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기사도 정신, rd1=기사도)] [[유희왕]]의 마법 카드. [[파일:card100254050_1.jpg]] || 한글판 명칭 ||'''기사도정신'''|| || 일어판 명칭 ||'''[ruby(騎,ruby=き)][ruby(士,ruby=し)][ruby(道,ruby=どう)][ruby(精,ruby=せい)][ruby(神,ruby=しん)]'''|| || 영어판 명칭 ||'''Kishido Spirit'''|| ||<-2> 지속 마법 || ||<-2>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는 공격력이 같은 몬스터와의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는 같은 공격력이 되는 [[방어막(유희왕)#s-2.1.1|성스러운 갑옷 거울의 메일]]과 [[극성보#s-3.1|극성보 브리징가 멘]], [[흉내쟁이 환술사]], [[사이버 섀도우 가드너]], [[더블 드래곤 디센트]]와 같이 쓰는게 좋은 카드...지만 저런 카드가 아니면 대개 같은 공격력의 몬스터끼리 싸우는 일은 드물기 때문에 쓰기 힘들다. 유희왕의 몬스터 공격력은 기본적으로 천~백 단위에 쓰이는 수치가 다양하고, 종종 거기에 십 단위수가 올라가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몬스터를 지킬 생각이라면 아예 [[위협하는 포효]]나 [[화목의 사자]], [[초전자 터틀]], [[네크로 가드너]] 같은 카드가 차고 넘치게 있으며 전투파괴 내성을 따져도 [[미스트 바디]], [[명경지수의 마음]], [[공격 무적화]] 같은 카드가 있으며 아예 [[선봉 대장]], [[블록 스파이더]]를 2마리 꺼내놓는 식으로 락을 형성하는 방법도 있다. 때문에 실용성은 아예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여담이지만 수비 표시일 경우라도 효과는 적용되기 때문에 수비 표시라 해도 공격력만 같으면 어쨌든 파괴되지 않는다. 일러스트에 등장한 몬스터는 [[백룡의 성기사]]. 이 카드의 등장 당시 듀얼 환경은 하급 어태커 공격력 라인이 1800, 1900에 형성된 경우가 많았고, 레벨 5 이상의 몬스터는 2400으로 매겨진 경우가 많았기에 나름 의미가 있는 카드였다. 원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 나왔던 OCG 오리지널 카드이나 이후 [[유희왕 GX]]에서 [[유우키 쥬다이]]가 꺼내서 사용했다.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프레임 윙맨]]으로 [[텐죠인 아스카]]의 [[사이버 블레이더]]에게 돌격해 파괴시키려 했으나 사이버 블레이더의 효과 때문에 실패했다. 그 외에도 도마편에서 [[라펠]]과 [[바론]]의 패에 들려져 있기도. 영문명이 참 기묘하다. 기사도의 영어뜻인 Chivalry가 아닌, 기사도의 일본어 발음인 '키시도'를 그대로 영어로 써놓은 것.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매지션의 힘]] || MFC-KR038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 Volume 1 || HGP1-KR093 || [[노멀]] || 한국 || || || 유니온의 강림 || 302-038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br]절판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1 || EE1-JP093 || [[노멀]] || 일본 || || || [[매지션의 힘|Magician's Force]] || MFC-038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1 || DR1-EN093 || [[노멀]] || 미국 || || [[분류:유희왕/OCG/지속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