[br][[링크 소환|링크]] ||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카드군. [[유희왕 ZEXAL]]의 등장인물 [[IV(유희왕)|IV]]가 사용한 카드들로, 꼬일 대로 꼬인 그의 성격을 대변하듯이 전부 뒤틀린 인형의 모습을 하고 있다. 어딘가 비틀린 디자인과 대비되는 알록달록한 배색으로 엽기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일러스트가 특징이다. 유희왕에 그로테스크한 이미지를 가진 카드는 많지만 이 카드군은 특히 가학적이면서도 기괴스럽다.[* 때문에 '''겉으로는''' 신사처럼 행동하고 있는 IV가 공개적으로 사용하는 덱은 대회에서 들고 나온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인 듯하다.] 추가 지원으로 디자인의 방향성이 조금 달라졌는데, 전체적으로 칙칙하고 호러스러운 분위기가 되었다. 유희왕에서는 흔치 않은 이런 디자인과 애니메이션 사용자의 굴지의 인기 덕분에 성능과는 별개로 카드군 자체의 인기는 꾸준한 테마이기도 하다.[* 후술할 인피니트 포비든 기믹 퍼핏 지원 소식이 뜨자마자 본 위키는 물론 일본 실시간 검색어에 기믹 퍼핏이 상위권을 차지할 정도였다.] 실제로는 그냥 카타카나로만 "기믹 퍼핏"이라고 쓰지만, 애니메이션 초반 아이캐치 부분에서 한자로 "지옥인형"이라 쓰고 "기믹 퍼핏"이라고 루비가 달린 표현이 한 번 사용된 적이 있다. [[퍼핏(유희왕)|퍼핏]]이라는 상위 카드군이 존재하지만, 땅 속성/전사족 몬스터만 지정하며 사용자도 다르기에 연관성은 없다. 사용자인 IV를 의식해서 추가 지원의 트위터 정보 공개는 늘 '''[[4]]'''와 관련된 시기에 공개되는 것이 특징이며, 특히 정각에 맞추지 않고 4분에 하는 것이 전통이다. 10기의 프팩 / 듀팩 / 정규팩 지원이 그러했고[* [[https://twitter.com/YuGiOh_OCG_INFO/status/1068838119661858816|키메라 돌]](2018년 12월 1일 오후 9시 4분), [[https://twitter.com/YuGiOh_OCG_INFO/status/1131828176882229248|비스크 돌]](2019년 5월 24일 오후 4시 44분), [[https://twitter.com/YuGiOh_OCG_INFO/status/1132009371133775872|테러 베이비]](25일 '''새벽''' 4시 44분), [[https://twitter.com/YuGiOh_OCG_INFO/status/1135517486537822209|퍼핏 퍼레이드]](6월 3일 오후 9시 4분), [[https://twitter.com/YuGiOh_OCG_INFO/status/1178566144585805825|콘돌렌스 퍼핏]](9월 30일 오후 4시 4분)], 12기의 인피니트 '''포'''비든 지원 또한 2024년 3월 1'''4'''일에 공개됐는데, 이 날은 발매일인 4월 27일로부터 정확히 '''44'''일 전이 되는 날이다.[* 이 날짜를 맞추기 위해서인지 13일에는 본래 저녁 트위터에서나 공개하던 낱장 후라게를 굳이 홈페이지에 공개하며 시간을 끌었다. 예전부터 이런 팬서비스에 진심이던 코나미가 대놓고 이 타이밍을 노린 것 같은 시간 설정. 저녁 9시의 고화질 일러스트 공개 또한 9시 4분부터 10분 간격으로 10시 44분까지 진행됐다.] == 설명 == === 성능 === >'''"희망이 주어지고, 그것을 빼앗긴다. 그 순간에 인간은 가장 아름다운 표정을 짓지. 그것을 베푸는 게 나의 팬 서비스다."''' >---- >주인인 [[IV(유희왕)|IV]]를 상징하는 대사. 강제로 상대 필드에 몬스터를 안겨주고 파괴하는 기믹 퍼핏 덱의 플레이 스타일과도 일치한다. 제알의 애니 테마가 그렇듯 같은 레벨 몬스터를 전개해 에이스 몬스터를 뽑는 부분까지는 동일하나, 랭크 8 몬스터를 주력으로 삼고 소환된 몬스터가 번 데미지를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기믹 퍼핏의 개성. [[RUM-아젠트 카오스 포스]]를 가장 잘 쓸 수 있는 테마이기도 하기에 제알 테마 중에서 적극적으로 랭크 업 몬스터를 꺼내는 테마이기도 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에 비해 효과의 너프가 심하고 메인 덱 몬스터의 성능도 낮은 탓에 11기까지는 놀림감이 되는 일이 다분했으나, 12기 [[인피니트 포비든]] 지원 이후로는 초동과 전개력, 내성, 승리 플랜 모두 건실하게 채워졌다. 전개에 필요한 블러디 돌을 안정적으로 수급할 수 있는 방법도 제법 많으며 필드 마법과 테러 베이비로 상대의 견제를 무시하고 전개할 수 있다는 점은 매력적. 새롭게 지원받은 기믹 퍼핏은 필드 마법이 부여하는 강력한 내성을 통해 상대에게 엑시즈 몬스터 소환을 유도한 후 파괴하여 데미지를 늘리는 플레이 위주로 게임을 운영해나가며, 이 전술이 안 통하는 상대에게는 자신의 엑시즈 몬스터를 상대 필드에 강제로 던져놓아 조건을 충족시킨다. 이것을 극대화하면 필드 마법 1장으로 선공에 승리하는 FTK 루트도 존재한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cggame&no=2700433|#]][[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cggame&no=2701148|##]] 다만 필드 마법을 서치할 방법이 테마 내에 없고, 내성이 부여되는 것은 어디까지나 자신 필드의 몬스터 뿐이라 패에서 발동하는 블러디 돌에 날아오는 하루 우라라[* 이 부분은 테러 베이비의 체인 불가 효과를 미리 적용하면 피할 수 있긴 하다], 서치 자체를 봉쇄하는 드롤 등의 패트랩이나 범용 사이딩, 특히 묘지 쓰는 광암덱의 극약인 [[비스테드]][* 나이트메어를 던져주어 대응하려해도 그 나이트메어 자체를 제외하고 나올 수 있어 대처가 어렵다.]에 취약한 부분이 분명 존재하기에 환경권에서 안정적 선턴킬로 날뛰기엔 어려운 정도로 밸런싱 되어있다는 전망이 나오곤 한다. 놀림감 취급을 받던 시절 유머글들의 영향으로 흔히 제약이 터무니 없이 강한 테마로 알려져있는데, 실제로도 제약이 불편하게 걸리는 부분이 없진 않고 워낙 다양하고 창의적으로 걸린 제약이 많아 눈에 띄어서 그렇지,[* 체인 블록을 만들지 않고 소환 제약을 거는 나이트메어, 엑시즈 소재로 제거되면 제외된다는 전무후무한 디메리트를 가진 섀도우 필러, 배틀 페이즈 스킵 + 마함 존 비우기라는 빡센 제약을 가진 데스티니 레오, 덱 특소가 안 되는 기어 체인저, 라이프 제약에 배틀 페이즈까지 넘기는 괴뢰의식 등, 실제로 이걸 쓰긴 하는지, 걸리적거리는지는 둘째치고 제약이 워낙 참신하게 걸린 카드들이 많아 네타거리가 된 이유가 크다.] 사실 제약을 가진 왠만한 테마들보다 극심한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제약은 효과 발동 후에 남는 디메리트 계열이며, 이런 부류에서 흔히 얘기 나오는 맹세 제약은 오히려 12기 지원으로 받은 블러디 돌에나 붙어있다. 해괴한 제약을 가진 섀도우 필러, 나이트메어, 괴뢰의식은 애당초 실전 채용이 거의 되지 않으며 퍼핏 퍼레이드도 자신 턴에 발동할 일이 거의 없다.] 실제로 당시 기믹 퍼핏은 테마가 약하다는 이유로 전개 용병을 꽤나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편이었으니 진짜로 제약이 강해서 용병 채용도 못하는 덱들과 비할 바는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감상 제약이 거슬리는 경우가 많은 것은 핵심 전개 요원인 네크로 돌을 우수한 8랭크 용병 몬스터의 소재로 쓸 수 없다는 제약 탓이었으며, 지원을 통해 기믹 퍼핏 엑시즈 몬스터 전반이 강화되고 네크로 돌 이외의 우수한 전개 파츠도 추가되면서 제약에 걸맞는 성능을 가지게 되자 오히려 엑스트라 덱만 제약이 걸리고 메인 덱 채용은 널널하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히기도 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덱 구축 단계에서 블러디 돌의 엑스트라 덱 제약을 신경 쓰고 돌파용으로 기간테스 돌을 쓰면 메인 덱 몬스터에도 제약이 걸린다는 점에 유의하는 정도면 되며, 상황에 따라 블러디 돌과 키메라 돌만 사용하지 않으면 제약 우회 전개도 가능하다. ==== 장점 ==== * '''높은 턴킬력''' 원작에서도 보여줬듯 기믹 퍼핏의 가장 큰 정체성은 연속 파괴와 번 뎀으로 빠르게 게임을 끝내버리는 화끈한 턴킬력이다. 11기까지는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필요하고 그마저도 제대로 된 번뎀을 주려면 랭크 업 매직이 필수라는 단점이 있었으나 12기 지원 후로는 RUM 서치는 물론 아예 자신의 엑시즈 몬스터를 상대 필드에 넘겨 선공에도 효과 데미지만으로 턴 킬을 하는 플랜이 가능해졌다. 특히 자이언트 킬러의 효과가 1턴에 2번이고 데블즈 스트링스가 자신의 몬스터를 파괴해도 데미지를 줄 수 있다는 점이 주목받아 턴 킬 플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두 카드 모두 옛날 카드라 명칭 제약이 없다는 것도 장점. * '''풍부한 서치 및 덤핑 수단과 대량 전개력''' 전용 필마인 지옥인형의 저택, 코스트로 덤핑을 하는 리틀 솔저즈와 대량 덤핑이 가능한 콘돌레스 퍼핏, 덤핑과 서치 둘 다 가능한 키메라 돌 등 서치 및 덤핑 수단이 많으며 묘지에서 매 턴 부활하는 네크로돌과 패의 자신과 덱의 기믹 퍼핏을 동시에 불러오는 블러디 돌 같은 테마군 내의 전개력도 좋은 편. 여기에 기계복제술과 지옥의 폭주 소환까지 더해지면 더욱 폭발적으로 늘어난다. 상대 필드에 몬스터를 던져주는 특성 상 선공에 지폭소를 사용할 수 있는 점도 기믹 퍼핏만의 장점. * '''상대의 견제 효과에 대한 차단력''' 지옥인형의 저택은 기믹퍼핏에게 전투 내성은 물론 엑시즈 몬스터 외의 상대 몬스터 효과에 대한 완전 내성을 주기에 상대의 견제 효과는 물론 패트랩도 무시할 수 있으며 테러 베이비의 체인 불가 효과까지 더해지면 상대는 기믹 퍼핏의 전개를 방해할 수 있는 수단이 거의 없어진다. 턴킬이 목적인 테마인만큼 상대의 방해를 차단할 수단이 많은 것은 매우 큰 장점. ==== 단점 ==== * '''후열 및 상대 턴 견제력 부족''' 턴킬에 모든 걸 건 테마인만큼 턴킬 실패 시 뒤가 없다는 점이 큰 단점이다. 서치 및 필드 전개력은 높으나 대량으로 패 아드를 수급하는 수단이 부족하기에 후속을 챙기기는 어렵고 상대 턴 견제력이 패나틱스 마키나와 서비스트 퍼핏뿐이라 턴킬에 실패하면 쉽게 뚫려버린다. 맹세 제약 탓에 블러디돌 루트를 타는 순간 범용 엑스트라 덱 몬스터도 쓸 수 없게 되기에 다른 용병 카드로 견제를 하는 것도 어려운 부분. 그나마 이 부분은 호루스 테마와 섞으면 어느 정도 보완은 가능하긴 하다. * '''테마 내 마법 카드 서치 수단 부재''' 테마 내에서 서치 가능한 건 퍼핏 함정 카드 뿐이라 초동으로 쓸수 있는 지옥인형의 저택이나 콘돌렌스 퍼핏의 서치 수단이 없다. 특히 지옥인형의 저택은 가장 먼저 가져와야 하는 카드임에도 범용 필드 서치에 기댈 수 밖에 없기에 이들이 잡히지 않는다면 플랜에 큰 애로사항이 발생한다. * '''파괴 외 제거 수단의 부재''' 기믹 퍼핏의 제거 효과는 전부 파괴 효과이기에 파괴 내성을 가진 몬스터에 대해선 무력하며 No.40 계열 외엔 전부 대상을 지정하는 효과라 대상 지정 내성을 가진 몬스터에게도 효과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다만 이 부분은 자신의 몬스터를 상대에게 넘겨주어 파괴하고 번 뎀을 주는 플랜이 생겼기에 어느 정도 보완이 가능해졌다. === 역사 === OCG에서는 잡지 동봉으로 엑시즈 몬스터들만 발매되었으나, [[프리미엄 팩]] 15에서 메인 덱 몬스터들과 전용 마법 카드가 발매되어 어엿한 하나의 카드군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후 [[컬렉터즈 팩]] 등으로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대부분의 카드가 대거 발매되어 하나의 덱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주요 카드의 대부분이 한정 판매 팩이나 동봉 카드 등 구하기 어려운 경로로 등장했기 때문에 소위 말하는 "팩뜯"으로 덱을 구성하기는 대단히 어려운 카드군으로 소문이 자자했다. 국내에서는 상기한 카드 대부분이 [[프리미엄 팩/한국판]]에 수록되어 비교적 입수 난이도가 낮아지기는 했으나, 여전히 핵심 카드의 레어도가 높고 공급이 적어 싼 가격으로 만들 수 있는 덱은 아니다. 후일의 듀팩 재록도 네크로 돌과 헤븐즈 스트링스를 제외한 나머지 몬스터들은 구하기 쉬운 카드들이라 재록된 카드마저 애매해 여전히 비싼 덱이다. 특히 데스티니 레오는 아직도 구하기가 힘들고, 일판 기준 디저스터 레오 역시 마찬가지이다. 디플레 환경이었던 제알 시즌임을 감안하면 난이도 높은 8축을 구사하는 것 치고는 꽤나 전개력을 갖춘 테마였으며, 어둠 속성 / 기계족에 메인 덱 몬스터의 낮은 스탯도 당시의 8랭크 몬스터 대부분을 소환할 수 있고 [[지옥의 폭주소환]]과 [[기계 복제술]]에 대응된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전개만 잘할뿐 아드 벌이 수단이 없는데 [[스페이스 드래곤]]을 비롯한 우수한 8축 요원이 우후죽순 등장하면서 기믹 퍼핏은 점차 도태되었다. 10기 신 마스터 룰 시기에는 [[프리미엄 팩]] 2019,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 [[이그니션 어썰트]]를 거치며 추가 지원을 7장이나 받았으나, 이 시기에 받은 추가 지원도 죄다 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는커녕 그대로 유지시킨 게 대부분이라 성능 면에서 그다지 발전하지 못했다. 기믹 퍼핏은 전개 결과물이 부족한 덱이지 전개력 자체가 떨어지는 덱은 아닌데, 테러 베이비, 비스크 돌, 키메라 돌, 퍼핏 퍼레이드, 콘돌렌스 퍼핏으로 초동 & 전개 카드만 5장을 받았으며, 꼴에 내성으로 쓰라고 묘지 제외 효과를 추가해주긴 했는데 도저히 내성이라 부르기 힘든 수준에서 머물렀다. 시대를 놓쳐도 너무 놓친 기간테스 돌과 쓸데없이 레벨 조정 효과를 가져온 퍼폼 퍼핏이 그 정점. 속성과 종족 시너지가 있는 [[오르페골]]을 얻어탈 수 있음에도 그러했다. 그 성능 탓에 11기 및 12기 전반부에는 가히 웃음벨 수준의 취급을 받고는 했다. 물론 기믹 퍼핏보다도 상황이 좋지 않은 테마는 완전 무근본 잡덱을 제외하고도 엄연히 존재한다.([[아르카나 포스]], 베놈, 엄브럴 등) 다만 이쪽은 원작 사용자인 IV가 상당한 인기 캐릭터인 데다 비교적 최근인 10기 지원까지 받아 카드풀은 꽤 풍부한 테마임에도 여전히 그 지경인 것이 오히려 놀림거리가 된 웃픈 케이스. 그렇게 세월이 흐르고 [[인피니트 포비든]]에서 지원이 발표되었다. 엑시즈 소환을 손쉽게 하는 양질의 지원[* 흔히 테마 덱의 성능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리는 강력한 단일 지원카드를 의미하는 은어인 [[참기(유희왕)#참기 서큘러|서큘러]], [[엑소시스터#엑소시스터 마르파|마르파]], [[뉴 클리어 월드/스토리|세괴 필드 마법]]을 모두 받았다는 말이 진담반 농담반으로 나올 정도. --참고로 셋 다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파오엘]] 출신이다--]을 받았으며, 상대 필드에 몬스터를 떠넘기고 기믹 퍼핏 엑시즈로 파괴하여 번 데미지를 주는 새로운 플레잉 컨셉이 추가되었다. 원작에서 IV가 자이언트 킬러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엑시즈 몬스터를 필드에 놓을 것을 유도하는 것은 물론, 아예 상대 필드에 엑시즈 몬스터를 강제로 소생시키는 카드도 썼음을 생각하면 적절한 컨셉. 6000 정도는 우습게 주는 번뎀에 더해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고 발동하는 효과들이 많아져서 예능성이긴 하나 [[CNo.88 기믹 퍼핏-디저스터 레오]]의 특수 승리도 난이도가 꽤나 낮아졌다. 패 트랩에 취약했던 단점도 전용 필드 마법의 내성 부여로 보강이 되었으며 무언가를 한다는 선택지조차 불분명했던 과거의 기믹 퍼핏에 비하면 장족의 발전. === [[유희왕 듀얼링크스]] === 번뎀 반토막 일괄 적용으로 인해 모든 에이스들의 번 데미지가 전부 반토막났다. 그러나 코나미도 안 그래도 저열한 성능의 기믹에 번뎀 반토막만 끼얹으면 더더욱 나락으로 떨어질 것을 인식했는지, 예상 외로 강력한 스킬들을 내주며 어떻게든 심폐소생술을 해준 덕에 시간이 지난 지금은 제법 쓸 만한 덱까지 올라왔다. 자체 성능이 좋지는 않지만 강력한 스킬과 어드밴스 드로우를 통한 부스팅으로 부족한 견제와 전개력을 끌어올린 케이스. 특히 자주 쓰이는 스킬은 IV로 레벨 20을 달성하면 지급되는 '퍼핏의 희생'[* 이 스킬은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과 엑스트라 덱의 몬스터가 '기믹 퍼핏' 몬스터와 어둠 속성인 'No.' 몬스터만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① : 자신의 패 또는 덱에서 레벨이 8인 '기믹 퍼핏'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자신의 묘지로 보냅니다. 그 후, 자신의 덱 외부에서 "기믹 퍼핏-데스 트로이" 1장을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놓습니다./이 스킬의 ①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인데, 해당 스킬의 효과로 덱 외에서 불러오는 기믹 퍼핏 몬스터인 데스 트로이는 자괴할 수 있는 효과와 파괴되면 패에서 기믹 퍼핏 두 장을 특수 소환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니 '''일소권 소모 없이 어리석은 매장 + 패에서 기믹 퍼핏 두 장 특수 소환'''이라는 정신나간 성능을 지닌 스킬인 셈이다.[* 물론 순수 기믹 퍼핏 덱만 사용할 수 있는 디메리트가 있어, 이 스킬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카이트로이드와 같은 범용 몬스터를 채용할 수 없긴 하다.] 오프나 마스터 듀얼과 달리 듀얼링크스에선 기간테스 돌이 더 강하게 박히며, 안정적인 전개 루트와 원 턴 킬 포텐셜이 존재하기 때문에 완전 딕 취급받진 않는 셈이며, 다수의 월초 듀얼킹 인증으로 이미 덱리스트가 꽤 올라오고 있어 후공덱 중에서는 꽤나 강한 축에 속하는 덱으로 자리잡아 듀링에서는 입지가 꽤 나아진 편이다. 다만 선공이 잡히면 뽑을 만한 게 [[No.22 프랑켄]] 또는 데스트로이로 버티는 정도밖에 없다는 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티어권 입성에는 실패했다. 2022년 11월 6일, 링크 소환이 추가된 뒤 최초의 '''기존 테마 지원 링크 몬스터'''로써 기믹 퍼핏-키메라 돌이 추가되었다.[* 같은 팩에서 [[기관중련 앵거 너클]]이 추가되었지만, 열차는 '테마'로 지정되지 않기 때문에 이름으로 지정되는 테마는 기믹 퍼핏이 최초다.] 단 한 장만 지원을 받았음에도, '덱에서 기믹을 서치하여 패에서 특수 소환'이라는 매우 우수한 효과 덕분에 위에서 설명한 스킬 '퍼핏의 희생'과의 조합을 통해 패 단 1장으로 테마 링크 소환이 가능한 엄청난 초동을 자랑하게 되었다. 그렇기에 덱에 범용 카드를 넣고, [[어드밴스 드로우]]를 다량 투입하여 선턴에 덱의 카드를 빠르게 뽑아낸 다음 선공을 버티는 식으로 운영하는 것 또한 가능해졌다. 열차와 마찬가지로 '선공에 세울 게 없다'는 약점을 링크 몬스터가 해결해 준 케이스로, 이전보다 더욱 전개 루트가 훨씬 다양해져 기믹 퍼핏의 평가가 많이 상승했다. 다만, 기믹 퍼핏과 동시에 같은 지원을 받은 [[열차(유희왕)|열차]]와 0티어인 [[샐러맨그레이트]], 새로운 강덱인 [[잭나이츠]]와 [[인페르노이드]]가 등장하여 여전히 티어권 입성은 하지 못했으나, 샐러맨그레이트가 0티어로 자리잡으며 기존 티어덱을 모조리 티어아웃시킨 상황에서 스킬과 링크 소환이 추가된 기믹 퍼핏이 메타의 인플레이션을 따라잡았다는 점은 주목받고 있다. 이후 23년 8월, 퍼핏의 희생의 조건 완화로 인해 이제 벨즈 나이트메어나 오르페골 딩기르수 같은 강력한 어둠 속성 엑시즈도 투입이 가능해지면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키메라 돌로 아드벌이가 빵빵해졌지만 여전히 선공에 세울 몬스터가 없다는 단점은 그대로였는데, 딩기르수의 채용이 가능해지면서 이러한 단점이 커버되었다. 또한 딩기르수는 후공에 소환해도 강력한 제거 효과 덕에 선후공 모두 파워카드로 쓰이는 중이라 기믹 퍼핏 듀얼킹 달성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다만 용병인 딩기르수에 업혀가는 느낌이 강해서 [[유희왕 마이너 갤러리]]에서는 기믹 퍼핏 유저가 딩기르수를 기믹 퍼핏 딩기르수라고 부르는 밈이 생겼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의 [[도레미코드]]의 [[도레미코드#s-2.3|그 밈]]이다. 아예 기믹 퍼핏 링크 몬스터 위에 왜 딩기르수를 겹쳐 소환할 수 없는 거냐고[* 딩기르수는 오르페골 링크 몬스터 위에 겹쳐 소환할 수 있고, 실제로 오르페골은 이 방법으로만 딩기르수를 부르기 때문에 나온 드립.] 물어보는 질문글이 개그성으로 올라올 정도. ==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기믹 퍼핏-기어 체인저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417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기어 체인저,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ギア・チェンジャー,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Gear Changer, 레벨=1,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100, 수비력=100, 효과1=이 카드는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1턴에 1번\,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 위의 "기믹 퍼핏"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레벨은 선택한 몬스터의 레벨과 같아진다.)] 레벨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카드. 네크로 돌, 마그네 돌, 비스크 돌 등의 특수 소환이 쉬운 레벨 8 몬스터와 함께 사용하면 랭크 8 몬스터를 소환하기도 쉽고, 험프티 덤프티 등의 몬스터와 사용하여 랭크 4 엑시즈도 가능하다. 다만 OCG화되면서 [[기계 복제술]]과의 콤보를 경계한 탓에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는 제약이 붙어 [[원 포 원]], 괴뢰장의-퍼핏 퍼레이드 등으로도 꺼낼 수 없다. 발매 당시에는 폭탄 에그와 더불어 단 둘뿐인 '일반 소환으로 꺼내 레벨 8이 될 수 있는 몬스터'라는 점에서 어느 정도 채용 가치가 있었으나 이후 더 좋은 지원 카드들이 나오면서 특수 소환이 불가능한 이 카드는 빠지게 되었다. ||수록 시리즈 || ||<(> 2013-07-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NUMH-EN006 | '''[[Number Hunters|NUMBER HUNT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3-08-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CPZ1-JP006 | '''[[컬렉터즈 팩|コレクターズパック ZEXAL編]]'''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11-1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CPZ1-KR006 | '''[[컬렉터즈 팩|컬렉터즈 팩 제알 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레벨 4 === ==== 기믹 퍼핏-폭탄 에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417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폭탄 에그,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ボム・エッグ,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Egg Head, 레벨=4,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1600, 수비력=1200, 효과1=자신의 메인 페이즈시에 패에서 "기믹 퍼핏"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버리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여 발동할 수 있다. "기믹 퍼핏-폭탄 에그"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상대 라이프에 800 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효과3=●이 카드의 레벨은 엔드 페이즈시까지 8이 된다.)] [*듀얼링크스 ●상대 라이프에 {{{#red 400}}} 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folding [ 원작 효과 ] [[파일:Gimmick-Puppet---Bomb-Egg.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폭탄 에그,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ボム・エッグ,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Egg Head, 레벨=4,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1600, 수비력=1200, 효과1=1턴에 1번\, 패를 1장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상대 라이프에 800 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100%;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background-color:#FFFFFF; border: rgba(255,165,0,1) solid 1px;" 이형의 기계 장치 꼭두각시 인형. 평소에는 신사적으로 행동하지만 적을 공격할 때는 자신의 몸을 쪼개어 무서운 모습으로 변신한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FFA500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플레이버 텍스트|{{{#FFA500 플레이버 텍스트}}}]] }}}}}}|| OCG화된 카드 중에서 [[No.]]를 제외한다면 작중 IV가 가장 처음 소환한 몬스터로, 원작에서는 데미지를 주는 효과뿐이었으나 IV가 사용한 레벨 크로스의 효과를 내장하여 레벨 8이 되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덕분에 네크로 돌이나 마그네 돌과 같이 소환이 간편한 기믹 퍼핏과 합치면 간단하게 엑시즈 소환을 할 수 있지만, 코스트 없이 레벨 조정이 가능한 기어 체인저의 존재로 우선 순위가 떨어진다. 소환 제약이 없지만 어차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단도 마땅히 없고 공격력도 애매하다. 극심한 패 소모 + 패 수급이 어려운 기믹 퍼핏 덱에 있어서 패를 코스트로 효과를 발동하는 이 카드는 그다지 좋다고 볼 수 없지만, 네크로 돌, 섀도우 필러 같이 묘지에 있을 때 좋은 카드들이 패에 있는 상황일 경우 코스트로 묘지에 보냄으로써 묘지로 보내기 + 효과 발동으로 이득을 볼 수 있다. 다만 이 부분은 후술할 신규 지원인 비스크 돌의 등장으로 우선 순위에서 밀려났다. 800 데미지는 큰 기대를 보기 힘든 수치. 상황에 따라서는 아슬아슬한 상대 LP를 끝내거나, 디저스터 레오의 특수 승리 조건을 맞춰줄 수 있는 등의 플레이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런 예외적인 상황을 위해 덱에 이 카드를 넣기에는 너무 애매하다. 효과를 쓸 때의 모습을 보면 영락없이 팔다리 달린 [[마트료시카]]. 특이한 외형이 인상적인 탓인지 팬 아트에서는 IV를 상징하는 카드로 자주 그려진다. [[http://blog-imgs-51.fc2.com/s/u/n/sunetto/behe-egg1_281_499s.jpg|손수 제작한 피규어도 존재한다.]] 원래 이름은 위의 써있듯이 '''봄''' 에그지만 [[중폭격금 폭탄 페넥스]] 등의 전례를 따라 폭탄 에그로 정발되었다. 소환 시에는 '보~옴, 보~옴'이라고 운다. 더빙판에서는 바뀐 국내명에 맞게 '폭~탄, 폭~탄'이라는 심히 기괴한 울음소리를 낸다. 작중에서 IV는 인사 대신이라며 800 데미지를 주었는데, 이후의 작품에도 번 데미지로 인사치례를 하는 장면들이 종종 등장한다. ||수록 시리즈 || ||<(> 2013-07-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NUMH-EN005 | '''[[Number Hunters|NUMBER HUNT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3-08-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CPZ1-JP005 | '''[[컬렉터즈 팩|コレクターズパック ZEXAL編]]'''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11-1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CPZ1-KR005 | '''[[컬렉터즈 팩|컬렉터즈 팩 제알 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기믹 퍼핏-시저 암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418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시저 암,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シザー・アーム,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Scissor Arms, 레벨=4,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1200, 수비력=600, 효과1=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자신의 덱에서 "기믹 퍼핏"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낼 수 있다.)] {{{#!folding [ 원작 효과 ] [[파일:ギミック・P_シザー・アーム.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시저 암,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シザー・アーム,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Scissor Arms, 레벨=4,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1200, 수비력=600, 효과1=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에 장착된 장착 카드를 파괴하고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이 카드의 레벨은 배가 된다.)]}}} 기믹 퍼핏 전용 [[종말의 기사]]. 기믹 퍼핏의 엑시즈 소환의 핵심인 네크로 돌이나, 자체 회수 효과가 달린 블러디 돌을 덤핑할 수 있다. 다만 일반 소환에만 대응하고 타이밍을 놓칠 수 있다는 건 상당히 아쉬운 점. 추가 전개 효과나 레벨 변경 효과가 없는 레벨 4 기믹 퍼핏이라는 것도 단점이다. 네크로 돌을 빨리 묻을 수 있다는 건 큰 장점이지만, 주로 테러 베이비에 일소권이 돌아간다는 점을 생각하면 채용이 꺼려지는 카드. 이후 일소권을 추가해주는 판타스틱 마키나가 나오면서 어느 정도 해소가 되었고, 덤핑 요원 중 하나로서 채용되는 중.[* 콘돌렌스 퍼핏은 상대의 몬스터 수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해서 후공용 사이딩으로 쓰인다. 리틀 솔저스는 코스트 덤핑+레벨 조정 때문에 이 카드의 상위호환에 가깝지만 이 카드의 경우 테러 베이비나 솔저스 같은 4렙을 묻을 수 있다는 차별점이 있다.] 원작 애니메이션에서는 장착 마법을 묘지로 보내고 레벨이 배가 되는 효과로 데스티니 스트링스를 묘지로 보내고 기믹 퍼핏-나이트메어와 함께 [[No.88 기믹 퍼핏-데스티니 레오]]를 엑시즈 소환하는 데에 쓰였다. ||수록 시리즈 || ||<(> 2013-07-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NUMH-EN008 | '''[[Number Hunters|NUMBER HUNT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3-08-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CPZ1-JP008 | '''[[컬렉터즈 팩|コレクターズパック ZEXAL編]]'''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11-1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CPZ1-KR008 | '''[[컬렉터즈 팩|컬렉터즈 팩 제알 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기믹 퍼핏-데스 트로이 ==== || [[파일:ギミック・パペット-死の木馬.jp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GimmickPuppetDesTroy-PRIO-EN-C-1E.png|width=98%]]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데스 트로이,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死の木馬(デストロイ),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Des Troy, 레벨=4,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1200, 수비력=2000, 효과1=①: 이 카드가 필드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1번만\, 필드의 "기믹 퍼핏"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기믹 퍼핏" 몬스터를 2장까지 특수 소환한다.)] V점프 동봉 카드로 등장한 기믹 퍼핏. 여타 기믹 퍼핏 몬스터와 달리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죽음의 목마"라 쓰고 "데스 트로이"라 읽는]] 표기법을 채택했다. 파괴(데스트로이)와 [[데스]]+[[트로이의 목마|트로이]]의 발음의 유사성을 이용한 말장난이다. 1번 효과는 기믹 퍼핏 몬스터를 파괴하는 효과로, 자기 자신을 파괴하는 것으로 2번 효과를 즉시 발동하여 패의 기믹 퍼핏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특이하게도 "필드의" 기믹 퍼핏을 파괴하는 효과라 상대 필드의 기믹 퍼핏 몬스터를 파괴할 수도 있다. 전개 효과 자체는 못 쓸 수준은 아니지만, 패에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점이 사용을 꺼리게 한다. 이 카드의 소환 후 파괴, 2장 특수 소환까지 패를 3장이나 소모해야 하며, 기믹 퍼핏이 패에 몬스터를 쉽게 충당할 수 있는 덱인 것도 아니라 한 번 사용하면 패가 다 떨어지기 쉽다. 또한 다른 기믹 퍼핏들이 파괴를 트리거로 하는 효과가 없어, 사실상 1번 효과는 이 카드에게만 이득을 보는 효과이기 때문에 상황을 많이 타는 이 카드는 투입의 우선 순위에서 떨어진다. 해외에서는 허벅지 쪽에 [[탄압]]을 먹였다. ||수록 시리즈 || ||<(> 2013-07-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VJMP-JP083 | '''[[V점프|Vジャンプ 2013年 9月号 付録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9-06-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2-JP041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5-1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RIO-EN095 | '''[[프라이멀 오리진|PRIMAL ORIGI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9-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ED5-EN041 | [[듀얼리스트 팩|LEGENDARY DUELISTS: IMMORTAL DESTIN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6-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P09-KR032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9]]'''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9-09-0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2-KR041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기믹 퍼핏-험프티 덤프티 ==== [[파일:ギミック・パペット-ハンプティ・ダンプティ.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험프티 덤프티,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ハンプティ・ダンプティ,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Humpty Dumpty, 레벨=4,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0, 수비력=1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기믹 퍼핏"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일본판 프리미엄 팩 16에서 등장. 패에서 기믹을 특수 소환한다는 점은 상급 몬스터가 패에서 놀 가능성이 높은 기믹 퍼핏에게 있어선 상당히 고맙지만, 정작 자기 자신은 레벨을 변경하는 효과 같은 게 없어서 다른 카드의 보조 없이는 기믹 퍼핏의 주력인 랭크 8 엑시즈 소환으로 이어가기 힘들다. 폭탄 에그나 시저 암과 함께 랭크 4 엑시즈 몬스터를 뽑거나, 패에 놀고 있는 네크로 돌을 꺼내고 [[지옥의 폭주소환]] 등의 트리거로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고, 또는 링크 몬스터인 키메라 돌을 소환할 수 있다. 아니면 퍼폼 퍼핏으로 레벨 4 기믹 퍼핏의 레벨을 8로 만들어 랭크 8 엑시즈 소환을 할 수도 있다. 일단 패에서 썩지는 않기 때문에 그럭저럭 채용되는 편. 애니메이션에서는 124화에서 [[낫슈]]와의 듀얼에 소환하여 패의 기믹 퍼핏-기어 체인저를 특수 소환한다. 직후, 레벨 크로스의 효과로 레벨이 8이 되고, 기어 체인저와 함께 자이언트 킬러의 엑시즈 소재가 된다. 원작에서는 1턴에 1번 제약은 없는 대신 소환하는 몬스터에 레벨 4 이하의 제약이 있었다. ||수록 시리즈 || ||<(> 2013-12-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P16-JP002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1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9-06-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2-JP042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3-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GLD-EN011 | '''[[골드 시리즈|PREMIUM GOL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SE)] || ||<(> 2019-09-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ED5-EN042 | [[듀얼리스트 팩|LEGENDARY DUELISTS: IMMORTAL DESTIN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6-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P09-KR002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9]]'''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9-09-0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2-KR042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기믹 퍼핏-테러 베이비 ==== [[파일:ギミック・パペット-テラー・ベビ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테러 베이비,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テラ・ベビー,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Terror Baby, 레벨=4,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500, 수비력=0,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기믹 퍼핏-테러 베이비" 이외의 자신 묘지의 "기믹 퍼핏"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자신의 "기믹 퍼핏" 몬스터의 효과 발동에 대하여 상대는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비스크 돌과 함께 등장한 기믹 퍼핏 하급 몬스터. 묘지에서 기믹 퍼핏 몬스터를 소생하는 효과는 레벨 제한이 없어 레벨 8 기믹 퍼핏은 물론 엑시즈 몬스터도 소생 가능하지만 수비 표시 고정이므로 링크 몬스터인 키메라 돌은 소생이 불가능하며, 헤븐즈 스트링스를 소생해 공격하는 전략은 불가능하다. 대신 [[RUM]]을 쓴다면 살려온 엑시즈 몬스터를 다른 엑시즈 몬스터로 체인지하는 정도는 가능하다. 대표적인 예로는 데스티니 레오를 소생시켜 디저스터 레오로 바꿔먹는 방법이 있다. 이 카드 자체에는 레벨 조정 효과가 없으므로 랭크 4 엑시즈 혹은 링크 소환에 사용하는 것이 주 활용도. 전체적인 활용도는 험프티 덤프티와 비슷하지만 이쪽은 일반 소환에만 대응하고, 패가 아닌 묘지에서 특수 소환이기 때문에, 초반에 패 말림을 해소해주지는 못한다. 때문에 묘지가 어느 정도 쌓인 중반에 이득을 볼 수 있는 카드이며, 엑시즈 몬스터도 소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험프티 덤프티와의 차별을 둔다. 2번 효과는 묘지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그 턴 기믹 퍼핏 몬스터의 효과 발동에 상대가 체인을 할 수 없게 만드는 효과. 기믹 퍼핏 몬스터들의 효과 발동을 방해받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상대 몬스터를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주로 키메라 돌의 링크 소재로 묘지로 보내진 후 효과를 사용해 키메라 돌의 서치 효과를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데에 쓰일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 2019-09-0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2-KR035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9-06-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2-JP035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기믹 퍼핏-리틀 솔저즈 ==== [[파일:1887_20240229075929_img_1_92P5ALOWYTUcnMDYZcF4Mwz7IOGWGJDFCQBCbNY0gsSK5VgUvlM6WB1eP5yWE1ZG.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기믹 퍼핏-리틀 솔저즈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リトル・ソルジャーズ, 영어판 명칭=Gimmick Puppet Little Soldiers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4,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 이 카드와는 레벨이 다른 "기믹 퍼핏" 몬스터 1장을 덱에서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레벨을 묘지로 보낸 몬스터와 같게 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기믹 퍼핏" 몬스터를 2장까지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4개 올린다.)] [[인피니트 포비든]]에서 추가된 레벨 4의 기믹 퍼핏 몬스터. ①의 효과는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 이 카드와 다른 레벨을 가진 기믹 퍼핏 몬스터 1장을 덱에서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이 카드의 레벨을 버린 몬스터와 같게 조정하는 유발 효과. 이 카드가 레벨 4고, 메인 덱 기믹 퍼핏 몬스터는 레벨 1인 기어 체인저를 제외하면 4 / 8밖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걸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기어 체인저와 레벨 8 기믹 퍼핏만 덤핑할 수 있다. 간단한 덱 덤핑이 가능한 덕에 네크로 돌이나 블러디 돌을 묘지로 보내면 추가 전개를 노릴 수 있다. 특히 이 덤핑은 [[No.95 갤럭시아이즈 다크매터 드래곤|효과가 아닌 코스트]]이기에 [[하루 우라라]]로 막을 수 없으며, [[무한포영]] / [[이펙트 뵐러]] 등의 패 트랩에 당해도 덤핑이 막히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②의 효과는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기믹 퍼핏 몬스터 2장까지의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4개 올리는 효과. 레벨 4 기믹 퍼핏을 랭크 8 엑시즈 소환에 써먹거나 레벨 8 기믹 퍼핏 몬스터를 랭크 12 엑시즈 소환에 써먹을 수 있다. 특이하게도 이 효과에는 턴 제한이 달려있지 않아 몇 번이고 이 효과를 써먹을 수 있다. 후술할 모티브를 감안하면 원작에서 자이언트 킬러 소환에 사용한 '레벨 크로스'의 효과를 따온 것이다. 낮은 스펙 덕에 [[기계 복제술]]에 대응하여 여러장 꺼내는 것이 간단하다. 물론 ①의 효과는 명칭 제약이 걸려있으니 명칭 제약이 없는 ②의 효과를 노리거나 랭크 4 엑시즈 소환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파일:유희왕제알애니심영.png|width=50%]] 기존 기믹 퍼핏과 다소 동떨어진 디자인은 사실 [[No.15 기믹 퍼핏-자이언트 킬러|자이언트 킬러]]를 실로 조종하는 작은 인형의 디자인을 그대로 가져온 것으로, 카드명과 모티브는 영화 [[스몰 솔저]]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 [[인민복]]을 연상시키는 [[공산주의|붉은]] 유니폼과 팔을 크게 벌린 자세 때문에, 국내 팬덤에서는 정보가 공개되자마자 '''[[심영(야인시대)|심영]]'''이라는 별명을 붙였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cggame&no=2700774|관련 짤방]].[* 여담으로 이 카드가 공개된 3월 14일은 실제로 [[심영(배우)|심영]]에 대한 [[내가 고자라니|총격 사건]]이 일어난 날짜이다.] ||수록 시리즈 || ||<(> 2024-04-2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INFO-JP007 | '''[[인피니트 포비든|インフィニット・フォビドゥン [ INFINITE FORBIDDEN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레벨 8 === ==== 기믹 퍼핏-네크로 돌 ==== || [[파일:ギミック・パペット-ネクロ・ドール.jpg|width=100%]]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3768_1.jp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네크로 돌,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ネクロ・ドール,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Dreary Doll, 레벨=8,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이 카드를 엑시즈 소환의 소재로 할 경우\, "기믹 퍼핏" 몬스터의 엑시즈 소환으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 묘지에서 이 카드 이외의 "기믹 퍼핏"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folding [ 원작 효과 ] [[파일:GimmickPuppetDrearyDoll-JP-Anime-ZX.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네크로 돌,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ネクロ・ドール,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Dreary Doll, 레벨=8,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1=이 카드 이외의 자신 묘지의 "기믹 퍼핏-네크로 돌" 1장을 게임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기믹 퍼핏의 주축 전개 요원. 묘지에서 쉽게 소생하여 엑시즈 소재를 충당할 수 있다. 공격력이 0이라 [[기계 복제술]]과 [[지옥의 폭주소환]]에도 대응하며, 소생한 뒤에 필드에서 벗어나도 제외되는 등의 디메리트가 없기 때문에 한 번 덤핑해두면 묘지 자원이 있는 한 계속 우려먹을 수 있다. [[어드밴스 드로우]]와의 궁합 역시 매우 좋은 편. 발매 당시에는 기믹 퍼핏 엑시즈 몬스터의 엑시즈 소재로만 쓸 수 있는 부분이 치명적인 단점이었으나 인피니트 포비든 지원 이후로는 쓸만한 신규 엑시즈 몬스터에 랭크 업 매직 서치까지 받았기에 강력한 전개 카드로 쓸 수 있게 되었다. 엑시즈 외 다른 소환법의 소재로 쓰는 건 제약이 없기에 키메라 돌은 물론 기믹 퍼핏이 아닌 다른 링크 몬스터를 링크 소환하는데에도 쓸 수 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III(유희왕)|III]]와 태그를 맺은 [[츠쿠모 유마]]&[[텐조 카이토]]와의 태그 듀얼에서 폭탄 에그의 효과로 패에서 1장 버려지고 레벨 크로스의 효과로 1장 더 버려져 효과를 발동, 부활하여 자이언트 킬러의 엑시즈 소재로 사용한다. 이후 정크 퍼핏에 의해 다시 되살아나 [[No.40 기믹 퍼핏-헤븐즈 스트링스]]의 엑시즈 소재로 사용한다. 료가와의 듀얼에서는 장착 마법 데스티니 스트링스의 효과로 덱에서 묘지로 보내진다. 해외판에서는 [[탄압|관이 선물 상자로 바뀌고, 핏자국이 지워졌다.]] 또한 눈도 [[삼백안]]으로 바뀌었다. 꽤 으스스한 외형이지만 필드 마법인 지옥인형의 저택에선 활짝 웃고있는 의외의 모습도 보여준다. ||수록 시리즈 || ||<(> 2012-12-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P15-JP001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1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9-06-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2-JP039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3-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GLD-EN001 | '''[[골드 시리즈|PREMIUM GOL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SE)] || ||<(> 2019-09-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ED5-EN039 | [[듀얼리스트 팩|LEGENDARY DUELISTS: IMMORTAL DESTIN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06-2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P08-KR036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8]]'''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9-09-0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2-KR039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기믹 퍼핏-마그네 돌 ==== [[파일:ギミック・パペット-マグネ・ドール2.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마그네 돌,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マグネ・ドール,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Magnet Doll, 레벨=8,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1000, 수비력=1000, 효과1=①: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고\,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기믹 퍼핏" 몬스터 뿐일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folding [ 원작 효과 ] [[파일:GimmickPuppetMagnetDoll-JP-Anime-ZX.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마그네 돌,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マグネ・ドール,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Magnet Doll, 레벨=8,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1000, 수비력=1000, 효과1=상대 필드 위에 몬스터 엑시즈가 존재하고\, 자신 필드 위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원작에서는 상대 필드에 엑시즈 몬스터가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없을 때 꺼낼 수 있는 [[사이버 드래곤]]과 같은 효과였으나, OCG화되며 상향과 하향을 동시에 받았다. 일단 상대가 엑시즈 몬스터를 쓰지 않아도 꺼낼 수 있게 된 부분은 확실히 상향이라고 할 수 있다. 문제는 자신 필드에 기믹 퍼핏 몬스터'''만''' 존재해야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조건이 추가로 생겼다는 것. 기믹 퍼핏 이외의 몬스터가 하나라도 있으면 아예 꺼낼 수가 없기 때문에 텍스트 하나로 기믹 퍼핏의 용병 채용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말았다. 또한 이 카드 이전에 기믹 퍼핏 몬스터를 꺼내 놓지 않으면 패에 몇 장이 있든 한 장도 꺼낼 수 없다는 것도 단점. 다만 네크로 돌처럼 소환 제약은 걸지 않기 때문에 네크로 돌 이외의 기믹 퍼핏과 함께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 등의 강력한 랭크 8 몬스터를 소환하는 것은 가능하다. [[지옥의 폭주소환]]에도 대응하며, 소환에 명칭 제약이 없으므로 한 턴에 여러 장 패에서 소환할 수도 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료가와의 듀얼에서 [[잠항모함 에어로 샤크]]를 이용하여 특수 소환한 후 기어 체인저와 함께 자이언트 킬러의 엑시즈 소재로 사용된다. 이후 괴뢰의식-퍼핏 리츄얼의 효과로 되살아나 나이트 조커와 함께 헤븐즈 스트링스의 엑시즈 소재가 된다. ||수록 시리즈 || ||<(> 2012-12-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P15-JP002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1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9-06-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2-JP040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3-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GLD-EN002 | '''[[골드 시리즈|PREMIUM GOL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SE)] || ||<(> 2019-09-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ED5-EN040 | [[듀얼리스트 팩|LEGENDARY DUELISTS: IMMORTAL DESTIN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06-2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P08-KR037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8]]'''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9-09-0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2-KR040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기믹 퍼핏-나이트 조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418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나이트 조커,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ナイト・ジョーカー,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Twilight Joker, 레벨=8,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800, 수비력=1600, 효과1=자신 필드 위의 "기믹 퍼핏"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자신의 묘지로 보내졌을 때\, 그 몬스터를 게임에서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기믹 퍼핏-나이트 조커"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기믹 퍼핏의 전투 파괴에 대응하여 특수 소환되는 카드. 그러나 소환 타이밍이 너무 번거롭고, 효과 파괴에는 대응하지 않고, 파괴된 몬스터를 제외해야 된다는 단점도 있어서 적극적으로 사용하긴 힘들다. 본인의 스텟도 형편 없어서 전투내성이 있었다면 모를까 상대 턴에 나올 경우는 자기 턴이 돌아오기도 전에 파괴될 가능성이 크다. [[유희왕 ZEXAL]]에서는 [[IV(유희왕)|IV]]가 [[카미시로 료가]]와의 듀얼 중 사용. [[No.32 샤크 드레이크]]의 추가 공격 효과로 IV가 당할 뻔한 순간에 파괴된 [[No.15 기믹 퍼핏-자이언트 킬러]]를 제외하고 특수 소환되어 샤크 드레이크의 효과를 막았다. 이후 기믹 ㅓ핏-마그네 돌과 함께 [[No.40 기믹 퍼핏-헤븐즈 스트링스]]의 엑시즈 소재가 되었다. ||수록 시리즈 || ||<(> 2013-07-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NUMH-EN007 | '''[[Number Hunters|NUMBER HUNT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3-08-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CPZ1-JP007 | '''[[컬렉터즈 팩|コレクターズパック ZEXAL編]]'''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11-1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CPZ1-KR007 | '''[[컬렉터즈 팩|컬렉터즈 팩 제알 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기믹 퍼핏-나이트메어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418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나이트메어,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ナイトメア,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Nightmare, 레벨=8,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1000, 수비력=2000, 효과1=이 카드는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한 "기믹 퍼핏-나이트메어"의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다. 이 방법으로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자신의 패 / 묘지에서 "기믹 퍼핏-나이트메어"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또한\,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한 턴에\, 자신은 "기믹 퍼핏"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folding [ 원작 효과 ] [[파일:ギミック・P_ナイトメ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나이트메어,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ナイトメア,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Nightmare, 레벨=8,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1000, 수비력=2000, 효과1=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 엑시즈 1장을 릴리스하는 것으로\,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를 엑시즈 소재로 할 경우\, 1장으로 2장만큼의 소재로 할 수 있다.)]}}} [[유희왕 ZEXAL]]에서는 [[IV(유희왕)|IV]]가 [[카미시로 료가]]와의 듀얼 중 사용. [[No.40 기믹 퍼핏-헤븐즈 스트링스]]를 릴리스하고 특수 소환되어 자신의 효과로 2장분의 소재가 된 채 기믹 퍼핏-시저 암과 함께 [[No.88 기믹 퍼핏-데스티니 레오]]의 엑시즈 소재가 되었다. OCG화되면서 원작의 더블 엑시즈 소재화 몬스터들이 그렇듯 같은 이름의 카드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가 되었다. 일반적인 활용은 효과를 사용한 엑시즈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나와 새로운 기믹 퍼핏 엑시즈를 뽑는 것. 다만 미리 또 하나의 나이트메어를 패 / 묘지에 준비해둬야 하는 데다, 네크로 돌 이상의 턴 소환 제약을 갖고 있어 실제로는 활용하기가 힘들다. 심지어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 턴에는 "기믹 퍼핏"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는 심각한 디메리트가 적용된다. 이 효과는 체인 블록을 만들지 않는 효과이기 때문에 무효화로 회피할 수조차 없다. 게다가 이 특수 소환 제약은 이 카드를 자신의 효과가 아닌 다른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됐을 때도 적용된다. 조금이라도 실전적인 덱을 구축한다면 투입할 이유가 없는 카드. 이처럼 쓸모를 찾기 힘든 카드이지만 그 지나친 쓸모 없음이 재평가되어 [[낙인 덱]]에서 [[낙인(유희왕)#분열된 낙인|분열된 낙인]]이나 [[진염룡 알비온]]으로 떠넘겨 특소 봉쇄를 유도하는 활용법이 발견되었다. 소환 봉쇄 락을 걸 수 있는 카드는 다양하지만, 레벨 5 이상의 어둠 속성 몬스터라서 [[낙인융합]][* 신염룡의 소재로 덤핑하면 된다.], [[혁언룡 그랑기뇰]], [[낙인(유희왕)#낙인의 기염|낙인의 기염]]에 전부 대응하는 절묘한 스펙을 가졌다는 점에 채택된 것. 비슷한 표지션의 [[초마신 이도]]와 비교하면 소환된 턴에는 필드에서 제거되어도 특수 소환 봉쇄 효과가 남는다는 강점이 있지만, 통상 소환은 막지 못한다는 점에서 일장일단이 있다. 이후 이도의 경우 [[염왕의 고도]] 같이 능동적으로 치울 수단이 있는 덱을 상대로는 억제력이 떨어질 뿐더러 다음 턴에 역으로 자신 필드를 잠궈버릴 리스크도 있기에 나이트메어 쪽이 더 주류가 되었다. 때문에 지원을 받기 전 기믹 퍼핏이 나이트메어 플랜의 유일한 저항점이라는 우스갯소리도 있었으나, 테마의 격차를 제외해도 범용 엑시즈로 파워를 보강해야 굴러가던 기믹 퍼핏 또한 그러한 제약에 자유롭지 않은 것이 현실이였다. 그러던 중 인피니트 포비든의 지원으로 테마군의 파워가 상향되어 정말로 이 카드를 넘겨받아도 전개를 해 저항할 수 있을 정도의 포텐력이 생겼으며 기믹 퍼핏 자체적으로도 상대 필드에 나이트메어를 던져 상대를 방해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테마군 내에선 자신 턴에만 실행할 수 있기에 낙인이 쓰던 것마냥 전개를 틀어막는 용도로 쓰기 보다는 니비루나 감마 등 자신의 턴에 내려오는 상대 몬스터의 방해를 막는 용도 정도로만 사용이 가능하다. ||수록 시리즈 || ||<(> 2013-07-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NUMH-EN009 | '''[[Number Hunters|NUMBER HUNT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3-08-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CPZ1-JP009 | '''[[컬렉터즈 팩|コレクターズパック ZEXAL編]]'''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11-1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CPZ1-KR009 | '''[[컬렉터즈 팩|컬렉터즈 팩 제알 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기믹 퍼핏-섀도우 필러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587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섀도우 필러,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シャドーフィーラー,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Shadow Feeler, 레벨=8,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1000, 수비력=1000, 효과1=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또한\,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에 의해서 자신이 전투 데미지를 받았을 때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묘지에서 앞면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하고\, 자신은 1000 포인트 데미지를 받는다. "기믹 퍼핏-섀도우 필러"의 이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엑시즈 소재가 된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묘지로 가는 대신 게임에서 제외된다.)] {{{#!folding [ 원작 효과 ] [[파일:GimmickPuppetShadowFeeler-JP-Anime-ZX.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섀도우 필러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シャドーフィーラー,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Shadow Feeler, 레벨=8,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1000, 수비력=1000, 효과1=상대 몬스터 1장의 직접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의 이 카드를 자신 필드 위에 앞면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하고\, 상대 몬스터의 공격 대상을 이 카드로 맞바꾼다. 이 전투로는 몬스터는 파괴되지 않는다.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때\, 이 카드를 게임에서 제외한다. 엑시즈 소재로 한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때\, 이 카드를 게임에서 제외한다.)]}}} 일본판 PREMIUM PACK 16에서 등장. 전투로 파괴되지 않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 상대의 직접 공격으로 데미지를 받으면 묘지에서 스스로 소생될 수 있으므로 벽 몬스터 역할을 해줄 것 같지만, 정작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된 다음 자신에게 1000 데미지를 준다'''는 터무니 없는 디메리트가 붙어 있어 벽 역할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상대 몬스터가 3장 한꺼번에 직접 공격해올 때나 데미지를 1000 줄일 수 있는 정도. 이런 디메리트를 가진 주제에 엑시즈 소재인 상태에서 묘지로 보내지면, 제외되버리는 괴상한 디메리트를 가졌다. 우려먹지 말라고 이런 디메리트를 준 것 같은데 굳이 위험 부담을 감수하고 이 카드를 사용할진... 때문에 굳이 이 카드를 쓰겠다면 LP가 널널한 초반에 덤핑해서 일부러 직접 공격을 맞아가며 필드에 꺼내거나, 다른 카드의 효과로 수비 표시로 꺼내서 벽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당연히 실전성이 낮기 때문에 괴뢰장의-퍼핏 퍼레이드를 쓰는 구축에서나 어느 정도 말림을 감수하고 1장 정도 투입되는 실정이었고, 지원을 새로 받아 레벨 8 몬스터 종류가 늘자 당연히 빠졌다. [[유희왕 ZEXAL|유희왕 ZEXAL II]] 125화에서는 [[IV(유희왕)|IV]]가 [[낫슈]]와의 듀얼 중 사용. 레벨 크로스의 효과로 패에서 버려진 후, [[CNo.101 사일런트 아너즈 다크 나이트]]에게 직접 공격을 당했을 때 묘지에서 특수 소환된다. 그 후 오버레이 새털라이트를 장착해 2장 만큼의 엑시즈 소재가 된 후 헤븐즈 스트링스의 엑시즈 소재가 되었다. [[인간지네]]를 연상시키는 외형을 하고 있는데, 이 때문인지 해외판에서는 [[탄압|가운데 부분에 있는 팔이 사라져서]] 그냥 인형 두 개가 머리를 맞대고 있는 형상이 되었다. ||수록 시리즈 || ||<(> 2013-12-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P16-JP003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1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4-03-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GLD-EN012 | '''[[골드 시리즈|PREMIUM GOL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SE)] || ||<(> 2014-06-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P09-KR003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9]]'''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기믹 퍼핏-비스크 돌 ==== [[파일:ギミック・パペット-ビスク・ドー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비스크 돌,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ビスク・ドール,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Bisque Doll, 레벨=8,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1000, 수비력=1000, 효과1=①: 이 카드는 패에서 "기믹 퍼핏" 몬스터 1장을 버리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 자신 필드의 "기믹 퍼핏" 몬스터는 상대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자체 특수 소환 효과와 묘지의 자신을 제외하고 한 턴 동안 기믹 퍼핏 몬스터에게 내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 기믹 퍼핏의 몇 안 되는 패 덤핑 카드이므로 묘지에서 효과를 발동하는 기믹 퍼핏을 버리면 어느 정도 패 말림을 완화할 수 있으나, 애초에 그런 카드는 패에 잡히지 않도록 투입 매수를 줄이는 게 상식이므로 그런 용도로 쓰기엔 다소 미묘하다. 안 그래도 자원 소모가 격렬한 기믹 퍼핏인데 이 카드를 쓰면 패 소모가 더욱 격렬해지며, 패에 기믹 퍼핏 이외의 몬스터만 잡히면 도리어 이 카드가 말림 패가 된다는 것도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네크로 돌이나 나이트메어 같은 소환 제약은 붙어 있지 않으므로 마그네 돌이나 기어 체인저를 이용하면 범용 랭크 8 몬스터를 뽑을 수 있다는 것은 장점. 이 카드의 진가는 대상 내성을 부여하는 효과 쪽으로 기믹 퍼핏은 덤핑을 밥 먹듯 하는 테마라 묘지에 묻는 건 쉬운 편이며 선턴에 전개하기 전 미리 묘지에서 제외해두면 [[무한포영]]이나 [[이펙트 뵐러]] 같은 대상 지정 견제 카드를 충분히 방어할 수 있다. 다만 이 효과에 체인해서 견제가 날아오면 아무런 의미가 없기에 후공에 사용하기엔 좀 애매한 편. 일반적으로 몬스터 디자인이 상당히 기괴한 기믹 퍼핏 중에선 그나마 전체적으로 외형이 정상적인 축에 속한다. [[비스크 돌|모티브]]가 모티브여서기도 하지만. ||수록 시리즈 || ||<(> 2019-09-0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2-KR036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9-06-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2-JP036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기믹 퍼핏-블러디 돌 ==== [[파일:1887_20240229075929_img_2_92P5ALOWYTUcnMDYZcF4Mwz7IOGWGJDFCQBCbNY0gsSK5VgUvlM6WB1eP5yWE1ZG.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기믹 퍼핏-블러디 돌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ブラッディ・ドール, 영어판 명칭=Gimmick Puppet Bloody Doll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8,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400, 수비력=14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기믹 퍼핏"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 엑스트라 덱의 "기믹 퍼핏" 엑시즈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보여준 몬스터의 랭크와 같은 수치의 레벨을 가지는 덱의 "기믹 퍼핏" 몬스터 1장과\,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패 이외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 넣는다.)] ①의 효과는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 엑스트라 덱의 기믹 퍼핏 엑시즈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는 것으로 그 몬스터의 랭크와 같은 수치의 레벨을 가진 기믹 퍼핏 몬스터를 덱에서, 이 카드를 패에서 동시에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 매우 간단한 조건으로 기믹 퍼핏 몬스터의 덱특소가 될 뿐만 아니라 레벨 맞추기에도 도움이 되며, 레벨 8 기믹 퍼핏을 불러내서 바로 랭크 8 기믹 퍼핏 몬스터의 엑시즈 소환으로 잇거나 키메라 돌을 소환하는 데 쓸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패 이외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패로 샐비지하는 유발 효과. 덤핑 카드가 많은 기믹 퍼핏에서 이 카드를 가져오는 수단이 되며, 엑시즈 소재로 쓴 뒤 재활용해서 후속을 볼 수도 있다. ①②의 효과 모두 강력하며 초동으로서의 가치가 높지만 그 대신 어느 효과라도 발동하는 그 즉시 기믹 퍼핏 몬스터만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강력한 맹세 제약이 걸리는 것이 문제다. 즉, 순수 기믹 퍼핏에서의 사용을 유도하고 있다. 강력한 소환 효과와 그에 뒤따라오는 강력한 맹세 제약 탓에 [[엑소시스터#엑소시스터 마르파|엑소시스터 마르파]]에 비유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이전의 카드들과는 달리 '''엑스트라 덱에만''' 제약을 걸기에 [[아스트랄 크리보]]나 [[호루스(유희왕)|호루스]] 등 메인 덱 용병 카드들은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모티브는 [[미래의 배우자 알기]]라는 서양 괴담의 원조이자 거울 귀신의 전승인 [[블러디 메리]] + 일본 괴담 메리 씨의 전화. 메리 씨의 전화에서 나오는 메리 씨는 보통 인형으로 묘사되지만 정작 이 카드는 비스크 돌과 마찬가지로 인간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를 서양 괴담인 블러디 메리와 엮어 '블러디(=혈색이 도는) 메리 씨'가 되는 것을 노린 언어유희로 추정된다. 또한 비스크 돌처럼 피부가 창백하고 적발이기 때문에 비스크 돌의 성장한 모습으로 추측된다. ||수록 시리즈 || ||<(> 2024-04-2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INFO-JP008 | '''[[인피니트 포비든|インフィニット・フォビドゥン [ INFINITE FORBIDDEN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기믹 퍼핏-캐틀 스크림 ==== [[파일:1887_20240229080010_img_1_IT7skYR7yM0UFqhu1l9vXfgp213Yc5pjOkRz9iwvtkFwOleFMdyh7VMzKDMl81KN.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캐틀 스크림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カトル・スクリーム,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Cattle Scream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8,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2000, 수비력=2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 /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소재로 가지고 있는 "기믹 퍼핏" 엑시즈 몬스터는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효과3=●1턴에 1번\, 상대 묘지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상대 필드에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엑시즈 소재 1개를 제거하고 자신을 패 /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 이 효과로 특수 소환했을 경우 필드에서 벗어나면 제외되지만 엑시즈 소재로 쓰면 제외되지 않으니 크게 거슬리지는 않는 패널티다. ②의 효과는 이 카드를 소재로 가지고 있는 기믹 퍼핏 엑시즈 몬스터에게 특정 효과를 부여하는 지속 효과인데, 이 카드를 소재로 가진 기믹 퍼핏 몬스터는 1턴에 1번 상대 묘지의 몬스터 1장을 상대 필드에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시키는 기동 효과를 갖게 된다. [[카이저 콜로세움]]과 연동해 상대가 사용한 패 트랩을 특수 소환시킴으로써 상대에게 소환 락을 걸어버리거나 무한포영 / [[길항승부]]와 같이 필드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아야 패에서 발동 가능한 카드의 발동을 억제시키는 용도로 활용 가능. 이 카드의 또다른 의의는 '''최초로 공수 2000을 찍은''' 메인 몬스터라는 것이다. 기존 몬스터 중 가장 공격력이 높은 것은 '''4레벨'''인 폭탄 에그의 1600이었고, 정작 주력인 8레벨 몬스터들은 특수 소환 효과를 지니고 있는 탓인지 타점이 1000을 넘지 못하는 저열한 성능을 보여왔다. 그런데 캐틀 스크림은 표시 형식 제한도 없이 소환하기 쉬운 몬스터이면서 무난한 공수 2000을 가지고 나와서 일반 소환한 하급 몬스터의 공격 한 방에 파괴될 우려도 없고 여차하면 공격에 가담하는 것도 가능한 수준이다. 모티브는 [[팔라리스의 황소]]. ||수록 시리즈 || ||<(> 2024-04-2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INFO-JP009 | '''[[인피니트 포비든|インフィニット・フォビドゥン [ INFINITE FORBIDDEN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엑시즈 몬스터 == === 랭크 4 === ==== 기믹 퍼핏-기간테스 돌 ==== [[파일:ギミック・パペット-ギガンテス・ドー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기간테스 돌,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ギガンテス・ドール,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Gigantes Doll, 레벨=4,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0, 수비력=2000, 소재=레벨 4 "기믹 퍼핏"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2개 제거하고\,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2장까지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엔드 페이즈까지 얻는다. 이 효과를 발동한 턴\, 자신은 "기믹 퍼핏"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으며\, 엑시즈 몬스터밖에 공격 선언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레벨은 턴 종료시까지 8이 된다.,)]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5에서 등장한 랭크 4의 기믹 퍼핏 몬스터. 기믹 퍼핏 최초의 랭크 4 몬스터이며, 최초의 비 넘버즈 엑시즈 몬스터이기도 하다. 험프티 덤프티의 얼굴을 중심으로 테러 베이비와 데스 트로이 이외의 레벨1, 4 기믹 퍼핏들과 나이트 조커의 파츠가 뭉쳐 있는 기괴한 형상을 하고 있다. 소재는 험프티 덤프티의 효과로 기어 체인저나 레벨 4 기믹을 특수 소환하면 충당 가능. 키메라 돌의 서치 및 특수 소환 효과를 활용하면 소환 자체는 어렵지 않다. 다만 4 랭크 특성상 핵심 전개요원인 네크로 돌은 활용하기 어려운 점이 아쉽다. ①의 효과는 엔드 페이즈까지 상대 몬스터를 2장까지 컨트롤을 얻는 효과. 효과를 무효로 하지는 않으므로 강력한 효과의 몬스터를 빼앗아서 그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디메리트로 걸리는 특수 소환 제약은 메인 덱에도 뻗히므로 호루스 등의 용병을 통과시키기 위해 돌파용으로 먼저 썼다가 상대가 통과시켜버리기라도 하면 낭패를 볼 수 있으니 사용 타이밍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공격 제한도 키메라 돌이나 캐틀 스크림을 쓸 수 없어서 킬각을 소소하게 방해할 수 있다. 또한 레벨을 가진 몬스터를 탈취했다면 ②의 효과로 레벨을 조정하여 엑시즈 소재로 쓸 수는 있지만 링크 몬스터나 엑시즈 몬스터는 단독으로는 처리할 방도가 없다는 것이 큰 약점이다. 엑시즈 몬스터라면 기본적으로 탈취하지 않고 자이언트 킬러로 번뎀을 내는 용도로 냅두는 편이 낫고, 아니면 그냥 공격에 가담시켜서 턴킬을 내면 그만이지만 링크 몬스터가 문제다. 엑시즈 소재로 할 수 없을 뿐더러 링크 몬스터 키메라 돌도 소재 제약이 기계족으로 걸려있어서 어지간하면 치우기 곤란하다. 다만 기믹퍼핏은 레벨8 몬스터가 많아서 [[어드밴스 소환]]으로 링크 몬스터와 엑시즈 몬스터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일반 소환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전제로 했을 경우지만. 기본적으로는 빼앗은 몬스터의 효과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레벨을 가진 몬스터는 엑시즈 소재로 사용하는 방향으로 운용하게 된다. 애초에 이 카드는 전투에 쓸 방도도 없으므로 ②의 효과로 릴리스하는 것이 아깝지 않다. 12기 지원 후의 기믹 퍼핏 덱에서는 8축 난이도가 4축 난이도보다 훨씬 낮아져서 굳이 꺼낼 필요는 낮아졌다. 다만 블러디 돌로 4레벨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때 엑스트라 덱에서 보여줄 용도가 남아있어 여전히 투입된다. ||수록 시리즈 || ||<(> 2019-09-0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2-KR034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9-06-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2-JP034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랭크 8 === ==== [[No.15 기믹 퍼핏-자이언트 킬러]] ==== ==== [[No.40 기믹 퍼핏-헤븐즈 스트링스]] ==== ==== [[No.88 기믹 퍼핏-데스티니 레오]] ==== ==== 기믹 퍼핏-판타직스 마키나 ==== [[파일:1887_20240229080010_img_2_IT7skYR7yM0UFqhu1l9vXfgp213Yc5pjOkRz9iwvtkFwOleFMdyh7VMzKDMl81KN.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판타직스 마키나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ファンタジクス・マキナ,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Fantasics Machina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8,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1500, 수비력=3100, 소재=레벨 8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RUM(랭크 업 매직)"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이 턴에\, 자신은 통상 소환 외에도 1번만\, 자신 메인 페이즈에 기계족 몬스터 1장을 일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자신이 "기믹 퍼핏" 엑시즈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묘지에서 자신이나 상대 필드에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 묘지에서 "RUM(랭크 업 매직)"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인피니트 포비든]]에서 등장한 기믹 퍼핏 엑시즈 몬스터. 넘버즈가 아닌 기믹 퍼핏 엑시즈 몬스터로는 기간테스 돌 이후로 두 번째다. 카드명은 판타지함을 뜻하는 일본 조어 판타직 + [[데우스 엑스 마키나]]. ①의 효과는 엑시즈 소재 1개를 제거하는 것으로 덱에서 [[RUM]] 1장을 패에 넣고 추가로 그 턴에 기계족 몬스터 1장의 일반 소환권을 추가하는 기동 효과다. 마침내 추가된 랭크 업 매직 서치 효과로, 기믹 퍼핏 엑시즈 몬스터들은 제대로 활용하려면 랭크 업이 필수인데 이 카드 덕에 그 약점이 크게 보완됐다. 랭크 9 기믹 퍼핏 몬스터들은 디저스터 레오 외에는 꼭 원본을 쓸 필요가 없는 관계로, 가져온 RUM을 바로 이 카드에 사용해 필요한 카오스 엑시즈를 부를 수 있다. 보통은 [[RUM-아젠트 카오스 포스]]를 서치하겠지만 일반 마법 제약이 없기에 속공 마법인 [[RUM-퀵 카오스]], [[RUM-팬텀 포스]] 등을 서치해 다른 엑시즈 몬스터로 랭크 업시키는 변칙적인 플레이도 가능하다. 통상 소환권 추가 역시 기믹 퍼핏의 전개력을 올려주는 귀중한 효과다. 다만 이미 패에 RUM을 잡고 있다면 이 효과로 일반 소환권을 추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②의 효과는 자신이 기믹 퍼핏 엑시즈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이 카드를 묘지에서 자신이나 상대 필드에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 뒤 RUM을 샐비지할 수 있는 유발 효과다. 자신 필드에 소환하면 카오스 엑시즈로 연결하기에, 상대 필드에 소환하면 다른 기믹 퍼핏 엑시즈의 번을 유도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OCG의 아젠트 카오스 포스는 자체 샐비지가 듀얼 중 1회로 제한되는데, 이 효과를 활용해 자체 효과를 아낄 수 있다. 자신의 효과로 바로 CX를 소환할 수 있어 별다른 절차 없이도 묘지에 놓기 좋은 기믹 퍼핏 엑시즈이며, 동시에 공개된 다른 지원 카드 또한 상대 필드에 몬스터를 꺼내는 효과가 많아 자신의 효과 이외에도 상대 필드에 소환할 후보군으로 적합하다. 효과를 연속해서 쓸 수 있는 자이언트 킬러와 궁합이 좋아 이 카드를 연속으로 소생해 큰 번 데미지를 줄 수도 있다. 테마를 떼어놓고 보면 이례적으로 쉬운 [[RUM]] 서치 수단이기도 하다. 한때 강력한 락 카드로 활약했다가 금지된 [[SNo.0 호프 제알]]의 영향 탓에, RUM 서치 카드는 10기까지는 거의 없었고 그 이후로도 굉장히 한정적으로만 주어졌다. 가령 12기 카드인 [[RR(유희왕)#RR-브레이브 스트릭스|RR-브레이브 스트릭스]]도 [[레이더즈 나이트]]를 거칠 수밖에 없는 5랭크 몬스터에다 '비행야수족 몬스터를 엑시즈 소재로 하고 있을 경우'라는 조건이 붙어 있다. 그런데 이 카드는 레벨 8 몬스터 2장이라는 비교적 널널한 소환 조건을 가졌는데도 발동 조건이 별달리 없으며 서치 범위도 매우 넓다. 유희왕에서 [[정의의 아군 카이바맨#이 문서의 3번 문단에서 파생된 캐릭터 카드화를 일컫는 은어|애니 테마 지원에 으레 등장하는 원작 사용자를 닮은 몬스터]]로, 이 카드 또한 기믹 퍼핏의 사용자인 [[IV(유희왕)|IV]]를 닮았다.--정의의 퍼핏 토마스맨-- 공격력 1500의 1(I)과 5(Ⅴ)를 로마 숫자로 하나씩 치환하면 'IV(4)'가 되고, 수비력 3100의 3과 1을 더하면 역시 4(IV)가 된다. 헤어스타일은 말할 필요도 없고, 양팔의 장식도 토마스의 디스크와 유사하며, 가슴팍엔 토마스의 문장도 박혀 있다. 일러스트의 자세 또한 IV의 표면적인 예의바름을 나타낸다. 한편 묘지에서 상대 필드로 소생되는 효과는 자이언트 킬러의 데뷔전에서 베이비 페이스의 효과로 파괴된 엑시즈 몬스터들을 부활시켜 다시 파괴하던 것을, RUM 서치/샐비지 효과는 [[낫슈]]전에서 아젠트 카오스 포스를 계속 우려먹어 3번이나 썼던 걸 연상시킨다. ||수록 시리즈 || ||<(> 2024-04-2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INFO-JP042 | '''[[인피니트 포비든|インフィニット・フォビドゥン [ INFINITE FORBIDDEN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 === 랭크 9 === ==== [[CNo.15 기믹 퍼핏-시리얼킬러]] ==== ==== [[CNo.40 기믹 퍼핏-데블즈 스트링스]] ==== ==== [[CNo.88 기믹 퍼핏-디저스터 레오]] ==== ==== CX 기믹 퍼핏-패나틱스 마키나 ==== [include(틀:관련 문서, top1=CX)] [[파일:1887_20240229080040_img_1_WMWEzD1qVkoPqAzUY1T0zZ2BtDVNLDOhQklDocr7AWMqUB8s0RhnpZoYb9jmBxK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CX(카오스 엑시즈) 기믹 퍼핏-패나틱스 마키나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CX(カオスエクシーズ) ギミック・パペット-ファナティクス・マキナ, 영어판명칭=CXyz Gimmick Puppet Fanatics Machina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9,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3100, 수비력=1500, 소재=레벨 9 몬스터 × 3,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퍼핏"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이나 상대 묘지에서 몬스터 1장을 상대 필드에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③: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그 중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하고\, 그 원래 공격력의 절반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같은 팩에서 공개된 판타직스 마키나의 진화체이자 [[CX-네필 어사일럼 카오스 나이트|네필 어사일럼 카오스 나이트]] 이후로 추가된 OCG 오리지널 [[CX|카오스 엑시즈]].[* 네필 어사일럼 카오스 나이트는 큰 인연이 있는 샤크였던 낫슈의 디자인을 반영한 카드인데, 두번째로 발매한 OCG 오리지널 카오스 엑시즈를 기믹 퍼핏으로 준 걸 보면 노린 듯하다. 샤크가 낫슈가 된 이후의 첫듀얼 상대가 lV였었기에 더더욱.] 카오스 엑시즈답게 바리안 특유의 붉은 에너지가 전신에서 흐르고 있다. 광신자를 뜻하는 Fanatic은 진화 전의 이름인 판타직스와 어감이 비슷하고, 아버지에게 광적으로 따르는 IV의 일면이나 반대로 그를 광적으로 따르는 팬들을 의미한다. 능력치는 시리얼 킬러와 마찬가지로 진화 전인 판타직스 마키나의 능력치를 반대로 뒤집은 것이며 판타직스 마키나가 랭크업 매직 서치 효과를 갖고 있기에 카오스 엑시즈 치곤 소환이 어렵지 않다. ①의 효과는 특수 소환 시 덱에서 "퍼핏" 함정 카드를 서치하는 유발 효과. 드디어 기믹 퍼핏 내에서도 자체적으로 함정을 서치할 수단이 생겼다. 보통은 서비스트 퍼핏을 가져와 상대 견제를 할 것이며 서비스트 퍼핏이 이미 잡힌 상태라면 퍼핏 퍼레이드를 가져와 상대 턴에 필드 전개를 노려볼 수도 있다. 마법이 아닌 함정만 지정하는 이유는 [[명계의 괴뢰술]]과 [[암흑계#암흑계의 괴뢰|암흑계의 괴뢰]]의 영문 명칭에 puppet이 들어가기 때문인 듯. ②의 효과는 엑시즈 소재 1개를 제거하고 자신이나 상대 묘지의 몬스터 1장을 상대 필드에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시키는 기동 효과. 엑시즈 몬스터를 떠넘겨 ③의 효과와 연계하거나 자이언트 킬러, 시리얼 킬러로 파괴하고 데미지를 주는 방법이 무난하다. 나이트메어를 떠넘겨서 [[무한포영]]과 [[원시생명체 니비루]] 등을 견제하는 것도 가능하나 패트랩 방어는 지옥인형의 저택으로도 충분하므로 덤 취급. 캐틀 스크림과는 달리 상대 묘지에 몬스터가 없어도 쓸 수 있기에 [[카이저 콜로세움]]을 이용한 락도 훨씬 쉽게 세울 수 있다. ③의 효과는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면 그 중 1장을 대상으로 하여 파괴 후 원래 공격력의 절반만큼 번뎀을 주는 유발 효과. 번 데미지가 절반이지만 견제로도 쓸 수 있으며 ①의 효과로 서비스트 퍼핏을 가져온다면 상대 턴에 2장의 카드를 제거할 수 있다. 판타직스 마키나에 IV의 에이스 카드였던 자이언트 킬러의 흉부 그라인더가 추가되었으며, 뿔과 어깨 장식의 덩치가 커졌다. 판타직스 마키나가 예의 바른 IV의 표면적 모습을 상징한다면, 이쪽은 IV의 진짜 모습인 교활하며 잔혹하고 무자비한 성격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사실 IV가 잔인한 면모만 있는 사람은 절대 아니나, 제알 최초의 카오게이 구사자인만큼 이러한 부분이 팬들에게 크게 각인된 캐릭터이기도 하다. 특히 월드 듀얼 카니발 편에서의 IV는 과거 사정이 밝혀지기 전까지는 그냥 사디스트 사이코패스(...)같은 모습만 보여줬기에 더더욱.] 허리에 박힌 톱니바퀴의 시계는 '''4시 4분'''을 가리키고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4-04-2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INFO-JP043 | '''[[인피니트 포비든|インフィニット・フォビドゥン [ INFINITE FORBIDDEN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 == 링크 몬스터 == === 링크 2 === ==== 기믹 퍼핏-키메라 돌 ==== [[파일:ギミック・パペット-キメラ・ドー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기믹 퍼핏-키메라 돌, 일어판명칭=ギミック・パペット-キメラ・ドール,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Chimera Doll, 레벨=2,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1500, link1=, link3=, 소재=기계족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링크 소환되어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기믹 퍼핏"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패에 넣거나 묘지로 보낸다.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기믹 퍼핏" 몬스터 뿐일 경우\, 추가로 패에서 "기믹 퍼핏"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기계족 엑시즈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일러스트를 보면 기믹 퍼핏 데스 트로이 2마리를 합친 것으로 보인다. 첫 기믹 퍼핏 링크 몬스터. 링크 소재는 기계족 몬스터 2장으로, 기믹 퍼핏이 아니더라도 소환이 쉬운 기계족 몬스터를 용병으로 채용할 수도 있다. 효과는 이 카드가 링크 소환된 경우, 기믹 퍼핏 몬스터를 서치하거나 덤핑하는 우수한 효과. 네크로 돌, 섀도우 필러 등의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거나 마그네 돌, 기어 체인저 등의 몬스터를 패에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자신 필드에 기믹 퍼핏 몬스터 뿐이라면 패에서 기믹 퍼핏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어, 자신의 효과로 서치한 몬스터를 바로 특수 소환하거나 패에서 노는 네크로 돌 등을 꺼내는 등 효과의 자유도가 대단히 높다. 아쉬운 점이라면, 링크 소환된 상태에서만 효과를 발동할 수 있어서 정크 퍼핏 등으로 살려내는 경우에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는 바닐라가 되버린다. 효과를 발동하면 기계족 엑시즈 몬스터만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할 수 있다는 제약에는 주의. 추가 링크 몬스터를 전개할 수도 없고, 기계족 이외의 강력한 랭크 8 몬스터도 사용할 수 없다. [[오르페골|시오르페골 딩기르수]] 등의 기계족 몬스터라면 일단 소환할 수는 있다. ||수록 시리즈 || ||<(> 2019-08-2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P14-KRA04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14 1st WAVE|프리미엄 팩 Vol.14 1st 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8-12-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19PP-JP004 | '''[[프리미엄 팩#프리미엄 팩 2019|PREMIUM PACK 2019]]'''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7-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LHR-EN053 | '''BATTLES OF LEGEND: HERO'S REVENG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서포트 마법 카드 == === 정크 퍼핏 === || [[파일:ジャンク・パペット.jpg|width=1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JunkPuppet-PP08-KR-SR-1E.png|width=97%]]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정크 퍼핏, 일어판명칭=ジャンク・パペット, 영어판명칭=Junk Puppet,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기믹 퍼핏"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folding [ 원작 효과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정크 퍼핏, 일어판명칭=ジャンク・パペット, 영어판명칭=Junk Puppet, 효과1=자신 묘지의 공격력 1000 이하의 "기믹 퍼핏"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기믹 퍼핏 전용 소생 마법. 다만 [[라이트로드]]의 [[라이트로드#s-15.3.1|라이트 배니시]]처럼 기믹 퍼핏 전용 카드인데도 기믹 퍼핏 내에서는 이 카드를 서치할 수단이 없어서 그냥 죽은 자의 소생의 완벽한 하위 호환이며, 굳이 투입하느니 그냥 [[죽은 자의 소생]]을 넣는 편이 낫다. 다만 상술한 라이트로드의 라이트 배니시는 상위호환 대상이 무제인 [[승천의 뿔피리]]라서 진짜 우선 순위가 너무 떨어지지만, 죽은 자의 소생은 덱에 1장밖에 넣을 수 없는 제한 카드라서 정크 퍼핏은 2장째 죽은 자의 소생으로서는 가볍게 채용할 만하다. 턴 제약 이외의 디메리트가 없는 무난한 소생 카드로서, 초반에는 빠른 엑시즈 소환을 위한 보조로, 후반에는 [[죽은 자의 소생]] 같은 평범한 소생 카드로 쓰인다. 소생이 불가능한 디저스터 레오를 제외한 엑스트라 덱 몬스터도 소생이 가능하며, 표시 형식에도 제약이 없으며, 심지어 공격에도 제약이 없다. 데블즈 스트링스로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해 직접 공격이 가능할 때 묘지의 다른 몬스터를 되살리면 한 번에 큰 데미지를 줄 수 있다. 키메라 돌도 소환이 가능하긴 하지만, 키메라 돌의 효과는 링크 소환되어있을 때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레벨도 없고 랭크업도 불가능한 키메라 돌을 이 효과로 굳이 부활시킬 필요성은 낮다. [[유희왕 ZEXAL]]에서는 [[III(유희왕)|III]]와 태그를 맺은 [[츠쿠모 유마]]&[[텐조 카이토]]와의 태그 듀얼 중 사용. 기믹 퍼핏-네크로 돌을 되살렸다. ||수록 시리즈 || ||<(> 2012-12-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P15-JP008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1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9-06-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2-JP044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3-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GLD-EN007 | '''[[골드 시리즈|PREMIUM GOL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SE)] || ||<(> 2019-09-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ED5-EN044 | [[듀얼리스트 팩|LEGENDARY DUELISTS: IMMORTAL DESTIN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06-2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P08-KR043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8]]'''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9-09-0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2-KR044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괴뢰의식-퍼핏 리츄얼 === [[파일:傀儡儀式-パペット・リチューア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괴뢰의식-퍼핏 리츄얼, 일어판명칭=傀儡儀式(くぐつぎしき)-パペット・リチューアル, 영어판명칭=Puppet Ritual, 효과1=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상대보다 2000 포인트 이상 적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기믹 퍼핏"이라는 이름이 붙은 레벨 8 몬스터 2장을 선택하고 특수 소환한다. "괴뢰의식-퍼핏 리츄얼"은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고\,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배틀 페이즈를 실행할 수 없다.)] {{{#!folding [ 원작 효과 ] [[파일:傀儡儀式-パペット・リチュ-.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괴뢰의식-퍼핏 리츄얼, 일어판명칭=傀儡儀式(くぐつぎしき)-パペット・リチューアル, 영어판명칭=Gimmick Puppet Ritual, 효과1=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2000 이하일 경우에만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기믹 퍼핏"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이 턴에 공격할 수 없다.)]}}} 8레벨 한정이지만 카드 1장으로 기믹 퍼핏을 2장 전개하는 소생 카드. 문제는 발동 조건으로, 자신의 라이프를 소모하는 능력도 없고 태생적으로 번 덱인 기믹 퍼핏과는 최악의 궁합을 자랑한다. 배틀 페이즈 불가 제약도 무겁긴 하지만 애초에 발동 조건을 채울 수 없다는 시점에서 그걸 고려할 여유도 없다. 그런 이유로 채용률은 매우 낮다. 이름에 의식이니 리츄얼이니 하는 단어가 들어있지만 효과는 [[의식 소환]]과는 일체의 관계가 없다. ||수록 시리즈 || ||<(> 2013-07-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NUMH-EN054 | '''[[Number Hunters|NUMBER HUNT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3-08-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CPZ1-JP044 | '''[[컬렉터즈 팩|コレクターズパック ZEXAL編]]'''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3-11-1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CPZ1-KR044 | '''[[컬렉터즈 팩|컬렉터즈 팩 제알 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퍼폼 퍼핏 === [[파일:パフォーム・パペッ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퍼폼 퍼핏, 일어판명칭=パフォーム・パペット, 영어판명칭=Perform Puppet,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묘지의 "기믹 퍼핏"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레벨은 턴 종료시까지\, 제외한 몬스터와 같은 레벨이 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기믹 퍼핏" 몬스터가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기믹 퍼핏"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①의 효과는 레벨 조정 효과. 제외해야 하는 몬스터는 기믹 퍼핏으로 한정돼 있지만, 레벨이 변동되는 몬스터는 제약이 없다. 문제는 기믹 퍼핏이 레벨 맞추기 어려운 테마가 아니고, 굳이 이걸로 레벨을 맞출거면 그냥 링크 소환으로 키메라 돌을 불러온 후 키메라 돌 효과로 필요한 레벨의 몬스터를 조달해버리면 그만인지라 기믹 퍼핏에겐 별로 좋은 효과가 아니다. 그나마 써먹자면 비 기믹 퍼핏 엑시즈 몬스터 소환을 위해 레벨을 조정하는 정도. ②의 효과는 상대가 자신의 기믹 퍼핏을 파괴하면 제외된 기믹 퍼핏을 불러오는 후속 효과. 문제는 자신의 파괴에는 반응하지 않으므로 데스 트로이나 데블즈 스트링스와 연계가 불가능하고, 파괴 이외의 제거 효과에는 발동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식적으로 이 효과로 역전이 될 만한 상황이라면 아무 내성도 없는 이 카드를 상대가 그냥 내버려둘 리가 없다. 결국 기믹 퍼핏에게 필요한 효과는 없고, 크게 필요하지도 않은 곁다리 효과만 넣고 지원카드라고 내놓은 시점에서 코나미가 이 덱에 뭐가 필요한지 전혀 모른다는 것을 증명하는 카드다. 그나마 쓸 상황을 상정하자면 네크로 돌의 효과로 제외된 몬스터를 부활시키는 2번 효과다. 그조차도 수동적이지만. 일러스트는 네크로 돌을 제외해 험프티 덤프티와 시저 암을 레벨 8로 만드는 과정. 그 밑에는 헤븐즈 스트링스의 그림자가 있고 눈 한쪽이 빛나고 있는데, 헤븐즈 스트링스의 소환 조건은 레벨 8 × 2라, 실제로 이 카드의 일러스트에 있는 네크로 돌, 험프티 덤프티, 시저암과 이 효과의 조합으로 헤븐즈 스트링스의 소환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참고로 뒷면 수비 표시 상태인 기믹 퍼핏이 상대 몬스터에 의해 뒤집힌 상태로 묘지로 보내져도 2번 효과가 발동된다. 자세한 것은 [[사이버 피닉스]] 항목을 참조. ||수록 시리즈 || ||<(> 2019-09-0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2-KR037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9-06-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2-JP037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콘돌렌스 퍼핏 === || [[파일:コンドーレンス・パペット.jpg|width=100%]] || [[파일:CondolencePuppet-IGAS-EN-C-1E.png|width=97%]]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콘돌렌스 퍼핏, 일어판명칭=コンドーレンス・パペット, 영어판명칭=Condolence Puppet,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 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상대 필드의 몬스터 수 + 1장까지\, 덱에서 "기믹 퍼핏" 몬스터를 묘지로 보낸다. (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까지),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기계족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는 필드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상대 효과로 파괴되지 않는다.)] [[이그니션 어썰트]]에서 다른 문장 가족 지원과 함께 갑자기 등장한 카드. ①의 효과는 기믹 퍼핏 전용 어리석은 매장. 상황에 따라서는 아예 고통의 선택 수준까지도 갈 강력한 덤핑 효과로, +1이기 때문에 상대 필드에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된 몬스터가 없더라도 1장은 무조건 덤핑이 가능한 우수한 사양이다. 블러디 돌을 덤핑하면 곧바로 패로 회수하여 전개를 할 수 있으며 테러 베이비와 비스크 돌을 동시에 덤핑해 한 턴 동안 체인 내성 + 대상 내성을 모두 얻는다는 것 역시 장점. 패에 정크 퍼핏같은 소생카드가 있다면 원하는 기믹 퍼핏을 간접적으로 꺼내올 수도 있다. ②의 효과는 파괴 내성 부여로, 테러 베이비나 비스크 돌과 유사한 [[기동효과]] 형식이지만 효과 대상이 된 몬스터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파괴 내성이 계속 유지된다. 다만 대상을 지정하고 내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다른 카드의 대상이 되지 않는 디저스터 레오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스펠 스피드가 1이라 필요할 때 바로 부여할 수 없는 것도 단점. 확정 덤핑에 1장 뿐이지만 반영구적 파괴 내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자체 스텟이 높지만 내성이 전무한 헤븐즈 스트링스, 데블즈 스트링스, 데스티니 레오에게 나름 도움이 되고, 판타직스 마키나와는 궁합이 좋으며, 비스크 돌이나 테러 베이비를 묻으면서 기믹 퍼핏 몬스터들에게 내성을 씌워주는 게 가능한 점에서 돌파에도 꽤나 도움이 된다. 지원 전에는 덤핑을 해서 전개에 도움을 줄만한 게 네크로 돌 뿐이고, 선턴에는 이 카드 단독으론 아무것도 못해 웃음벨 취급이였으나 인피니트 포비든 지원 후에는 네크로 돌 뿐만 아니라, 블러디 돌이나 캐틀 스크림이 덤핑되면 전개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후공에는 효과 특성상 여러 장의 카드를 덤핑 할 수 있는 상황이 나오기에 테러 베이비와 비스크 돌을 묻는 것으로 돌파에도 큰 힘을 주기에 예전보다 평가가 올랐다. 일러스트는 비스크 돌이 관에 누워있는 모습. 진짜 죽은지 얼마 안 된 시체 같아서 네크로 돌과 다른 의미로 오싹한 편. 해외판에서는 네크로 돌과 마찬가지로 관이 탄압을 당해 선물상자로 바뀌었다. ||수록 시리즈 || ||<(> 2019-10-1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IGAS-JP059 | '''[[이그니션 어썰트|イグニッション・アサルト [ IGNITION ASSAULT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0-01-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IGAS-KR059 | '''[[이그니션 어썰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0-01-3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IGAS-EN059 | '''[[이그니션 어썰트|IGNITION ASSAUL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지옥인형의 저택 === [[파일:1887_20240229080040_img_2_WMWEzD1qVkoPqAzUY1T0zZ2BtDVNLDOhQklDocr7AWMqUB8s0RhnpZoYb9jmBxK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지옥인형의 저택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地獄人形(じごくにんぎょう)(やかた), 영어판명칭=Mansion of the Underworld Dolls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덱에서 "기믹 퍼핏"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기믹 퍼핏"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엑시즈 몬스터 이외의 상대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를 받지 않는다., 효과3=③: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자신 묘지의 "기믹 퍼핏"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상대 필드에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기믹 퍼핏 최초의 필드 마법. 이름의 저택은 관(館)이라 쓰고 저택(야카타)이라 읽는 방식. 이름의 지옥인형은 애니메이션 초반에 기믹퍼핏 카드군을 "지옥인형"이라 쓰고 "기믹퍼핏"이라 읽었던 것을 의식한 듯 하다. ①의 효과는 발동 시 기믹 퍼핏 몬스터 서치 효과로 이런 류의 필드 마법이 그렇듯 초동으로서의 가치는 높다. 키메라 돌 외에는 유일한 직접 서치 카드이다. ②의 효과는 기믹 퍼핏 몬스터에게 전투 파괴 및 엑시즈 몬스터 외의 상대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는 강력한 효과. 별다른 역할이 없던 기믹 퍼핏 몬스터에 내성을 주어 상대의 패 트랩과 견제 카드에게서 보호할 수 있다. 지속 효과는 막지 못하지만 견제형 지속 효과의 대표주자인 [[No.41 이수마수 바구스카]]는 어차피 엑시즈 몬스터라서 사실상 완전 내성이라고 보면 된다. 니비루[* 다만 위에 소개된 원핸드 선턴킬 루트의 경우에는 니비루에게 막힌다. 이 보호 효과는 어디까지 내 필드의 기믹 퍼핏 몬스터만 보호하는 것이지, 상대 필드에 던져준 몬스터까지 보호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 필드의 내 기믹 퍼핏 몬스터는 니비루에게 먹히며, 엑시즈 몬스터가 사라졌기에 자이언트 킬러 번뎀 2연타로 상대 LP를 끝장낼 수 없게 된다. 다만 원핸드가 아니라면 상대 필드에 나이트메어를 던지는 것으로 케어가 가능하다.], 뵐러, 시구레, 토끼 등을 막을 수 있다는 것도 꽤 큰 편. 다만 토끼의 경우, 필드 마법에 던질 수 있다는 것에 주의.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만 통하기에 상대에게 엑시즈 몬스터를 전개해 돌파를 시도하도록 유도하는데, 이는 포가 원작에서 사용한 필드 마법 [[IV(유희왕)#엑시즈 콜로세오|엑시즈 콜로세오]]와 상통하는 전법이다. ③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엑시즈 소재 1개를 제거하는 것으로 자신 묘지의 기믹 퍼핏 1장을 상대에게 떠넘기는 효과. 몬스터를 떠넘겨 엑시즈 몬스터들의 파괴 후 번 데미지 효과와 연계할 수 있으며, [[무한포영]]과 [[길항승부]]의 발동도 막을 수 있다. 나이트메어를 꺼낸다면 상대가 자신 턴에 전개를 하거나 후속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을 봉쇄할 수도 있다. 서치, 내성부여, 상대 방해까지 모든 걸 가진 필드 마법이라 고평가를 받고 있으나 막상 [[테라포밍(유희왕)|테라포밍]] 등 범용 필드 서치에만 의존해야하는 것이 아쉬운 부분이다. 테마 내에는 들어가지 않는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 서치하는 초동이고 그 성능이 매우 우수하단 점에서 [[뉴 클리어 월드/스토리|세괴 필드 마법]]에 비유되곤 한다. 모티브는 아크라이트 가의 저택. 저택을 자세히 보면 아크라이트 가의 저택 장식에 쓰인 스테인드 글라스가 있으며 특유의 구조물이 닮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러스트에 등장하는 몬스터는 험프티 덤프티, 폭탄 에그, 네크로 돌[* 탄압판 일러를 따라서 핏자국이 사라져 있다.]이며, 저택에 오는 방문자를 환대하는 듯한 밝은 표정을 짓고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4-04-2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INFO-JP056 | '''[[인피니트 포비든|インフィニット・フォビドゥン [ INFINITE FORBIDDEN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서포트 함정 카드 == '''퍼핏 / パペット / Puppet''' 모두 "퍼핏" 카드군에 속하며 'CX 기믹 퍼핏-패나틱스 마키나'로 서치가 가능하다. === 괴뢰장의-퍼핏 퍼레이드 === [[파일:傀儡葬儀-パペット・パレード.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괴뢰장의-퍼핏 퍼레이드, 일어판명칭=傀儡葬儀(くぐつそうぎ)-パペット・パレード, 영어판명칭=Puppet Parad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번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수가 자신 필드의 몬스터보다 많을 경우\, 그 차의 수까지 덱에서 "기믹 퍼핏"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자신의 LP가 상대보다 2000 이상 적을 경우 추가로 덱에서 "RUM(랭크 업 매직)" 일반 마법 1장을 고르고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기믹 퍼핏"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기믹 퍼핏 최초의 함정 카드. 괴뢰의식-퍼핏 리츄얼과 유사한 네이밍 방식을 갖고 있다. 퍼핏 리츄얼이 묘지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면 이 카드는 덱에서 소환한다. 퍼핏 리츄얼의 발동 조건을 오마쥬하여 LP가 상대보다 2000 이상 적을 경우 덱에서 [[RUM]] 일반 마법을 세트하는 부가 효과가 있다. 하지만 함정 카드라 패에 잡혀도 몬스터를 바로 전개해 사용할 수 없고, 상대의 전개를 방해하는 게 아니라 자신의 아드를 극대화하기 위해 눈 뜨고 지켜봐야만 하며, 정작 이렇게 소환한 메인 덱의 기믹 퍼핏은 상대 턴에 제압력을 행하는 몬스터가 없는데다 그 스탯도 빈약하다. 힘든 조건을 마무리해도 상대가 전개한 카드로 전투를 하거나 효과로 치워버린다면 카드를 사용하고 턴을 받아도 실질 어드밴티지는 없다시피한다. 불안정해서 [[오르페골]]이나 [[기교|기교사-오로치트론]] 같은 용병을 채용하고 이 카드는 아예 빼버리는 경우나, 반대로 오로지 이 카드 하나만을 보고 [[트랩트릭]]이나 [[악마양 릴리스]]까지 투입하는 극단적인 경우도 있다. 이처럼 상황에 따라 극과 극을 오가는 효과로 유저들 사이에서는 듀얼리스트 팩 지원 중 대표 [[웃음벨]]로 통한다. 마침 이름 뒷부분은 [[축제|퍼레이드]]인데 정작 앞부분은 [[장례식|장의]]라서, [[축제가 아니라 장례식입니다|사실 축제가 아니라 장례식이었다]]는 드립이 나오기도 한다. 이렇듯 써먹기 애매한 카드였으며 12기 지원 후에는 더더욱 필요가 없어졌다. 패나틱스 마키나의 "퍼핏" 함정 서치가 추가되긴 했으나 보통은 쓸데 없는 수비벽을 세우기보다는 일시적으로나마 컨트롤 탈취가 가능한 서비스트로 충분하며, 조건부로 RUM을 서치하는 효과도 판타직스 마키나가 훨씬 수월하게 수행하기 때문. 일러스트에는 마그네 돌과 비스크 돌, 나이트 조커가 붉은 실에 매달려있고 뒤에는 디저스터 레오가 웅장하게 서 있다. 실제로 이 카드의 효과로 마그네 돌, 비스크 돌, 나이트 조커를 소환해 데스티니 레오를 소환 후, 세트해 뒀던 RUM을 발동하면 데스티니 레오를 디저스터 레오로 랭크 업 할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 2019-09-0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2-KR038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9-06-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2-JP038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괴뢰유의-서비스트 퍼핏 === [[파일:1887_20240229080103_img_1_TaPBzcDXtJczuN6xH23KCq39DDD549ZNXoMMFNkyWAoHNi4SZvabbRYdUbYMYyZv.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괴뢰유의-서비스트 퍼핏, 일어판명칭=傀儡遊儀(くぐつゆうぎ)-サービスト・パペット, 영어판명칭=Servist Puppet,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기믹 퍼핏" 엑시즈 몬스터의 수까지\,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엔드 페이즈까지 얻는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기믹 퍼핏" 엑시즈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턴에 묘지로 보내지지 않은 이 카드를 묘지에서 제외하고\, 자신이나 상대 묘지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자신이나 상대 필드에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퍼핏 퍼레이드에 이어 두번째로 나온 퍼핏 함정카드. 패나틱스 마키나로 서치가 가능하다.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기믹 퍼핏 엑시즈 몬스터의 수까지 상대 몬스터의 컨트롤을 탈취하는 효과. 엔드 페이즈까지긴 하지만 상대 전개를 끊어버리는 용도로는 문제 없으며 오히려 엔드 페이즈에 돌아간 몬스터를 다음 자신의 턴에 파괴하여 번 뎀을 주는 용으로 쓸 수도 있다. 기믹 퍼핏은 전개력이 좋은 편이라 엑시즈 몬스터를 여러 장 세우는 게 어렵지 않으므로 기회만 된다면 대량 탈취도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기믹 퍼핏 엑시즈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묘지에서 제외하고 자신/상대 묘지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을 자신 또는 상대 필드에 수비표시로 특수 소환하는 효과. 다른 인피니트 포비든 출신 지원들과 마찬가지로 엑시즈 몬스터를 떠넘겨 파괴 후 번뎀을 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자신의 필드로도 불러올 수 있기에 상대의 엑시즈 몬스터를 가져와 소재로 사용하거나 상대의 소생 효과에 체인해 되살려오려는 엑시즈 몬스터를 빼앗아오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다만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쓸 수 없으니 주의. 카드명은 포의 말버릇인 팬서비스. 일러스트는 원작에서 자이언트 킬러가 처음 데뷔한 33화 당시, IV가 상대한 [[타케다 테츠오|테츠오]]와 [[토도로키 타카시|타카시]]의 몬스터인 [[양철 대공]]와 [[토도로키 타카시#백신게일|백신게일]]을 자이언트 킬러의 효과로 파괴하는 장면. ||수록 시리즈 || ||<(> 2024-04-2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INFO-JP070 | '''[[인피니트 포비든|インフィニット・フォビドゥン [ INFINITE FORBIDDEN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같이 쓰면 좋은 카드 == * '''[[RUM-아젠트 카오스 포스]]''' 기믹 퍼핏이 제대로 된 성능을 내기 위한 '''필수 카드'''. 12기 지원이 나오기 전엔 속공성을 목적으로 [[RUM-퀵 카오스]], 필드 광역 무효를 위해 [[RUM-누메론 포스]]도 고려됐으나, 저 둘로는 소환할 수 없는 CX인 패나틱스 마키나가 등장하면서 아젠트 카오스 포스를 최우선으로 채용하게 됐다. * '''[[호루스(유희왕)|호루스]] 카드군''' 8축 용병으로 기믹퍼핏의 부족한 전개력 및 견제력을 보강해주며 제약이 걸리는 네크로 돌이나 키메라돌 대신 범용 랭크 8 엑시즈 몬스터[* 덤핑 효과가 있어 기믹 퍼핏과 상성이 좋지만 제약으로 인해 뽑지 못하는 [[디 언데드 뱀파이어]]도 호루스 몬스터들을 용병으로 쓴다면 소환할 수 있다. 다만 블러디 돌 등장 이후로는 엑스트라 덱에 기믹 퍼핏 제약이 걸리기에 이 장점은 많이 희석된 편. 참고로 디 언데드 뱀파이어는 탈취한 몬스터라면 아무 레벨이나 엑시즈 소재로 쓸 수 있기에 서비스트 퍼핏을 턴을 받아온 후에 발동했다면 이런 처리법도 있다.]의 소재로도 사용 가능하다. 왕의 관이나 임세티의 패 코스트도 묘지에서 효과를 쓰는 기믹퍼핏이나 자체 회수가 가능한 아젠트 카오스 포스를 사용하면 손해가 없는 편. 의외로 기믹 퍼핏의 제약은 기간테스 돌과 나이트메어를 제외하면 엑스트라 덱에만 걸기 때문에 묘지에서 튀어나오는 호루스 몬스터들은 이 제약에 걸리지 않는다. * [[세리온즈 "킹" 레귤러스]] + [[세리온즈# 원반투기장 세리온즈 링| 원반투기장 세리온즈 링]] 기계족 범용 퍼미션 요원과 그걸 서치할 수 있는 필드 마법. 마침 레벨이 8이기에 랭크 8 엑시즈 소재로도 사용 가능하다. 상술했듯 기믹 퍼핏의 제약은 대부분 엑스트라 덱만 제한하기 때문에 메인 덱 용병은 문제없이 넣을 수 있다. * [[아스트랄 크리보]] 넘버즈 몬스터 전용 크리보. 기간테스 돌, 판타직스 마키나의 소재로 쓸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나, 특수 소환이 매우 간편하기에 8랭크 기믹 퍼핏 넘버즈들을 전개 하는데에 조금 더 도움을 준다. 지옥인형의 저택이 필드에 없어서 효과 내성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아스트랄 크리보의 전투/효과 파괴 내성 부여 효과도 나름 쏠쏠하다. * '''[[플래닛 패스파인더]]''' [[V(유희왕)|형]]의 카드. 필수 초동 필드인 지옥인형의 저택이 추가되면서 채용 가치가 생겼다. 기믹 퍼핏은 일소권을 쓰지 않아도 전개가 가능하며 판타직스 마키나에게 추가 소환권도 있기에 이 쪽에 일소권을 줘도 전개가 가능하다. * [[기계 복제술]] 단번에 몬스터를 불릴 수 있는 카드. 네크로 돌, 테러 베이비, 험프티 덤프티, 리틀 솔저즈, 블러디 돌에게 발동 가능하며 네크로돌, 블러디 돌에게 쓰면 8축, 테러 베이비, 험브티 덤프티에 발동한다면 4축 엑시즈를 뽑을 수 있다. 리틀 솔저즈는 자체적으로 레벨 변동 효과가 있으나 이 변동 효과에 명칭 제약이 있기에 이 효과로 불러오는 나머지 2장은 그대로 레벨이 4라 랭크 4에만 쓸 수 있으니 주의. 엑시즈 뿐만 아니라 키메라 돌 등 링크 소재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믹 퍼핏의 엑시즈 소재로만 쓸 수 있는 네크로 돌도 다른 몬스터의 링크 소재로는 얼마든지 사용 가능. * [[지옥의 폭주소환]] 기계 복제술과 마찬가지로 단번에 몬스터를 불릴 수 있는 카드. 공격력 제한이 1500 이하라 덱특소가 불가능한 기어 체인저와 공격력 2000인 캐틀 스크림을 제외하면 모든 몬스터에게 발동 가능하다.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필요하단 조건도 지옥인형의 저택이나 패나틱스 마키나로 내 몬스터를 떠넘기면 선공에도 충족시킬 수 있다. * [[오르페골]] 카드군 '''한 때 기믹 퍼핏을 먹여살렸던 1등 공신.''' 10기 시절 1년 넘게 티어권에서 활약했던 고성능 카드군으로 어둠 속성 / 기계족 / 묘지 활용 / 링크 2 링크 몬스터 존재 / 랭크 8 엑시즈 몬스터 존재 등 많은 면에서 기믹 퍼핏과 겹친다. 12기 초반까지의 기믹 퍼핏은 싫든 좋든 조금이나마 실전적으로 쓰고 싶다면 이 카드군을 섞어야만 했다. 다만 분명히 기믹 퍼핏 입장에선 최강의 구축이지만, '''정작 오르페골 입장에선 최약의 구축이라는 사실'''이 유저로 하여금 '굳이 기믹 퍼핏 같은 약한 테마에 집착할 필요가 있냐'는 의문을 품게 만들어 결국 기믹 퍼핏은 방해만 된다는 사실을 깨닫고 순수 오르페골로 갈아타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인피니트 포비든]] 지원 이후로는 기믹 퍼핏 자체적으로도 테마를 굴리는 것이 가능해졌기에 굳이 섞지 않아도 덱으로 기능을 하게 되어 이 쪽보단 덱 스페이스를 적게 차지하는 호루스와 섞는 쪽으로 바뀌었다. * [[잭나이츠 오르페골 기르수]]: 다른 카드와의 조합으로 패 1장 엑시즈 소환[* 기르수 일반 소환 - 토큰 생성 / 오르페골 트로이메어 덤핑 - 트로이메어로 기르수 지정하고 [[기교(유희왕)#s-2.1|기교사]] 덤핑 - 기르수와 토큰으로 키메라 돌 소환 - 키메라 돌로 레벨 8 기믹 가져와서 소환 - 덱 8장 갈고 기교사-오로치트론 소생 - 기교사-오로치트론과 레벨 8 기믹 퍼핏으로 엑시즈 소환.]을 가능하게 해준다. * [[시오르페골 딩기르수]]: 기믹 퍼핏에는 없는 비대상 비파괴 제거와 내성을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인피니트 포비든 지원 이후에는 엑스트라 덱에 기믹 퍼핏 제약이 걸리는 블러디 돌을 필수로 사용하기에 투입되지 않는다. * [[트레이드 인]] 부스팅 카드. 네크로 돌처럼 묘지에 있어야 진가를 발휘하는 몬스터를 묘지에 묻을 수 있고, 초동은 물론이고 서치가 불가능한 전용 마법들을 잡기 쉽게 해준다. 과거에는 [[어둠의 유혹]]을 쓰기도 했으나 지원 이후로는 1핸드가 가능해졌고, 초동 또한 풍부해졌기에 현재로써는 채용한다면 트레이드 인 정도만 고려하는 정도다. *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범용 엑시즈 몬스터. 허나 기믹 퍼핏 특유의 제약인 "엑스트라 덱에서 기믹 퍼핏만 특수 소환 가능" 때문에 생각보다 뽑기는 어렵다. 예전엔 선공이나 후공이나 그게 그거라 턴킬용 후공이라도 가져가서 내자는 마인드라도 있었으나 12기에서 선공 플랜이 생겨 그럴 필요도 없다. 그래도 후공이 걸렸을 때 호루스 용병을 쓰거나 솔저즈의 묘지 효과로 정규소환해서 낼 가치는 충분하니 취향에 따라 넣어도 괜찮다. == [[기믹 퍼핏/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은 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믹 퍼핏/OCG화되지 않은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