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서울특별시 성북구의 중학교)] ----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혁신중학교)] ---- ||<-2> '''{{{#white {{{+1 길음중학교}}}[br]吉音中學校[br]Gireum Middle School}}}''' || ||<-2> [[파일:rlfdmawnd.jpg]] || ||<-2> {{{#3db7cc '''배움(Learning)'''}}} {{{#3db7cc '''행복(Happiness)'''}}} {{{#3db7cc '''성장(Growth)'''}}} || ||<-2> [include(틀:지도, 장소=길음중학교, 너비=100%, 높이=100%)] || || {{{#black '''개교'''}}} || [[2012년]] || || {{{#black '''유형'''}}} || [[일반계]] [[중학교]] || || {{{#black '''성별'''}}} || [[남녀공학]] || || {{{#black '''운영형태'''}}} || [[공립]] || || {{{#black '''교장'''}}} || 최정례 || || {{{#black '''교훈'''}}} || 배움, 행복, 성장 || || {{{#black '''교화'''}}} || [[민들레]] || || {{{#black '''교목'''}}} || [[느티나무]] || || {{{#black '''학생 수'''}}} || 902명[br](2023년 03월) || || {{{#black '''교원 수'''}}} || 62명[br](2023년 03월) || || {{{#black '''관할 교육지원청'''}}} || [[서울특별시성북강북교육지원청]] || || {{{#black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로 144 || || {{{#black '''홈페이지'''}}} || [[http://gireum.sen.m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우리는 서로가 꽃이고 기도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로 144에 위치한 단설 공립 [[중학교]]이자 서울형 [[혁신학교]], 마을결합형 학교. 2023년 기준 전교생 902명 규모의 학교이며, 1학년 10학급, 2학년 10학급, 3학년 10학급, 통합 지원반 1학급으로 이루어져 있다. == 학교 연혁 == |||| {{{+3 {{{#fff '''길음중학교의 연혁'''}}}}}} |||| ||{{{#fff '''날짜'''}}}||{{{#fff '''연혁 개요'''}}} || ||2012년 01월 05일||길음중학교 설립인가|| ||2012년 03월 01일||서울시특별시교육청 [[혁신학교]] 지정|| ||2012년 03월 01일||초대 남상옥 교장 취임|| ||2012년 03월 02일||제1회 입학식|| ||2013년 02월 28일||본관 리모델링 완공|| ||2013년 03월 04일||제2회 입학식|| ||2013년 12월 30일||창의적 체험활동부문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14년 02월 10일||신관준공|| ||2014년 03월 03일||제3회 입학식|| ||2014년 12월 31일||인권 친화적 학교만들기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5년 02월 05일||제1회 졸업식|| ||2015년 03월 02일||제4회 입학식|| ||2015년 09월 01일||제2대 이두희 교장 취임|| ||2015년 12월 30일||진로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6년 02월 05일||제2회 졸업식|| ||2016년 03월 01일||제2기 서율형 혁식학교 재지정|| ||2016년 03월 02일||제5회 입학식|| ||2016년 12월 31일||자유학기제 운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6년 12월 31일||전통식 문화 계승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6년 12월 31일||체육활동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17년 02월 03일||제3회 졸업식|| ||2017년 03월 02일||제6회 입학식|| ||2017년 03월 02일||학부모 학교 참여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7년 03월 02일||학교체육활동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8년 02월 07일||제4회 졸업식|| ||2018년 03월 02일||제7회 입학식|| ||2018년 11월 10일||에코스쿨 완공|| ||2018년 12월 31일||정보교육활성화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19년 02월 01일||제5회 졸업식|| ||2019년 03월 04일||제8회 입학식|| ||2019년 09월 01일||제3대 박명길 교장 취임|| ||2019년 12월 31일||과정중심평가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9년 12월 31일||기초학력향상사업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20년 02월 05일||제6회 졸업식|| ||2020년 04월 16일||제9회 입학식|| ||2020년 03월 01일||전승종 교장 부임|| ||2020년 12월 31일||정보교육활성화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21년 02월 04일||제7회 졸업식|| ||2021년 03월 02일||제10회 입학식|| ||2021년 09월 01일||제4대 최정례 교장 취임|| ||2022년 12월 31일||과학,정보화,메이커,인공지능(AI)교육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교훈 및 상징 == [[파일:길음중학교상징.png]] === 교표 === 교명의 '길음'을 모티브로 한 디자인. 단어를 구성하는 글자를 모두 떨어뜨려 놓은 것은 배움을 통해 한 단계 한 단계 성장해 나가는 학생들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또 교화인 민들레가 디자인에 반영되었다. === 교목 === 느티나무. 마을 어귀에 심겨 지역 주민들에게 그늘을 제공해 주는 느티나무처럼, 길음중학교가 학생들의 편안한 쉼터가 되기를 바라는 의미이다. === 교화 === 민들레. 꽃말이 '감사하는 마음'으로, 학생들 사이에 서로 배움을 통해 성장하게 됨을 감사하는 마음이 생겨나기를 바라는 의미이다. === 교가 === > 오늘도 행복한 세상을 위해 > 큰뜻을 펼쳐가는 배움의 큰 터전 > 너와나 [[삼각산]]처럼 하늘을 우러르며 > 아름드리 [[느티나무]]로 푸르게 자라자~ > 언제나 밝고 환한 우리의 모교 > 길이길이 이름 빛내자 [[길음중학교]] 개교 초기에 교가를 제작해야 하는 상황이 오자, 힙합 가수 [[케이준(래퍼)|케이준]]에게 작곡과 작사를 맡겼다. > 내가 [[길음중학교]] 스웨거 > 선생님 말씀에 매번 > 내 왼손엔 펜, 오른손엔 책 > 에브리데이 아임 스터딩 (예) > 짧은 치마 불량한 말 [[흡연]]하고 뭐 이런 것 다 이곳에서 다 불가능해 > 왜냐면 우리가 여기 빅 보스 이곡을 [[교가]]로 쓸 수는 없다는 교사들의 판단 아래, 교가는 완전히 다른 곡으로 교체되었다. 다만 이 곡은 비록 [[https://twitter.com/gettheride/status/253423046231199744|길음중 교가로는 쓰이지 못했지만,]] 다른 학교에서도 쓸 수 있도록 가사가 약간 바뀌어 [[https://www.youtube.com/watch?v=QIDg7ByTMlI&feature=youtu.be&a|유튜브에 업로드되었다.]] 현재 길음중의 교가는 일반, 댄스--(그놈의 힙합)--, 발라드 세 가지 버전으로 나뉘어 있다. === 혁신미래교육 비전&목표 === * '''교육 목표''': 미래역량과 참된 인성으로 자주적, 협력적 삶을 가꾸는 글로컬 인재 육성 * '''핵심 가치''': 긍정의 힘, 창의와 도전, 자율과 책임, 소통과 협력, 예의와 품격 * '''비전''': 배움, 행복, 성장이 있는 따뜻하고 조화로운 혁신 미래 교육 공동체 * '''미션''': 모두 함께 더불어숲을 이루어, 마을로! 세계로! 미래로! == 학교 시설 == === 본관[* 예전 길음초등학교 건물이었다.] === * G층: 남자화장실[* 샤워실과 비데가 있다. 비데는 이곳과 1층 남자 화장실에만 있다], 음악실1, 당직실, 과학실1, 과학실2, 과학 준비실, 기계실[* 보일러 시설이 있다.], 상담실, 매점[* 2018년에 위치가 바뀜], 기계준비실[* 사무실 같이 되어있다.] * 1층: 문서고, 열린행정실, 교장실, 방송실, 교무센터, 주차장 ,통합 지원실, 보건실, 신체 활동실, 체육 기구 보관실[* 신체 활동실과 연결되어있다.] * 2층: 2학년 교실[*2019], 2학년 교무 센터[*2019] * 3층: 3학년 교실[*2019], 3학년 교무센터[*2019], 교사 연구실 * 4층: 밴드부 교실[* 방음이 1도 되지 않는다. 사용시 문을 꼭 닫도록 하자.][* 2019년 기준 부스형 노래방이 있다.] === 신관 === * 1층: 시청각실, 비품실[* 이름이 없지만 들어가보면 의자와 책상이 있다.] * 2층: 1학년 교실[*2019], 교육과정 연구실[* 작은 행정실이다.], 소회의실, 학부모 회의실, 길나랑 책방, 급식실, 세면대[* 2019년 기준 물이 나오지 않는다.], 자율회의실[* 학생회가 아닌 학생도 사용 가능하다는 점이 회의실과 차이점이다.] ,남자 탈의실 * 3층: 1학년 교실[*2019], 체육관, 여자 탈의실, 학생회실, 동아리실, 정보실, 기술실2, 교사 연구실 * 4층: 1학년 교실[*2019], 미술실2, 음악실2, 하늘 공원[* 원래는 가끔 열어뒀었지만 2019년도 학생회장 공약에 따라 항상 열어 놓기로 했다. 문도 자동문으로 바뀌었다!], 1학년 교무센터 -- 5층: 예전 설계도에 남아있지만 주변 아파트 일조권 문제로 취소되었다.-- ==== 급식실 ==== * 신관 2층에 위치해있다. * 암묵적으로 남학생은 급식실 문 기준 왼쪽, 여학생은 오른쪽에 줄을 선다. 이로인해 남학생은 왼쪽과 중앙 식탁을 사용하고 여학생은 오른쪽과 안쪽 식탁을 사용한다. * 식탁 의자가 일반적인 의자가 아닌 식탁 일체형 의자로 손으로 의자를 빼서 잽싸게 앉아야한다. [* [[파일:992E414D5C2663F703.jpg]]] * 급식실 문 앞 길한 소리홀 이라는 공간에 피아노가 배치되어있다. ==== 체육관 ==== * 신관 3층에 위치해있다. * 이용시간에 대해서는 각 교시 쉬는 시간마다 누구든 이용 가능하지만 G리그 기간 점심시간이나 농구부 사용중에는 출입이 금지된다. * 체육관 안쪽에 들어가면 샤워실이 있다.[* 2019년 기준 농구부 말고 이용을 안 해서 문을 닫아놓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외부 주차장에서 보이는 계단과 체육관 안쪽 샤워실 옆 문과 연결되어있고[* 체육 매트 등이 보관되어있다.] 계단을 더 올라가면 체육관 관람석과 연결되어있다. === 외부 === * 운동장: 현재 새롭게 플라스틱 축구 라인을 설치했으며 대형 골대가 다시 흰색 페인트로 칠해졌다. 타 학교에 비해 운동장 크기가 협소하며 정사각형에 가깝다. * 쓰레기장: 매주 화요일마다 열린다. * 배드민턴장: 스포츠클럽 시간에 배드민턴부가 사용한다. * 농구장: 농구골대가 희한하게 3개이며 농구공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스포츠클럽 시간에 족구부가 사용한다. * 신관 화단[* 본관 창문에서 신관 바라볼 때 보이는 곳]: 교문이 존재하는데 나갈 수 없도록 잠겨있고 CCTV가 설치되어 있다. 키우고 있는 배추와 쉴 수 있는 파라솔들이 있다. * 본관 화단[* 학교 후문]: 2018년도 9월 기준으로 농작물들이 사라지고 화단만 존재한다. * 매점 앞: 파라솔들이 여러개 설치되어 있고 비를 피하기 위해 대형 판이 위에 설치됐지만 현재는 매점이 폐쇄되고 코로나19 감염 방지 교문으로 활용되는 중이다. * 신관 본관 사이: 학생들이 점심시간마다 피구를 하고 계단 옆에 탁구대가 있다. * 전 매점: 예전에 매점이 있었던 장소로 컨테이너[* 컨테이너보다는 좋아보인다.]로 되어있지만 현재는 매점 상품 보관소. === 기타 시설 === * [[교실]]은 일반 교실 26실, 교과 교실 1실, 특별 교실 10실에 수준별 교실 1실. 또한 시청각실, 컴퓨터실 등이 있다. * [[보건실]]은 1실, 화장실은 남녀 모두 합하여 20실이다.[* 본관 2층 남자 화장실만 탈의실이 있다.] * [[도서관]]은 길나랑 책방[* 학생 대상 공모를 통하여 정해진 이름이다.] 이라 불린다. 13000여권의 도서가 비치되었으며 자료 검색용 컴퓨터 2대가 있다. 또 열독자들을 위한 [[소파]]와 휴식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2015년 9월 전까지만 해도 거의 아무것도 없는 도서관이었으나 2015년 9월 이후부터 엄청나게 좋아졌다. * 2017년 9월 전 매점 근처에서[* 신관과 본관 사이] [[승강기]] 공사가 진행되어 소음이 발생하였다. 현재는 완공되었다. * [[운동장]]에는 [[축구]] 골대 4개, 야외 농구장이 있다. * 급식실에서 주차장으로 내려오는 계단 옆쪽을 보면 좁은 통로가 있는데 쭉 들어가면 꽤 널찍한 공간이 나온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많이 알려진 [[흡연구역]].[* 피우면 냄새가 급식실까지 난다.--바로 교감이 찾아온다--] 쭉 들어가면 본관 1층 창문과 연결되어있다. * 매점은 본관 입구쪽에 있다. -- [[협동조합]] 형태로 운영된다. * 2018년 4월 현재 본관 4층 밴드부실에 [[코인 노래방]]이 생겼다. * 학교에서 정보 관련된 분야를 대폭 지원하고 있어서 현재 정보실에는 [[신도리코]] [[3D 프린터]] 3대가 구비되어 있으며 [[VR]] 기기도 30대 이상이 있다. * 사물함이 알록달록해서 보기 좋다. 자주 열고닫을 시 뻑뻑해져 안 열릴 때가 있다. * 신관에 외부에서만 보이는 계단이 있는데[* 외부 주차장에서 보이는 계단] 문이 잠겨있어서 사용이 불가능하다. 지하주차장, 체육관, 체육관 관람석, 신관 부분 옥상과[* 신관 4층 계단에서 더 올라가면 있는 태양광 패널이 존재하는 옥상과 떨어져있다.] 연결되어있다. * 2019년 겨울방학에 컴퓨터실 컴퓨터를 교체한다. * 2020년 1월부터 외부 주차장을 없애고 본관 증축공사를 하였다. 2022년 기준 완공되었다. == 학교 생활 == === 교칙 === * 사복 금지[* 사복 티를 입고 체육복 동복을 입는 것과 체육복에 후드티까지 풀세트로 입고 그위에 사복을 입는 것은 가능하다.] * 등교시 슬리퍼 금지[* 학교 내부에서는 가능하다.] * --학교 내에서는 매점에서 구매한 음식을 먹는것이 금지됐다.[* 그러나 2019년, 많은 학생들이 그냥 교내로 들고오는것을 보면 이 규칙은 없어진듯 하다.]-- 현재는 매점 자체가 없어져서 불명이다. === 학생 활동 === * '17년 5월 현재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45개, 자율 동아리 41개가 존재한다. ==== 스포츠 클럽 ==== 각 학년들이 매주 화요일마다 1교시는 1학년, 2교시는 2학년, 3교시는 3학년으로 이루어진 스포츠 활동이다. 자신이 하고싶은 스포츠 활동을 결정해서 1학기 동안 하는 형식이다. 현재 존재하는 스포츠 클럽 부서는 배드민턴, 태그럭비, 축구, 족구, 농구, 요가, 방송댄스이다. === 주요 행사 === ==== G리그 ==== 1학기에는 [[농구]]와 [[축구]] 2학기에는 [[탁구]]로 이루어지며 각 학년의 학급끼리의 [[스포츠]] 리그전이다. 종목은 축구,농구와 탁구. 고학년들이 점거한 [[운동장]]을 저학년들에게도 사용할 기회를 주자는 취지에서 출발했다는 [[카더라]]가 있다. 1등을 하면 반 전체에 과자세트를 준다[* 요즘엔 현금으로 10만원 가량 준다.]. ==== 길나랑 축제 ==== 10월 정도에 개최되는 명실상부 길음중학교 최대의 축제. 각종 동아리가 1년 동안 낸 실적을 자랑하고, 축제에 참가하는 동아리는 학교에서 10만원의 준비예산을 준다[* 자율동아리도 물론 준다.]. 학생들은 자신의 특기를 살려 [[아 장사하자|장사(...)를 하며]], 예술 활동 발표회 등도 펼쳐진다. 2017년까지만 해도 이틀에 걸쳐서 첫날은 외부 공연장을 대여해서 전교생이 다같이 학생들의 공연을 볼 수 있었지만 지금은 예산상의 문제로 학교에서 공연만 한다. ==== 뮤지컬 ==== 보통 학기 마지막에 열리는 행사로 2학년만 나온다. 각반마다 주제를 정해서 2학기 동안 뮤지컬을 준비한다. 해당 축제는 꽤 큰 편으로 행사를 준비할 때 외부 강사부터 시작해서 한 대에 대여료만 수백만원인 음향, 조명 기기를 준비한다. === 기타 현황 === * '17년 5월 현재 여학생 400명(50.6%), 남학생 390명(49.4%)으로 [[여초|여학생이 남학생보다 10명 더 많다.]] 참고로 전국 평균은 남학생 52.1%, 여학생 47.9%. * 2019년 10월 기준으로 전국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자사고]] 합격자는 1회에서 3회 졸업생 기준으로 [[상산고등학교]] 5명, [[하나고등학교]] 6명, [[민족사관고등학교]] 1명을 배출했고 [[영재학교]], [[과학고등학교|과학고]], [[특수목적고등학교|특목고]], 광역자사고, [[마이스터고등학교|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등학교|특성화고]] 합격자들을 여럿 배출했다. == 출신 인물 == * [[지성(NCT)|지성]][*중퇴] - [[SM엔터테인먼트]] 소속 보이그룹 [[NCT]]의 멤버. 현재로서는 가장 유명한 동문이었지만, 중퇴 후 [[검정고시]]를 응시하였다. *김민결:원래 [[동작구]] [[사당동]] 출생이였으나 수[[]]유동에 잠시 살다 길음초등학교에 전학을 하였고 길음초-길음중 루트를 타고 있다. *류래언:원래 성북구 돈암동 출생이고 초등학교는 돈암초등학교를 나와서 영훈초등학교로 전학을 하였고 2023년까지 길음중학교를 재학중이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서울 버스 성북08]], [[서울 버스 성북09]]를 타면 학교 앞까지 갈 수 있다. * [[서울 버스 121]]을 타고 미아초교 정류장에서 내린 뒤 [[미아초등학교]] 반대편으로 걸어나간다. * [[서울 버스 109]], [[서울 버스 104]], [[서울 버스 152]], [[서울 버스 1115]]를 이용할 수도 있다. === 철도 === * [[서울 지하철 4호선]] [[길음역]]에서 하차한 뒤, [[서울 버스 성북08|성북08번]]이나 [[서울 버스 성북09|성북09번]] 마을버스를 타고 종점인 [[신안아파트]] 정류장에서 내려 오르막길을 따라 올라간다. == 기타 == * 댄스스포츠에 관한 교육이 활발하다. * '길나랑'을 [[학교]] 브랜드로 밀고 있는 듯하다. * [[교복]]이 2019년 기준으로 사라졌다! 19학년도 신입생들은 [[생활복]]이나 [[체육복]]이 교복이다. 과거에는 교복 조끼가 민트색이고 자켓은 갈색이었다. 호불호가 갈리는 디자인이라서 학생들은 대부분 체육복을 입고 등하교했었다. 예전엔 [[사복]] 혼복해도 거의 안 잡았는데 요즘은 사복 규제가 심해졌다. [[벌점]]이 누적되면 주말에 교장과 등산을 해야 한다. * [[혁신학교]]라 두발, 복장 규정이 거의 없다. 화장 또한 자유이다. * 창문 유리가 상당히 약한 편이다. 장난으로도 치지 말자. 조그만 돌이나 강도가 센 휴대폰으로 톡톡 두드리면 금이 가는 걸 볼 수 있다. * 기술실 또는 실습실이라 불리는 교실에는 비품실 같이 조그맣게 딸린 방이 하나 있다. 방에 있는 냉장고 안에는 [[쿨피스]]와 같은 음료부터 가끔 [[아이스크림]]이 들어있을 때도 있다.[* 요리부 교실로도 활용되기 때문에 먹을 게 상당히 많은편이다] 음식이 아닌 걸로는 [[부탄가스]], 글루건, 커터칼 등 실용적인 물건들을 습득할 수 있다. * 본관 2층 문서고 옆에 있는 교무실은 학생부가 압류한 물품들[* [[물총]], [[뿅망치]]에서부터 운 좋으면 [[비비탄총]]까지!!]이 쌓여 있다. * 혹시 주말에 반에 볼일이 있다면 [[학생증]]과 함께 교무센터로 찾아가면 비상키를 지급받을 수 있다. * 4회 졸업생까지는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모두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치렀다. * 학교 내의 야영 및 숙식은 원래 2015년 말까지 가능했으나 인접한 아파트 주민의 민원으로 인해서 지금은 당일야영 이외에는 불가능하다. * 2018년 4회 졸업식 때 스피커 고장으로 인해서 졸업생들이 졸업식 공연을 관람하고 즐기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 운동장 옆의 농구장은 2017년부터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 가끔 야외 농구장에서 족구를 하거나 기타 다른 공놀이를 할때 공을 잘못차면 길음초로 넘어가는 경우가 있다. * 2018년도까지는 3학년 수학여행이 각 반별로 가는곳을 정하고 호텔과 관광지 등을 직접 정하는 형식이었다. 2019년도 부터는 3개 반별로 묶어서 갔고 교관도 생겼다. * 점심 시간마다 신청곡이나 방송부가 고른 음악 플레이리스트를 틀어주었다. * 학교 후문 쪽 등교길이 상당한 경사를 자랑한다. [* 마을버스조차 힘겹게 올라가고 겨울철에는 미끄러지기도 한다.] * 개교 당시 교복을 아직 정하지 못해 전교생이 사복으로 등교했었다.[* 2019년에는 사복입는 날이 주에 한 번 따로있었다.] * 체육복 색깔은 하늘색, 주황색, 형광색 순으로 새로 들어온 학년마다 졸업생 색깔을 물려받는다. * 2017년도 이전 입학생은 생활복 반팔 색깔이 짙은 청색이 아닌 하늘색 계열의 반팔티였다. * [[디시인사이드]] [[https://gall.dcinside.com/mini/board/lists/?id=gireum|길음중 갤러리]]와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EA%B8%B8%EC%9D%8C%EC%A4%91-%EB%8C%80%EC%8B%A0-%EC%A0%84%ED%95%B4%EB%93%9C%EB%A6%BD%EB%8B%88%EB%8B%A4-1123689594440709/|길대전 페이스북 페이지]]가 있다. [[분류:성북구의 중학교]][[분류:2012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서울형혁신학교]][[분류:길음뉴타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