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임권택 감독 장편 연출 작품(1980년 이후 제작))] ||<-5>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width=130]]]] || ||<-5> [[파일:baeksangartsawards4.png|height=100]] || ||<-5> {{{#ffffff '''영화부문 대상'''}}} || || 제21회[br]([[1985년]]) || {{{+1 →}}} || '''제22회[br]([[1986년]])''' || {{{+1 →}}} || 제23회[br]([[1987년]]) || || [[깊고 푸른 밤]] || {{{+1 →}}} ||<#ffffff,#191919> '''길소뜸''' || {{{+1 →}}} || [[달빛 사냥꾼]] || ||<-5> {{{#ffffff '''영화부문 작품상'''}}} || || 제21회[br]([[1985년]]) || {{{+1 →}}} || '''제22회[br]([[1986년]])''' || {{{+1 →}}} || 제23회[br]([[1987년]]) || || [[깊고 푸른 밤]] || {{{+1 →}}} ||<#ffffff,#191919> '''길소뜸''' || {{{+1 →}}} || [[달빛 사냥꾼]] || ||<-5> || ||<-2> {{{+1 '''길소뜸'''}}} (1986)[br]''Gilsodom''[* 영문명을 보고 이해하지 못 할 수 있겠지만, 해외 영화제에 출품했을 당시 현지인들이 뜸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 할까봐 돔이나 덤으로 발음하도록 배려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 위키백과|영어판 위키백과]]와 [[IMDb|IMDB]]에서는 'Gilsoddeum'으로 표기하고 있다([[https://en.m.wikipedia.org/wiki/Gilsoddeum|영어 위키백과]], [[https://m.imdb.com/title/tt0089205/|IMDB]]).]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길소뜸 포스터.jpg|width=100%]]}}} || || '''감독''' || [[임권택]] || || '''각본''' || 송길한 || || '''기획''' || 김재웅 || || '''제작''' || 박종찬 || || '''주연''' || [[김지미]], [[신성일]], [[한지일]] || || '''촬영''' || 정일성 || || '''조명''' || 강광호 || || '''편집''' || 박순덕 || || '''음악''' || 김정길 || || '''미술''' || 김유준 || || '''제작사''' || ㈜화천공사 || || '''개봉일''' || [[1986년]] [[4월 5일]] || || '''개봉관''' || [[대한극장]] || || '''관람인원''' || 104,796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회적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KBS 1TV]]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를 소재로 한 [[임권택]] 감독의 1986년 개봉 영화. 흔히 예상하는 바와 달리 이 영화는 가족 상봉의 기쁨이나 감동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그들은 만나서 정말 행복했을까"라는 다른 질문을 던진다. 30년이라는 세월의 간극은 그들을 하루아침에 한 가족으로 묶을 수 없으며 그들이 살아온 삶과 생활이 더 중요하다는 인식을 심어준다. 군더더기를 제거하고 감정을 절제하면서 냉정하게 현실을 직시하고 인정하는 리얼리즘 영화의 면모를 보인다. == 출연진 == * [[김지미]] - 민화영 역 * [[신성일]] - 김동진 역 * [[한지일]] - 맹석철 역 * [[이상아]] - 어린 민화영 역 * [[김정팔]] - 어린 김동진 역 * [[오미연]] - 김동진의 아내 역 * [[김지영(1938)|김지영]] - 맹석철의 아내 역 * [[전무송]] (특별출연) - 민화영의 남편 역 * [[최불암]] (특별출연) - 의사 역 == 줄거리 == [[이산가족찾기]]가 한창인 1983년 여름, 화목하고 부유한 가족을 꾸려나가던 화영([[김지미]])은 남편([[전무송]])의 권유로 방송국에 아들을 찾으러 가다가 회상에 젖는다. 화영은 해방과 함께 [[황해도]]의 작은 마을 길소뜸으로 이사를 가서 고아([[이상아]]-어린 화영)가 되고, 아버지 친구 김병도와 함께 살다가 자신을 따뜻하게 감싸주는 김 씨의 아들 동진([[김정팔]]-어린 동진)과 사랑하게 된다. 비 오던 날 둘은 사랑을 나누고 화영은 아이를 낳지만, [[한국전쟁]]이 일어나고 운명이 서로 엇갈리며 만날 수 없게 된다. 화영은 우연히 여의도 만남의 광장에서 아들을 찾다가, 자신의 목숨을 구해준 사람의 딸([[오미연]])과 결혼하고서도 가족을 버려두다시피 하고 화영을 기다리며 살아온 동진([[신성일]])을 만나게 된다. 둘은 자신의 부모를 찾고 있던 석철([[한지일]])을 만나고 그가 자신들의 아들임을 감지한다. 화영과 동진은 석철을 찾아가지만 화영은 바닥 인생을 살아온 석철의 무례한 행동에 이질감을 느낀다. 석철의 흉터와 유전자 친자 확인으로 석철이 아들임이 거의 확실해지지만, 화영은 완전한 확증이 아니라면 믿지 못하겠다며 이를 거부하고 돌아선다. 화영이 준 남편의 명함을 쓰레기통에 버리며 동진 역시 힘없이 돌아선다. 차를 타고 달리던 화영은 잠시 멈춰 서서 눈물을 흘리지만 다시 제 갈 길로 떠난다. == 수상 == * 1985년 제24회 [[대종상]] 여우주연상([[김지미]]) · 음악상(김정길) · 미술상(김유준) * 1986년 * 제22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대상 · 작품상 · 시나리오상(송길한) * 제6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감독상([[임권택]]) · 각본상(송길한) · 음악상(김정길) == 기타 == * KBS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방영시 영화화를 염두에 두고 여의도에 가서 실제 만남의 장면의 촬영해 두었다가 사용함으로써 사실감을 살렸다. * 배우 이상아는 당시 중2였는데 임권택 감독이 대본도 안 주고 연기를 시키다가, 필요한 시점이 되자 '''전라 [[베드신]] 안 찍으면 찍은 장면 다 물어내야 된다'''라고 협박하여 '''[[미성년자]] [[베드신]] 및 [[누드]] [[노출]]씬을 찍었다.'''[[https://youtu.be/JUPNJVL26sc|#]][* 단, 영화에선 뒷모습만 노출되었다.] 당시 사회적 성적 인권 인식이 얼마나 처참했었는지를 보여주는 한 사례. 21세기인 지금 이랬다간 [[성범죄]]로써 [[교도소]]행이다. * 1984년 [[영화진흥위원회|영화진흥공사]]의 통일을 염원하는 극영화 소재 공모에 당선된 배철의 〈길소뜸 이야기〉에 바탕을 두고 있다. * [[김지미]]의 어린 시절을 연기한 [[이상아]]는 당시 김지미와 꼭 닮은 외모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외모 뿐 아니라 허스키한 목소리와 왼손잡이인 것까지 닮았다고. 지금도 종종 닮은꼴 배우로 언급되곤 한다. [[분류:한국 영화]][[분류:1986년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백상예술대상 작품상 수상작]][[분류:백상예술대상 대상 수상자]][[분류:임권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