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중의원|[[파일:shuugiin_logo.png|width=100px]]]] {{{#000000 '''[[일본|{{{#000000 일본}}}]] [[중의원|{{{#000000 중의원}}}]] ([[야마구치현 제2구|{{{#000000 야마구치 2구}}}]])'''}}} || || '''제46-49대'''[br][[기시 노부오]] || → || '''제49대[br]기시 노부치요''' || → || 현직 || ---- ||<-2> '''{{{#fff 일본국 제49대 중의원 의원[br]{{{+1 기시 노부치요}}}[br]岸信千世 | Kishi Nobuchiy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기시노부치요.jpg|width=100%]] }}}|| ||<|2> '''출생''' ||[[1991년]] [[5월 16일]] ([age(1991-05-16)]세) || ||[[미국]] || || '''고향''' ||[[도쿄도]] [[미나토구]] || || '''현직''' ||제49대 [[중의원]] 의원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게이오기주쿠 유치사 {{{-2 (졸업)}}}[br]게이오기주쿠 중등부 {{{-2 (졸업)}}}[br]게이오기주쿠 고등학교 {{{-2 (졸업)}}}[br][[게이오기주쿠대학]] [[경영학과|상학부]] {{{-2 (상학 / 학사)}}} || || '''신체''' ||185cm[* [[https://hanada-plus.shop/products/467|출처]]. 일본 남성 평균키인 172cm보다 한참 큰 [[장신]]인데, 이건 기시 집안 내력인지 증조부인 기시 노부스케만 해도 1800년대 태생 일본인을 포함한 동양인으로선 장신인 171cm였고, 부친 노부오도 178cm나 된다. 큰아버지 아베 신조도 175cm로 평균보다 큰 장신이었다.] || || '''부모''' ||아버지 [[기시 노부오]], 어머니 기시 치카코 || || '''친척''' ||증조부 [[기시 노부스케]][br]종증조부 [[사토 에이사쿠]][br]조부 기시 노부카즈[br]백부 [[아베 히로노부]], '''[[아베 신조]]'''[br]남동생 기시 토모히로 || || '''소속 정당'''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소속 파벌''' ||[[세이와 정책연구회]][* 증조부 기시 노부스케가 개창한 이래 집안 구성원이 대대로 속했고, 백부 아베 신조가 사망 직전까지 회장을 맡았던 파벌이다. 국회 입성 이후 2023년 4월 27일에 자민당 소속으로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4인 중 기시 노부치요와 아베의 후임 [[요시다 신지]], 오이타 참의원 시라사카 아키 3명이 세이와 정책연구회에 가입했다.[[https://news.yahoo.co.jp/articles/8d7b165e191dbc673aeccf906922d2e4158dfc4e|#]] 나머지 한 명인 [[에리 아르피야]]는 대학 선배인 [[고노 다로]]에게 많은 지원을 받았기에 [[지공회]]에 가입했다.] || || '''지역구''' ||[[야마구치현 제2구|야마구치 2구]] || || '''의원 선수''' ||'''1''' (중) || || '''의원 대수'''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9]][* [[2023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보궐선거]] 당선] || || '''약력''' ||[[후지 테레비]] 사회부 기자[br][[기시 노부오]] 방위대신 정무비서관[br]기시 노부오 중의원 의원 비서[br][[중의원]] 의원 {{{-2 (제49대 / [[야마구치현 제2구]])}}} || || '''링크''' ||[[https://kishi-nobuchiyo.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jimin.jp/member/205724.html|[[파일:자유민주당(일본) 로고.svg|height=18]]]]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 현재 제49대 중의원 의원직을 역임하고 있다. [[기시 노부오]] 전 방위대신의 장남이자 [[아베 신조]] 전 내각총리대신의 조카이며, 지역구 선출 제49대 중의원 의원 중 최연소 의원이다. 족보가 상당히 꼬여 있어 직관적 이해가 어려운 편인데, 아버지 기시 노부오가 [[아베 신타로]]의 3남으로 태어나 외삼촌인 기시 노부카즈[* 신타로의 부인 요코의 오빠이자 [[기시 노부스케]]의 장남. 1921년생으로 [[교토대학|교토제국대학]] 출신이다. 유력 정치가의 장남이지만 3살 때 앓은 [[소아마비]]의 영향으로 평생 다리를 절었던 신체적인 약점도 있고 정치와 맞지 않는 성격임을 알고 있던 터라 정계가 아닌 재계에서 활동했다. 부친의 친구가 전무로 재직 중이던 우베흥산에 입사하여 근무하다, 1958년 기시 노부스케 총리의 비서관으로 재직하던 매제 [[아베 신타로]]가 중의원 선거 출마로 직책을 그만두면서 노부카즈가 우베흥산을 퇴사하고 비서관 직을 이어받았지만 아버지가 총리에서 물러남과 동시에 정계를 떠나 세이부석유에 입사했고, 이후 회장까지 역임했으며, 2017년에 세상을 떠났다.[[https://www.dailyshincho.jp/article/2017/12050558/?all=1|#]]]의 양자로 갔기 때문이다.[* 노부카즈는 26살때 야마구치현의 지역유지의 차녀와 결혼했지만, 오랫동안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1959년 여동생의 셋째로 태어난 노부오를 양자로 받아들였다.[[https://www.dailyshincho.jp/article/2017/12050558/?all=1|#]]] 때문에 아베 신조와는 원래는 백부-조카 관계이지만, 호적상으로는 [[고모할머니]](아베 요코[* 원래 친조모인 요코가 조부의 여동생인 고모할머니로 바뀌었다.])의 아들, 내당숙에 해당한다. == 생애 == === 초기 생애 === [[미국]]에서 [[기시 노부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당시 부친이 회사원으로서 미국에서 근무하여 미국에서 태어났으며, 이후 [[도쿄도]] [[미나토구(도쿄)|미나토구]]에서 성장했고, 부친과 마찬가지로 [[게이오기주쿠대학]] [[일관제]] 부속학교 출신으로, 게이오기주쿠 유치사, 중등부, 고등학교를 거쳐 내부진학을 통해 게이오기주쿠대학 상학부를 졸업한 이후 2014년에 [[후지 테레비]]에 입사하여 보도국 사회부 [[기자]]로 근무했으며, 2020년 부친의 방위대신 취임과 함께 후지 테레비를 퇴사하고 방위대신 정무비서관으로 일했고, 대신 퇴임 후에도 의원실 공설비서로 근무하며 부친을 보좌했다. === 정계 입문 === 2022년 12월 11일, 기시 노부오가 건강 악화로 인한 정계 은퇴를 표명하고 아들에게 지역구를 세습할 뜻을 밝힘에 따라 [[2023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야마구치현 제2구|야마구치 2구]] 자민당 후보로 출마하게 된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872928?sid=104|#]]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의 독주 체제, 가업 세습에 대한 존중이 정치에까지 적용되는 일본 정치 상황 하에, 국내에서 가장 화려한 보수 정치가 일족인 아베-기시 가문의 총아[* 2022년 7월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사망과 2023년 2월 [[기시 노부오]] 의원의 사퇴로 아베-기시 가문의 이름이 모두 노부치요에게 이어지게 되었다.]인 노부치요가 정치적·역사적으로 보수 텃밭이고 수십년 간 가문을 뒷받침해온 [[야마구치현]] 지역구에 출마하게 된 것이기에, 보궐선거에서의 당선은 이변 없이 확정된 수준이고, 당선과 동시에 제49대 중의원의 지역구 선출 의원 중 최연소자가 될 전망이다.[* 기존 제49대 중의원 지역구 선출 의원 중 최연소는 [[도쿄 13구]]의 [[쓰치다 신]](90년생)이며, 비례 의원 중에는 [[바바 유키]](92년생)가 있다.] 정치자금 파티에 참석한 면면을 보면 아베-기시 가문의 모든 것을 계승할 것으로 여겨지는 그가 모으고 있는 기대가 여실히 드러난다.[[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55992?cds=news_my_20s|#]] 2023년 4월 23일 치러질 보궐선거 후보로 정식 입후보하여 야권 단일 후보인 무소속 [[히라오카 히데오]] 전 법무대신과 맞붙게 되었다. 히라오카 후보는 보수의 성지인 야마구치 2구에서 민주당 소속으로서 이례적으로 중의원 의원(제42, 43, 44, 45대)을 지냈으나 2012년 제46대 중원선에서 기시의 부친 노부오에게 낙선한 뒤, 2013년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3회 참원선]], 2014년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7회 중원선]]에서 연속으로 낙선하고 이후 [[변호사]] 일을 하다가 오랜만에 정치판에 복귀했다. 히라오카는 정치 세습을 끊기 위해 나왔다고 출마의 변을 밝히며, 정치 세습에 거부감이 있는 정치 저관여층에게 어필하고[* 어차피 수십 년의 세월동안 탄탄하게 다져온 가문 후원회와 이해를 공유하는 지역의 유력자 및 그 관계자들은 모두 투표장에서 세습 의원에게 표를 몰아주고, 나머지 일반인들은 어차피 누굴 뽑건 조직표를 쥔 세습 의원의 당선이니 애초에 투표장에 안 나가는 게 일본의 낮은 투표율의 이유이다. 반란표가 나오지 않는 이상 히라오카가 당선되려면 결국 투표장에 안 나오는 일반인들을 투표장에 불러야 하며, 그를 위해 '세습을 끊자'는 옳은 소리를 하며 정치 혐오가 있거나 별 생각 없이 투표하는, 기시 가문과 이해관계 없는 일반인에게 상대 후보는 세습이란 것을 상기시키는 것이다.] 경력이 일천한데 아들이란 이유만으로 공천을 받은 노부치요의 약점을 공격하고 있다. 워낙 가문의 이름값이 높은 데다 지역도 보수 텃밭이다보니 비록 세습이라 해도 이변 없이 당선이 확정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공식 웹사이트의 족보 기재 논란 등으로 세습 정치에 대한 불만[* 더욱이 선거 며칠 전 [[기시다 후미오 폭탄 테러 미수 사건]]도 정치에 관심이 많고 참의원 선거 출마도 시도했던 [[기무라 류지]] 용의자가 기시다가 3대 세습 정치인인 것에 불만을 품어서 벌어진 일이다. 이는 개인에 대한 원한이라기보단 세습이 만연한 [[일본 정치]]의 실태에 대한 불만 표현으로 보아야 한다.]이 수면 위로 부상하며 상대 후보인 [[히라오카 히데오]]와 여론조사에서 접전을 펼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히라오카는 야마구치 2구에서 내리 4선을 했고 법무대신을 역임한 야마구치에서 보기 드문 야권 거물이기에, 제아무리 보수의 성지 야마구치라 하더라도 결과를 장담할 수 없게 되었다. 4월 23일 치러진 선거 결과 52.5%를 득표하여 47.5%를 득표한 히라오카를 간신히 따돌리고 국회에 입성했다. [[https://www.nhk.or.jp/senkyo/database/touitsu/35/19888/skh54159.html|#]] 지난 [[49회 중원선]] 당시 [[기시 노부오]]의 득표율이 76%였던 것을 감안하면 [[자민당]] 입장에서는 아쉬운 부분. 또한 지역구 선출 중의원 의원 중 최연소 의원으로 등극했다. === 중의원 의원 시절 === 당선된 후에 아버지의 소속 파벌이었던 [[세이와 정책연구회]]에 입회했다.[[https://www.nikkei.com/article/DGXZQOUA274AI0X20C23A4000000/|#]] 6월 21일, 자민당 야마구치현련에서 2구 지부장으로 기시로 유지하기로 결정하면서 야마구치 선거구 1석 감축에도 불구하고 다음 중의원 선거에도 지역구에 출마할 수 있게 되었다.[* 대신 기존 4구의 [[요시다 신지]]가 비례대표로 옮길 예정이며, [[야마구치현 제3구|3구]]로 병합된 삼촌인 [[아베 신조]]의 舊 지역구(시모노세키시, 나가토시)는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대신에게 넘어가게 됐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2023 - || 정계 입문 || == 선거 이력 == || {{{#fff '''연도'''}}} || {{{#fff '''선거 종류'''}}} || {{{#fff '''선거구'''}}} || {{{#fff '''소속 정당'''}}} || {{{#fff '''득표수 (득표율)'''}}} || {{{#fff '''당선 여부'''}}} || {{{#fff '''비고'''}}} || || 2023 || [[2023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국회의원 보궐선거]] || [[야마구치현 제2구|야마구치 2구]]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61,369 (52.47%)''' || '''당선(1위)''' || '''초선''' || == 여담 == [[파일:노부치요 얼굴.jpg|width=400]] * 백부 [[아베 신조]]와 부친 [[기시 노부오]]의 얼굴이 절묘하게 드러난다. [[파일:노부치요 가계.jpg|width=500]] * 부친의 의원직 사직 이후 본격적으로 선거를 준비하며 홈페이지를 개설했는데, 보통 정치인들이 성장 배경, 학력, 경력 등을 올리는 프로필란에 대놓고 집안 가계도를 올려놓은 것이 '세습 정치가의 민낯'이라며 안 좋은 의미로 화제가 되어 페이지가 폐쇄되었다. [[https://www.asahi.com/sp/articles/ASR2F6RPTR2FTZNB00W.html|#]] * 중고교 시절에는 야구부 소속이었고, 대학에선 [[연식야구#준경식야구|준경식야구]]부 부부장을 맡았다고 한다. 당시의 모습을 기억하던 동급생들에겐 성실한 부원이었다는 평판이다.[[https://news.yahoo.co.jp/articles/2a4f82f119b27bf16f2126b842e167326fb02de9|#]] == 둘러보기 == [include(틀:기시·사토·아베 가문)] [include(틀:일본 제49대 중의원 의원/자유민주당)] [include(틀:주고쿠 지방의 국회의원)] [[분류:일본의 남성 정치인]][[분류:일본의 기자]][[분류:1991년 출생]][[분류:제49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자유민주당(일본) 국회의원]][[분류:게이오기주쿠 고등학교 출신]][[분류:게이오기주쿠대학 출신]][[분류:일본의 정치인 자녀]][[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