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아카라이브/채널/취미·생활]] [include(틀:아카라이브)] ||<-2>
'''{{{+1 길잃은 자들을 위한 채널}}}''' || || '''개설일''' || [[2021년]] [[1월 1일]] || || '''주요주제''' || [[잡담]] 및 [[상담]] || || '''국장''' || 에로채널주딱 || || '''링크''' || [[https://arca.live/b/lostroad]] || [목차] == 개요 == [[아카라이브]]의 [[채널]]. 준말은 길챈 또는 길자챈. == 상세 == [[회의주의|개인의 사상]]으로 인한 사회에 대한 극심한 비관이나 대인관계의 어려움으로 인한 [[사회부적응자|부적응]], [[가정폭력]]이나 [[데이트 폭력]]과 같은 폭행 문제, 신체의 [[콤플렉스]], 구직이나 실직으로 인한 경제 문제, [[우울증]]과 같은 [[정신병]] 및 그로 인한 [[약물]] 복용, [[자해]]나 [[자살]] 사고 등으로 고통받고 도움을 구하러 온 이들에게 상담과 위로를 해주는 채널이다. 초창기 [[우울증 갤러리]]와 차이점이라면 삶의 고통을 토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장을 위시로 한 일부 ~~그나마 정신줄을 잡고 있는 마지막 용사들~~챈러들이 방문자들에게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챈 공지에는 내담에 관한 학계 논문들이 첨부되어 있으며 아무리 힘든 상황에 처해있거나 정신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내담자라도 차별없이 도움을 주려 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약물에 대한 조언(복용 후 부작용이나 효과 등)의 경우 의료기관에서 처방하는 종류는 한정되어 있어 크게 도움이 된다. 단, 거의 모든 종류의 고민 토로를 수용해주지만 [[혐오 발언|혐오 워딩]]에 관한 것 만큼은 일정 수위 이상일시 경고 조치 후 삭제 된다. 국내에서 [[익명]]으로 운영되는 정신병·우울증 관련 남초 커뮤니티로는 사실상 유일하게 생존한 곳이다. [[스레딕]] 같은 더 오래된 기성 커뮤니티들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은 전부 여초 커뮤니티이며 상기한 우울증 갤러리의 경우 본래의 기능을 잃고 남녀성비도 반반이 된지 오래이다. 이외로는 [[오픈카톡방]]이나 [[텔레그램]] 같이 메신저앱을 중심으로 점조직화된 소규모 커뮤니티가 전부라 길챈은 독자적인 지위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굉장히 폭넓은 주제를 제한없이 총망라하는 커뮤니티였으나 2023년 [[디시인사이드 우울증 갤러리 여고생 추락사 사건]] 발발 이후로는 같은 카테고리에 속하는 커뮤니티로서 국내 언론의 조명, 울갤러의 유입을 방비하기 위해 규정이 강화되는 추세다. 자살은 물론이고 자해 관련 게시물도 빡빡하게 규제되기 시작했으며, 타커뮤니티 언급도 자제하는 분위기가 됐다. == 기타 == * 본래는 정말 아카라이브에서 길을 잃어버린(...) 챈러들이 뻘글을 올리는 자유게시판인 동시에 포인트 탕진자들을 위한 채굴 채널로 사용되었다. 뻘글이 지나쳐 제재가 가해진 이후 자유 게시판 채널이 개설되면서 순수한 잡담만을 원하는 사람들은 자유게시판 채널로 옮기고, 길자챈은 상담 채널로서의 성격이 자리잡혔다. * [[맞춤법]]상으로는 '길 잃은 자들을 위한 채널'이라고 적어야 맞지만 채널을 개설한 후부터 오늘날까지 '길잃은'이라는 이름을 고수하고 있다. [[길잃은 바이킹 마이너 갤러리]]와 같은 경우인데, 이유는 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