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氣]][[候]][[學]] / Climatology}}} 기후학은 말 그대로 [[기후]]를 다루는 [[학문]]으로, 기후인자, 기후요소 등을 연구한다. === [[기상학]]과의 관계 === [[지구과학]] 중 [[대기과학]]은 [[행성]]의 대기와 대기의 현상을 대상으로 하는 분야로, 크게 기상학과 기후학으로 나뉜다. 기상학과 기후학의 차이는 시간인데, 기상학은 비교적 짧은 시간에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하는 분야로 [[날씨]] 등을 연구한다고 볼 수 있고, 기후학은 일정 주기를 갖는 변화를 연구하는 분야로 계절변화, [[지구온난화]] 등과 관련있다. == 역사와 발달 == ||<-2> 기후학 발달에 기여한 주요 사건 || || 기원전 400년경 || 고대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가 "Airs, Waters, and Places"에서 건강에 대한 기후의 영향을 언급함 || || 기원전 350년경 ||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가 "Meteorologica"에서 날씨 현상을 언급함 || || 기원전 300년경 || 고대 그리스의 테오프라투스가 "On the Signs of Rain, Winds, Storms and Fair Weather"에서 바람에 대해 기술하고 아르스토텔레스의 생각을 비판함 || || 1025년 || 아라비아의 알하산[* 본명 아부 알리 알하산 이븐 알하이 삼(965? ~ 1038?). 아라비아의 수학자ㆍ물리학자ㆍ천문학자로, 눈의 구조를 비교/연구하여 물건이 보인다고 하는 현상을 처음으로 밝혔다. 그가 집필한 「광학서」는 일찍부터 라틴어로 번역되어 유럽 과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이 대기권의 높이를 계산함 || || 1441년 || 조선의 [[세종대왕]]이 측우기를 발명함 || || 1450년 || 쿠사가 천칭온도계를 발명함 || || 1593년 || 이탈리아의 갈릴레이가 온도경을 발명함 || || 1626년 || 이탈리아의 산토리오가 고양이 창자 습도계를 발명함 || || 1644년 || 이탈리아의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토리첼리]]가 수은 기압계를 발명함 || || 1648년 || 프랑스의 파스칼이 기압은 높이에 따라 감소한다는 것을 증명함 || || 1654년 || 독일의 오토 폰 게릭케가 공기의 밀도를 결정함 || || 1661년 || 영국의 보일과 후크가 최초로 기체의 법칙을 발견함 || || 1662년 || 영국의 베이컨이 바람에 대한 중요한 논문을 발표함 || || 1664년 || [[파리(프랑스)|파리]]에서 날씨 관측이 시작됨 || || 1668년 || 영국의 에드먼드 핼리가 무역풍 지도를 제작함 || || 1687년 || 영국의 [[아이작 뉴턴]]이 "프린케피아"를 발표함 || || 1724년 || [[네덜란드 공화국]]의 [[파렌하이트#s-1]]가 [[화씨]] 눈금을 도입함 || || 1735년 || 영국의 해들리가 무역풍과 지구 자전의 효과에 대한 논문을 발표함 || || 1742년 || 스웨덴의 셀시우스가 [[섭씨]] 눈금을 도입함 || || 1751년 || 르 로이가 이슬점과 강수를 정의함 || || 1753년 || 영국의 블랙이 [[이산화 탄소]]를 발견함 || || 1755년 || 영국의 컬렌이 건습구온도계를 발명, 미국의 프랭클린이 뇌우의 전하를 수집함 || || 1780년 || 스위스의 오레스 드 소쉬르가 모발습도계를 발명함[* 그는 그의 30년 동안의 연구 결과인 「알프스 여행기 Voyages dans les Alpes」에서 처음으로 지질학이라는 용어를 학술 용어로 사용하였다]|| || 1802년 || 프랑스의 몽골피에 형제에 의해 최초의 유인 기구 비행이 이루어짐 || || 1817년 || 독일의 알렉산더 폰 훔볼트가 전 세계 연평균 기온을 나타내는 지도를 작성함 || || 1825년 || 아우구스트가 통풍계를 고안함 || || 1826년 || 브랜더스가 기압도를 준비함 || 기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고대 그리스]]에서 히포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고대 그리스의 의학자 [[히포크라테스]]는 기후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룬 {{{#!html "Airs, Waters, and Places"}}}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최초의 대기과학 논문이라 볼 수 있는 {{{#!html "Meteorologica"}}}를 집필하였으며, 총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권에서는 각종 강, 구름, 샘, 이슬, 혜성 등을 기술하였으며, 4원소론을 설명하였다. 제 2권에서는 바다, 번개, 지진, 천둥 등을 설명하였다. 제 3권에서는 허리케인, 소용돌이, 빛 등을 설명하였으며, 제 4권에서는 더움, 추움, 습함, 건조함의 성질에 대해 다루었다. 기상학(Meteorology)의 어원은 그의 저서인 {{{#!html "Meteorologica"}}}에서 나왔다. 테오프라투스는 기상학 논문이자 일기예보 기본서인{{{#!html "On the Signs of Rain, Winds, Storms and Fair Weather"}}}에서 80가지의 비가 올 징후, 40가지의 바람의 징후, 50가지의 폭풍의 징후를 다루었다. 한 예로, 그는 이 논문에서 해가 뜨기 전이나 해가 뜨는 아침에 하늘이 붉어진다면 비가 올 것이라는 것이라고 설명하였고, 이는 과학적인 근거를 갖고 있다. 왜냐하면 공기 중의 습도가 증가하면 하늘이 붉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외의 서술은 과학적 근거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고대 그리스 시대 이후, 유럽에서 대기에 대한 관심은 몇백 년 동안 잊혀졌지만, [[대항해시대]]가 열리며 대기와 기후(특히 유럽 밖)에 대한 지식이 필요해짐에 따라 대기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지게 되었다. 17세기 이후, 관측기기 발달로 인해 기후학은 다시 발달하기 시작하였으며, 18세기에 들어서는 보다 개선된 관측기기와 함께 전신이 발달하며 넓은 지역의 기후 자료를 수집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1441년 측우기가 제작되었으며, 1770년 이후의 강우량 자료가 남아 있다. == [[대기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기권)] * [[대기권#지구 대기권의 구성 물질|대기의 구성 요소]] * 질소 * 산소 * 이산화탄소: 대기가열. 지구복사에너지 흡수. * 수증기: 대기가열. 지구복사에너지 흡수. * 오존: 자외선 흡수 * 에어로졸: 응결핵. 태양복사에너지 흡수 * [[대기권#층상 구조|대기권 구조]] * [[대기권#대류권|대류권]] * [[성층권]] * [[대기권#중간권|중간권]] * [[대기권#열권|열권]] * [[대기권#대기권의 에너지|대기권의 에너지]] * 태양복사에너지 * 지구복사에너지 * 지구의 열수지 == 기후인자 == === 지리적 기후인자 === ==== 위도 ==== ==== 지리적 위치 ==== ==== 수륙분포 ==== ==== 해류 ==== ==== 해발고도 ==== ==== 지형 ==== === 동기후적 인자 === ==== 고기압 ==== ==== 기단 ==== ==== 전선 ==== ==== 저기압 ==== == 기후요소 == === [[대기 대순환]]과 향상풍 === ==== [[대기 대순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기 대순환)] ==== 적도무풍대 ==== ==== [[무역풍|무역풍대]] ==== ==== 아열대 무풍대 ==== ==== [[편서풍|편서풍대]] ==== ==== 지균풍 ==== === 계절풍 === ==== 열대 몬순 ==== ==== 온대 몬순 ==== === 국지풍 === ==== 해륙풍 ==== ==== 푄풍 ==== ==== 건조풍 ==== ==== 산곡풍 ==== ==== 사면하강풍 ==== === 기온 === ==== 기온의 변화 ==== ==== 기온의 분포 ==== === [[비(날씨)|강수]] === ==== 대기의 수분 ==== ==== 대기의 안정도 ==== ==== 유형 ==== ==== 서리와 안개 ==== == 여러 지역의 기후 == === 도시 기후 === ==== [[열섬 현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열섬 현상)] ==== 습도와 강수 ==== ==== 바람 ==== === [[한반도]]의 기후 === ==== 기온의 지역 차 ==== ==== 여름철의 강수 ==== ==== 겨울철의 강설 ==== ==== 바람 ==== === [[쾨펜의 기후 구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쾨펜의 기후 구분)] == 관련 문서 == * [[대기과학]] * [[고기후학]] * [[지구온난화]] * [[OECD/환경지표]] * [[지리학]] [[분류:기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