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긴꼬리흰가오리속]][[분류:독어(어류)]] ||<-2> '''{{{#fff {{{+1 긴꼬리흰가오리}}}[br]Deepwater stingray, Giant stingare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epwater_stingray.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Plesiobatis daviesi'' '''[br]J. H. Wallace, 1967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연골어강]](Chondrichthye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매가오리목(Myliobat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긴꼬리흰가오리과(Plesiobat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긴꼬리흰가오리속(''Plesiobatis'') || [목차] [clearfix] == 개요 == 매가오리목의 긴꼬리흰가오리과/긴꼬리흰가오리속의 모식종이다. == 특징 == 최대 2.7m, 너비 1.5m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수심 275-1680m의 [[대륙사면]]의 퇴적물 위에서 주로 발견되며, [[인도양]]과 [[호주]] 해역에 넓게 분포해 있다.[* 이외에도 [[남중국해]], [[하와이]], [[안다만 제도]]에도 분포한다.] 피부는 이빨 모양의 비늘로 덮여있다. 이미지에 보이는 등 부분은 짙은 갈색이라 왜 흰색 가오리라고 불리는지 의아해할 수 있는데, 이 가오리 같은 경우 다른 가오리들처럼 '''위쪽 색깔이 어둡고 아래쪽 색깔이 흰색인 케이스'''다. 다른 많은 종류의 가오리들처럼 꼬리 끝에는 독침이 있으며, [[난생]]을 통해 번식한다. == 먹이 활동과 천적 == [[보리새우]], [[게]], [[바닷가재]]를 포함한 [[갑각류]], [[두족류]], 장어를 포함한 [[경골어류]]들을 주식으로 삼는다. 천적으로는 [[연지느러미상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