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파일:기아 로고(1994-2004).svg|width=25%]] [[파일:기아 엠블럼.svg|width=1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tyatti.jpg|width=400%]]}}} || || {{{#ffffff '''COMBI'''[* 초기형 모델. AM805로 1987년에 제작된 [[1988 서울 올림픽]] 의전 차량이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luea929&logNo=30136157412|해당 차량 정보 링크]] 참조. 한때 보존된 장소는 [[올림픽공원(서울)|올림픽공원]] 내의 [[백제]]연구소였으나, 2018년 이후 [[서울역사박물관]]에 있었다. 물론 88올림픽 개최 30주년 기념으로 잠시 이전하여 전시했고, 2021년부터 2년간 복원 과정을 거친 후 2023년부터 [[서울역사박물관]]에 전시 중이다.]}}} || [목차] == 개요 == [youtube(QXVCgt4Vh4Y)] 콤비가 나온 [[아시아자동차]] 기업광고. 국내에서는 보기드문 상용차 CF이다. 콤비뿐만 아니라 후반에 AM919, AM트럭 등 당시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한 차량이 나온다. [[아시아자동차]]에서 1983년 10월에 AM807의 후속 모델로 출시한 [[준중형버스]]. 코드네임은 AM805였다가 AM815를 거처 AM825로 바뀌었다. [[마쓰다 타이탄]](2.5톤)[* 1.4톤 모델의 승합차량은 한국에서는 [[아시아 AC버스|AC076]]으로 불렸다. 그래서 2005년 단종 이전 당시 [[기아 봉고|봉고 III의 롱바디 버전]]이 이에 해당되며, 이전의 [[기아 프레지오|프레지오 그랜드]], [[기아 베스타|베스타]]를 기반으로 하는 롱바디 차체인 [[아시아 토픽]]과 거의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제 2세대 모델[* 같은 급의 트럭인 [[기아 트레이드|트레이드]]의 베이스 모델이다.]의 미니버스 버전인 [[마쓰다 파크웨이]] 2세대를 베이스 모델로 만들었다. 출시 당시에는 맨 위의 사진에 나와있듯이 4등식 원형 헤드램프와 가운데 커다란 형태의 그릴이 특징이었고,[* 이것은 당시 [[마쓰다 타이탄]]이나 [[기아 타이탄]]에도 비슷하게 들어가던 외향이다.] 후미등의 경우 초기형은 후진등까지 포함된 가로로 긴 형식[* [[마쓰다 패밀리아]] 해치백 BD형에 들어가던 후미등을 공유했었다.]에 가운데 트렁크 문이 위치해 있었다가 1987년에 후미등이 세로배열 6등식[* AM927에 들어가던 후미등을 공유했었다. 단, 정지등-방향지시등-정지등 순이 아닌 방항지시등-정지등-정지등 순으로 배열되었다.]으로 변경되면서 트렁크 문도 넓어졌고 후진등이 따로 분리되어 범퍼 왼쪽에 1개 적용되었다. 극초기에 출고된 차량은 원판인 마쓰다 파크웨이나 슈퍼타이탄 2.5톤에 들어가던 2,977cc 86마력 [[마쓰다 퍼킨스 엔진|HA 디젤 엔진]]이 탑재되었으나, 1984년부터 4.5톤 복사와 AM808 32인승 라이트버스에 들어가는 4,052cc ZB 엔진[* [[타타대우상용차]]에서 [[타타대우 더쎈|더 쎈]]을 출시하기 전끼지 국내 준중형 상용차 유일 고배기량 엔진이었다.]을 탑재하며 115마력에서 15마력 줄인 100마력으로 디튠하여 탑재하면서 당시 기준으로 상당히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었다.[* 반면 같은 시기에 마쓰다 파크웨이는 HA 엔진에서 동시기 마쓰다 타이탄의 마이너 체인지 모델이나 점보타이탄 2.5톤, 트레이드에도 들어간 3,455cc SL 엔진으로 변경되면서, 오히려 기아 콤비가 원판인 마쓰다 파크웨이보다도 성능이 더 좋아지게 되었다.] 출입문은 출시 초기에는 폴딩도어 형식만 있다가 AM815부터 스윙도어 형식의 출입문이 생겼다. 준중형버스라고 하면 죄다 콤비라 부를 정도로 많이 팔렸고 유명했었다.[* 오죽했으면 한때 예능 프로그램 중 [[1박 2일]]에서 [[현대 카운티|카운티]]를 대놓고 ''''콤비차''''라고 부르기도 했다.] 1999년에 아시아자동차가 [[기아]]에 합병된 뒤 2002년에 콤비가 단종된 후 [[자일대우버스 레스타|레스타]]가 등장하기 전까지 10년 이상 [[현대 카운티|카운티]]의 독주 시대를 유지했다. [[트럭]] 부문도 [[현대 마이티|마이티]]가 오랫동안 독점했지만, 2017년 이후 외국산 준중형 트럭들이 국내에 판매되어 지금은 좀 나아졌다. == 상세 == [[파일:0RKrOiV.jpg|width=400]] 1988년 7월에 출시된 초기형의 마이너체인지판 모델인 AM815. 뉴 콤비라는 이름으로 팔렸으며, 이 모델에서는 2등식 직사각형 헤드라이트로 변경되었고, 후미등도 세로배열 4등식으로 변경되면서 크기도 작아지고,[* 이 때, 후미등 스타일은 [[기아 코스모스|코스모스 전기형(AM818)]]과 유사하나 세로 길이가 짧은 형태이다.] 후진등이 1개 더 늘면서 범퍼 좌우에 각각 적용되었고, 스윙도어가 옵션으로 등장했다. 스티어링 휠과 대쉬보드 또한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기아 트레이드|트레이드]]와 같은 형태로 변경되었다. 이때부터 현대에서도 [[현대 코러스|코러스]]를 출시해서 한국 마이크로버스 시장에서 현대 - 기아간의 경쟁 구도를 갖추게 된다. [[파일:FKwGlJY.jpg|width=400]] 1993년 11월에 출시된 중기형 모델인 AM825. 이 모델은 슈퍼 하이 콤비(Super Hi-Combi)라는 이름으로 팔렸다.[* 1994년부터 기아그룹의 CI 변경으로 타원형 ASIA 로고를 달고 생산되었다.] 이 모델부터는 후미등 디자인이 [[기아 봉고#s-3.1|봉고 나인(봉고 타운)]]과 --거의-- 유사해졌다. 후진등도 이 후미등에 포함된 것은 물론이다. 참고로 영업용 마을버스 모델 한정으로 콜 부저([[하차벨]])가 설치되었다. 소리는 [[즐거운 나의 집]]이나 [[엘리제를 위하여]]다. 이 모델부터는 그동안 옵션으로 장착되었던 에어컨이 기본으로 장착되게 된다. [[파일:BbjJ8tZ.jpg|width=400]] 1995년 12월 22일에 출시된 후기형 모델인 파워콤비. 이 모델은 헤드라이트가 4등식 원형 헤드램프로 바꿔 출시되어 약간의 변형을 거치면서 생산하다가 1999년에 아시아자동차가 기아에 흡수 합병되어 [[현대자동차]] 계열사에 편입되면서 기아 상용차 부문에서 생산하게 되었다.[* 1997년부터 아시아자동차가 기아 로고를 바꿔 달고 생산되었다.] 3.7L VM Motori의 145마력 [[VM 638 엔진|VM39B]] 터보 엔진[*638제원 원동기형식명 VM39B, 배기량 3,749cc, 보어 및 스트로크 94 × 92, 간접 분사 방식]이 탑재되었으며, 마이너스 옵션으로 기존의 ZB 엔진도 선택할 수 있었다. 이때 콤비의 모델 엠블럼은 엔진 구분에 따라 VM 터보 사양은 "Turbo Combi(터보 콤비)", 기존 ZB 엔진 사양은 "Power Z Combi(파워 Z 콤비)"로 나뉘어졌다. 대부분 기존 ZB 엔진 사양으로 팔려 파워콤비로 알려졌다. 기아가 현대에 인수된 이후에는 콤비의 영어 스펠링이 종전 소문자에서 대문자로 바뀌었고 단종 직전에는 카운티의 엔진[* 현대의 마이티Ⅱ와 기아의 프런티어 2.5톤 모델에도 얹었던 [[미쓰비시 후소 4D3 엔진|D4AL 터보 인터쿨러 엔진]]이었다.]을 달고 생산되다가, 배출가스 규제 문제 및 카운티와의 [[팀킬|시장 중복]] 등을 이유로 2002년 10월에 [[기아 타우너|타우너]], [[기아 코스모스|코스모스]]와 함께 후속 모델 없이 단종되었다. 이후 기아가 만드는 버스는 AM928, 그랜버드만 남게 되다가 AM928마저 2004년 단종되어 [[기아 그랜버드|그랜버드]] 하나만 남게 되었다.[* 기아 트럭도 마찬가지로 타우너, [[기아 세레스|세레스]], 프런티어 2.5톤, [[기아 파맥스|파맥스]], [[기아 라이노|라이노]], [[기아 그랜토|그랜토]]가 잇따라 단종되어 봉고 하나만 남게 되었다.] 그렇게 되면서 기아의 소형버스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으며, [[현대자동차]]는 [[자일대우버스]]에서 레스타가 출시될 때까지 카운티가 소형버스 시장을 10년간 완전 독점했다. 현재 보존된 차량은 1987년에 제작된 올림픽 차량과 금호상사가 보존의 목적으로 수집한 하이콤비가 있다. 그 외에도 825, 파워콤비 등이 자가용이나 학원버스 등으로 어느 정도 남아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대문04.jpg|width=100%]]}}}|| || 연희교통에서 굴렸던 마을버스 모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5-05_b.gif|width=100%]]}}}|| || 성동소방서(현 광진소방서)[* 해방 이듬해인 1946년에 개서한 소방서로 1995년 광진구가 신설된 뒤에도 이 이름을 계속 사용하다가 2008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2017년 성동구만을 관할하는 성동소방서가 분리 개서했다.]에서 쓰던 구조버스[* 출처 [[http://mulchong.ye.ro/spboard/board.cgi?id=m_photo6&page=1&sort=read|#]]] || 카운티와 레스타처럼 마을버스, 관광버스, 스쿨버스, 학원버스, 셔틀버스로 많이 쓰였고 공공버스로도 많이 쓰였는데, 이동도서관차, 경찰, 법무부, 소방버스로 주로 쓰였고 구급차 모델도 있었지만 카운티처럼 좁은 골목길이 많은 한국 사정에는 안 맞아서 금방 없어졌다. [[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MjAxNzA2MTdfOTkg/MDAxNDk3Njc2NjA0MDgx.Hg2lK1GqD7dwi7Mk0pcfnRsgGvopyaPRe0BGRLa8EOIg.VU3bbWKgV_dAorV7ULKVC7uniqya0VQBbIIn-1lwy74g.JPEG.toto720214/%EC%BD%A4%EB%B9%84_%EC%95%B0%EB%B8%94%EB%9F%B0%EC%8A%A4%EB%B2%84%EC%8A%A4.jpg?type=w2|콤비 구급차 사진]] 2000년식까지는 자체적인 내장재와 스티어링 휠, 대시보드를 채택하고 있었으나(라이노나 트레이드와 비슷하게 생겼다.), 최후기형부터는 내장재 및 운전석 대시보드 등이 카운티와 동일하다. 즉, 이때 생산된 차량들은 껍데기만 콤비이고 실제로는 카운티인 셈이다. [[기아 타이탄|타이탄]] 엔진(3.0 HA 엔진)이 들어간 최초기형과 카운티 엔진이 들어간 최후기형을 제외한 나머지 모델들은 대부분 복사와 같은 4,052cc 6기통 ZB 엔진이었다. 자가용은 코러스가 보기 힘들어진 것에 비하면 의외로 꽤 잔존하고 있다.[* 카운티 엔진을 단 최후기형은 물론이고 후기형 차량도 생각보다 많다.] 반면 영업용은 [[기아 코스모스|코스모스]]에 비해 엄청 빨리 대차됐으며 내구연한을 고려하면 2013년까지 쓸 수 있지만 2009년 이후부터 잔존 개체가 매우 귀했었다. 승차감은 최악이었으며 [[현대 마이티|마이티]] 1세대를 버스형태로 마개조를 한 [[현대 코러스|코러스]]보다도 안 좋다. [[대한민국 공군]]에서도 한때 조종사 출동용 버스와 군사경찰 감호차량으로 운용된 적이 있었다.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활용되었고, 콤비라는 명칭이 어감이 좋아서인지 카운티와 레스타로 대체된 지금까지도 공군 내에서 25인승 버스는 그저 '콤비'라고만 불리며 [[상표의 보통명사화|중형버스의 대명사]]로 통하고 있다.[* 주로 기지 내외 지역으로의 소규모 인원 수송(대체로 20인 이하)이나, 본문에서 언급된 조종사 출동 차량으로 사용된다.] 버스로써는 특이하게 족동식 주차 브레이크[* 기존 페달과 같이 발로 밟아서 작동한다.]가 적용된 모델이다. 단, 이것도 후기형에서 변경된 것으로 초기형은 타이탄과 같은 케이블 레버식이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기아의 차량)] [[분류:기아/생산차량]][[분류:1983년 출시]][[분류:2002년 단종]][[분류:버스 차량]][[분류:대한민국 국군/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