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김구라)] [목차] [clearfix] == 개요 == [[김구라]]의 출연 작품을 정리하는 문서이다. == 출연 작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구라/라디오 스타(황금어장))] [include(틀:라디오 스타(황금어장) 멤버)] [include(틀:썰전)] 몸값이 낮았던 시절에는 그야말로 온갖 방송에 다 출연해 TV를 틀면 나오는 수준이었고, 몸값이 오른 후 자잘한 프로그램을 정리하고 [[지상파]]와 [[종편]] 위주로 나옴에도 여전히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중이다. [[신동엽]], [[전현무]]와 함께 [[예능]]계 대표적인 다작 왕으로 손꼽힌다. 또한 거의 대부분은 금요일 다작 왕인셈.. '''"MBC [[세바퀴]][* 토요일 → 금요일], SBS [[절친노트]], MBC 사남일녀, MBC 발칙한동거 빈방있음, tvN [[공조7]][* 일요일 → 금요일], tvN [[대화가 필요한 개냥]][* 1회때부터는 금요일이었다.], MBC [[선을 넘는 녀석들]], MBN 미식클럽, MBC [[토크 노마드 - 아낌없이 주도록]]'''".. 아무리 적게 해도 최소 7개 8개는 기본이고 아주 많을 경우 고정프로가 11개를 넘나드는 활동을 한다.[* 진행하던 방송이 종영되어서 고정프로가 몇개 줄어든다 싶으면 다시 새로운 프로그램에 섭외를 받거나 론칭하여 다시 10개에 가까운 고정프로로 스케줄을 채운다. 여러 MC나 예능 스타들이 아무리 재능이 있어도 그 능력이 이어지지 않는다면 한번 주목 받은 후에도 예능 섭외가 한철로 끝나거나 바로 끊기는 걸 감안하면 몸값이 높음에도 꾸준하게 다작을 이어갈 수 있는 것은 그만큼 예능시장에서 김구라의 능력이 크게 인정받고 있다는 것이다.--17억 빚을 1년만에 갚을만하네--] 오죽하면 대정리 드립까지 나올 정도. 이런 비슷한 스타일의 MC인[* 다만 김구라는 프로그램에 전현무보다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위치이며, 자신의 프로그램에 출연했던 전문가 패널 및 예능인들과의 관계를 인맥화 시켜 다른 프로그램에 패널로 초대한다는 점이 다르다. [[https://www.youtube.com/watch?v=J3Y6twX1HMQ|뜨거운 형제들 당시 전문가 패널이었던 박상희 심리분석가]]는 이후 마리텔에서의 김구라 채널에 다시금 등장하기도 하였으며, 역시 MC를 맡고 있는 SBS의 한밤 연예프로에서는 MBC 마리텔 에이핑크 김남주 채널에 출연하였던 풍차교수(?) 김현아 교수가 출연하기도 하였다. 이 외에도 자신이 MC로 있는 프로그램에서 두각을 보인 연예인 게스트를 자신의 다른 프로그램에 추천하여 출연시켜 주기도 한다. [[강성태]], [[김기두]], [[차오루]] 등등이 대표적이다][* 최근엔 아예 이런 부분을 강화해 SBS [[본격연예 한밤]]에 가능성이 있지만 알려지지 않은 연예인을 추천하고 그에 대한 인터뷰를 하는 '''김구라의 초이스'''라는 코너를 런칭하기도 했다.]전현무와 김구라의 차이는, [[전현무]]는 정말로 프로그램 자체에 욕심이 있어서 되는 대로 하는 거고, 김구라는 특별한 욕심 없어도 섭외가 들어오면 받아들이고 런칭하는 것이다. 말 그대로 김구라는 [[본인]]이 런칭하기에 수준 높은 방송을 구사하는 것이다. 런칭한 프로그램 중에 대표적인 것은 <[[복면가왕]]>, <[[마이 리틀 텔레비전]]>, <[[궁금한 스타쇼 호박씨]]>, <[[능력자들]]> 등이 있다. ~~근데 호사가 [[연예인]]의 거의 유일한 [[케이스]]기 때문에 과연 욕심이 없기나 할까...?~~ 어쨋든 프로그램마다 전부 메인 MC나 비중이 높은 MC급 패널을 맡는다. ~~[[페르마의 대정리|일일이 정리하려면 끝이 없다]]!~~ * 현재 출연 중인 프로그램은 '''[[볼드|굵은 글씨]]'''로 표시한다. === 고정 출연 ===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황금어장(MBC)|황금어장]]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 (2007년 5월 30일 ~ 2012년 5월 9일, 2013년 6월 12일 ~ )(복귀) * 퀴즈쇼 부릉부릉 (2008년 2월 9일 파일럿 방송. 명랑 히어로의 전신 격) * [[명랑 히어로]] (2008년 3월 29일 ~ 2009년 3월 28일 종영) * [[음악여행 라라라]] (하차) * 오딘의 눈 (2011년 2월 2일 종영) * 연애 위자료 청구 사건 (2011년 2월 2일 종영) * [[일밤|일요일 일요일 밤에]] * [[세바퀴]] (2009년 4월부터는 독립 편성) (2008년 5월 25일 ~ 2012년 4월 28일, 2013년 11월 9일 ~ 2015년 11월 6일 종영)(복귀) * 간다투어 (종영) * [[대망]] (종영) * 패러디 극장 (종영): 그 유명한 [[서영(배우)|서영]]과의 사탕 키스가 바로 이 코너였다. * 퀴즈 프린스 (종영) * 우리 아버지 (종영) * 오빠 밴드 (종영) * [[뜨거운 형제들]] (하차) *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스테이지 MC가 김성주라면 김구라는 판정단 쪽의 MC 역할, 음악 + 예능에서 예능 쪽 아이덴티티를 담당한다고 볼 수 있는데, 스스로 음악에 해박하기도 하거니와 뮤지션 패널인 김형석 등을 예능적으로 리드하기 때문에 사실상 가장 중요한 포지션이다.] (2015년 2월 18일, 2015년 4월 5일 ~ ): [[설날|설]] 특집 파일럿에도, 정규 편성 후에도 고정으로 합류했다. * 위인전 주문 제작소 (2013년 9월 19일 종영) * 사남일녀 (2014년 1월 3일 ~ 2014년 5월 23일 종영) * 건강보감 리턴즈 (2014년 9월 10일 종영) * [[마이 리틀 텔레비전]] (2015년 2월 22일 ~ 2015년 2월 28일, 2015년 4월 25일 ~ 2017년 6월 10일): 사실 프로그램 특성상 고정은 아니다. 단지 전(全)회 출연한 것일 뿐이지... ~~헌데, 사실 고정이랑 별 차이는 없다(...).~~ 그리고, 현재 V1기록을 갖고 있다. [[마리텔 갤러리]]와 마리텔 공식 [[철밥통]]이라는 [[별명]]을 가졌으며, 각계 각층의 게스트들을 섭외하는 인맥 덕분에 마리텔에 계속 나오는 것이 가능. 다만, 콘텐츠는 그의 방송에서 성향처럼 매번 [[호불호]]가 심하다. [[마리텔 갤러리]]에서는 그날 방송에서 김구라 순위가 높으면 다른 역대급 출연자와 우승인 경우를 제외하면 [[노잼]], 김구라 순위가 낮으면 [[꿀잼]]으로 분류하는 편. 사실 고정 게스트라기보다는 서유리와 함께 더블MC에 가깝다. * [[능력자들]] (2015년 9월 29일, 2015년 11월 13일 ~ 2016년 4월 1일 하차) : 김구라가 덕후문화층이 연계된 방송이라 할 수 있는 이 프로그램관 다소 맞지 않는 면도 있었는데, 또 다른 진행프로 썰전과 방송시간이 겹쳐지면서 하차. [[이경규]]가 이미 3월 21일에 능력자들 방송을 녹화했다는 것이 뉴스로 나왔었다. * 나의 머니 파트너 : 옆집의 CEO들 (2015년 12월 18일 ~ 2016년 4월 1일 종영) * [[발칙한 동거 - 빈방 있음]] (2017년 1월 27일 ~ 2017년 1월 28일, 2017년 4월 14일 ~ 2018년 3월 23일) * [[선을 넘는 녀석들]] (2018년 3월 30일 ~ 2018년 9월 14일 종영) * [[마이 리틀 텔레비전 V2]] (2019년 3월 29일 ~ 2020년 1월 2일 종영) * [[아무튼 출근!]] (2020년 8월 3일,10일 파일럿, 2021년 3월 2일 ~ 2021년 11월 16일) * 돈벌래 (2020년 9월 11일,18일 파일럿프로그램) * OPAL이 빛나는 밤 (2021년 2월 18일,25일 파일럿프로그램) * 개미의꿈 (2021년 3월 11,18일 파일럿프로그램) * '''[[심야괴담회]]''' (2021년 3월 11일 ~ ) * '''[[도망쳐]]''' (2023년 8월 27일 ~ ) * [[MBC every1|[[파일:MBC every1 로고(2011-2022) 가로형.svg|width=40]]]] * 뉴스 흥신소 구라데스크 (2007년 ~ 2008년 종영) * 블링블링 에브리쇼 (종영) * 정의본색 (2014년 12월 18일 ~ 2015년 1월 8일 종영) * [[결혼 터는 남자들]](2015년 2월 24일 ~ 2015년 5월 17일 종영) * 김구라의 공인중재사(2019년 12월 16일 ~ 2020년 1월 6일)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행복발전소 (2008년 10월 7일 종영) * TV 오아시스 (2008년 10월 23일 종영) * [[라인업]] (종영) * [[스타주니어쇼 붕어빵]] (하차) * [[절친노트]] Season1, 2 (종영) * TV 로펌 솔로몬 (하차) * [[화신 - 마음을 지배하는 자]] (2013년 5월 14일 ~ 2013년 10월 1일 종영) : 중간에 합류했다. * 슈퍼매치 (2013년 8월 16일 ~ 2013년 8월 23일 종영) * 황금가족 (2013년 9월 18일 종영) * [[매직 아이(SBS)|매직 아이]] (2014년 7월 8일 ~ 2014년 11월 18일 종영) *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 (2015년 3월 31일, 2015년 4월 25일 ~ 2016년 7월 18일 종영) * 투자자들 (2016년 5월 15일 ~ 2016년 7월 3일 종영) * 스타꿀방대첩 좋아요 (2016년 5월 20일) * [[맨 인 블랙박스]] (2016년 8월 2일, 2016년 8월 23일 ~ 2017년 9월 10일 하차) : 파일럿에도, 정규 편성 후에도 고정으로 합류했다. * [[본격연예 한밤]] (2016년 12월 6일 ~ 2020년 8월 26일) *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 (2017년 7월 10일 ~ ) * [[정치를 한다면]] (2020년 4월 3일 ~ 2020년 4월 25일) * 티키타카 (2021년 4월 4일 ~ 2021년 6월 20일) (종영)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폭소클럽]] Season 2 (종영) * [[그랑프리쇼 여러분]] '불량아빠 클럽' (종영) * [[스타 골든벨]] season1 (하차) - 사실상 그가 [[지상파]]에 눌러 앉게 된 방송. 여기서 특유의 시니컬한 말투와 해박한 지식으로[* 특히 스피드 잉글리시에서 김구라 전용 문제로 시사 용어 등 설명하기 매우 까다로운 단어 위주로 나왔는데도 어떻게든 영어로 설명했지만 당시 11~12살이던 리아가 먼저 포기해서 끝내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가 많았다.] 입지를 잡았으며 유행어 "최고에요"가 이때 만들어졌다. 2007년에는 당시 10살이던 아들 김동현 군과 함께 출연하여 이쁜 아들로 이미지가 동반상승되었다. * [[명받았습니다]] (2011년 1월 1일 ~ 2011년 5월 28일 종영) * [[불후의 명곡 2]] (하차) * [[이야기쇼 두드림]] (2013년 4월 13일 ~ 2013년 6월 5일 종영) * 너는 내 운명 (2013년 8월 30일 ~ 2013년 9월 7일 종영) * 리얼 스포츠 투혼 (2013년 9월 19일 ~ 2013년 9월 20일 종영) * 대변인들 (2014년 4월 1일 종영) * 결벽대결 1mm (2014년 9월 8일 종영) * [[개그콘서트/당신이 한 번도 보지 못한 개그콘서트]] (2014년 9월 9일 종영) * [[스타 골든벨]] (2015년 2월 19일 종영) * [[본분 금메달]] (2016년 2월 10일 종영) * 구라차차 타임슬립 - 새소년 (2016년 9월 15일 종영) * 신드롬맨 (2017년 1월 30일 종영) * [[속보이는TV 人사이드]] (2017년 4월 13일 ~ 2018년 11월 1일 종영) * '''스튜디오 K''' (2020년 4월 25일 ~ '''현재''') * 땅만빌리지 (2020년 11월 3일 ~ 2021년 2월 4일, 디스커버리 채널 코리아 동시방송) * [[KBS 1TV|[[파일:KBS 1TV 로고.svg|width=40]]]] * 황금의 펜타곤 시즌2 (2014년 10월 26일 ~ 2014년 12월 28일 종영) * [[KBS joy|[[파일:KBS joy 로고.svg|width=40]]]] * 천만원을 지켜라 (2008년 3월 8일 ~ 2008년 5월 2일 종영) * 김구라의 쇼! 크라테스 (2010년 12월 2일 ~ 종영) * [[EBS 1TV|[[파일:EBS 1TV 로고.svg|width=40]]]] * 빡치미 (2018년 4월 24일 ~ 2018년 7월 10일 ) * 당신의 문해력 (2021년 3월 8일 ~ 2021년 3월 23일 )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화성인 바이러스]] (2009년 3월 31일 ~ 2012년 5월 8일, 2012 년 10월 2일 ~ 2013년 11월 26일 종영) * [[현장토크쇼 TAXI]] (2012년 9월 6일 ~ 2014년 5월 15일 하차) * [[더 지니어스:게임의 법칙]] (2013년 4월 26일 ~ 2013년 5월 31일 하차) : 이 프로그램은 2013년 7월 12일에 종영됐고, 김구라 본인은 2013년 5월 31일에 탈락과 함께 하차했다. * [[퍼펙트싱어 VS]] (2013년 8월 30일 ~ 2014년 2월 21일 종영) * 공유TV 좋아요 (2014년 2월 11일 ~ 2014년 3월 18일 종영) * [[집밥 백선생]] (2015년 5월 19일 ~ 2016년 1월 19일 하차) * 예능인력소 (2016년 10월 10일 ~ 2016년 12월 26일 종영) * [[공조7]] (2017년 3월 26일 ~ 2017년 6월 2일 종영) * [[대화가 필요한 개냥]] (2017년 9월 15일 ~ 2018년 1월 10일 종영) * 상암타임즈 (2019년 1월 22일 ~ 2019년 4월 2일 종영) * [[E채널|[[파일:E채널 로고.svg|width=30]]]] * 마초들의 변신 와우맨 (2010년 9월 15일 ~ 2010년 12월 8일 종영) * 포커페이스 시즌2 (2011년 9월 17일 종영)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퀴즈쇼 아이돌 시사회]] (종영) * [[남자의 그 물건]] (2013년 1월 11일 ~ 2013년 5월 27일 종영) * [[썰전]] (2013년 2월 21일 ~ 2019년 3월 17일) * [[적과의 동침(예능)|적과의 동침]] (2013년 9월 16일 ~ 2013년 11월 18일 종영) * [[보스와의 동침]] (2014년 7월 26일 ~ 2014년 10월 17일 종영) * 동갑내기 (2014년 9월 7일 ~ 2014년 9월 8일 종영) * 백만장자 엘리베이터 (2014년 11월 30일 종영) * [[헌집줄게 새집다오]] 시즌 1(2015년 12월 10일 ~ 2016년 7월 28일[* 이 날을 끝으로 시즌 1이 종영되었다.] 종영) * [[헌집줄게 새집다오 시즌2]](2016년 9월 8일 ~ 2016년 11월 17일 종영) * [[솔로워즈]] (2016년 7월 15일 ~ 2016년 9월 16일) * [[전체관람가(JTBC)|전체관람가]] (2017년 10월 15일 ~ 2017년 12월 24일) * 체험 사람의 현장 막나가쇼 (2019년 11월 26일 ~ 2020년 3월 29일) * 용감한 솔로 육아 - 내가 키운다 (2021년 7월 9일 ~ 2021년 12월 22일 종영) * ,뭐털도사 (2023년 8월 22일 ~ 현재) * [[JTBC2|[[파일:QTV 배경제거.png|width=40]]]] * 더 모멘트 오브 트루스 코리아 season1 (종영) * 더 모멘트 오브 트루스 코리아 season2 (2010년 3월 27일 종영) * [[경인방송|[[파일:경인방송 로고.svg|width=40]]]] * [[최양락]], [[이봉원]]의 소문만복래 * [[OBS경인TV|[[파일:OBS경인TV 로고.svg|width=40]]]] * [[최진실]]의 [[진실과 구라]] (2008년 종영) * 토크樂 황금마이크 (2010년 종영) * 김구라, 문희준의 검색녀 (2011년 10월 6일 ~ 2012년 4월 19일 종영) * [[코미디TV|[[파일:코미디TV 배경제거.png|width=40]]]] * 달콤한 초대 (2012년 12월 22일 ~ 2011년 1월 12일 종영) * [[채널A|[[파일:채널A 로고.svg|width=40]]]] * [[혼자 사는 여자]] (2014년 1월 20일 ~ 2014년 4월 14일 종영) * [[아빠본색]] (2016년 7월 6일 ~ 2020년 7월 26일 종영) * [[개뼈다귀]] (2020년 11월 6일 ~ 2021년 1월 10일 종영) * 푸어라이크 (2022년 7월 7일 ~ 2022년 8월 12일 종영) * 새집은 처음이라 (2022년 8월 13일 ~ 2022년 10월 8일 종영) * [[엠넷|[[파일:엠넷 로고.svg|width=40]]]] * [[음담패설#s-2]] (2014년 3월 19일 ~ 2014년 8월 28일 종영) * [[투니버스|[[파일:투니버스 로고(2012-2015).svg|width=40]]]] * 김구라 김동현의 김부자쇼 (2014년 5월 16일 ~ 2014년 8월 8일 종영) * [[SBS Plus|[[파일:SBS Plus 로고.svg|width=40]]]] * 김구라 전현무 필살기쇼 (2015년 4월 4일 ~ 2015년 4월 18일 종영) * 손맛토크쇼 베테랑 (2016년 9월 12일 ~ 2016년 11월 20일 종영) * [[TV CHOSUN|[[파일:TV CHOSUN 로고.svg|width=40]]]] * [[궁금한 스타쇼 호박씨]] (2015년 6월 2일 ~ 2016년 9월 27일 종영) * [[스타쇼 원더풀데이]] (2016년 10월 4일 ~ 2017년 2월 21일 종영) * [[채널CGV|[[파일:채널CGV 로고.svg|width=40]]]] * [[무비 스토커]](2015년 7월 8일 ~ 2015년 10월 14일 종영) * [[네이버TV|[[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30]]]] * 구라래쇼 (2016년 3월 15일 ~ 미상 종영) * [[Olive|[[파일:Olive 로고.svg|width=40]]]] * 어느 날 갑자기 백만 원 (2017년 5월 11일 ~ 2017년 6월 22일 종영) * [[MBN|[[파일:MBN 로고.svg|width=40]]]] * 왕과 여자 (2017년 9월 19일 ~ 2017년 11월 21일 종영) * [[미식클럽]] (2018년 6월 8일 ~ 2018년 8월 24일 종영) * [[로또싱어]] (2020년 10월 3일 ~ 2021년 1월 16일 종영) * [[STATV|[[파일:STATV.png|width=40]]]] * '''[[프로의 사생활 타임아웃|타임아웃]]''' (2021년 10월 10일 ~ 2022년 2월 6일 종영) * [[카카오M|[[파일:카카오M 로고.svg|width=40]]]] * [[카카오TV 모닝]] - 뉴팡! (2020년 9월 1일 ~ 2020년 11월 30일)(월요일 코너 호스트) * [[맛집의 옆집]] (2021년 2월 6일 ~ 2021년 11월 27일 ) * [[채널S|[[파일:채널S 로고.svg|width=40]]]] * 김구라의 라떼9 (2022년 3월 17일 ~ ) * [[ETN|[[파일:ETN연예TV.png|width=40]]]] * [[구봉숙의 쏜데이 서울]] (2003년 3월 9일 ~ 2004년 12월 26일)[* [[구봉숙|구봉숙 트리오]]의 마지막 방송활동이다.] === 게스트 단발 출연 주요 에피소드 === 날짜 순으로 기록. 괄호 안은 동반 출연 게스트. * 2005년 1월 24일 [[안녕, 프란체스카]] * 2005년 8월 13일 [[위기탈출 넘버원]] ('''[[김성원(성우)|김성원]]''', '''[[선우용여]]''', '''[[김현철(코미디언)|김현철]]''', '''[[김진(배우)|김진]]''', [[김종국]], [[천명훈]], [[장윤정]])[*a 여기서 볼드 처리된 동반 게스트는 출연했을 당시 고정 게스트] * 2005년 11월 12일 위기탈출 넘버원 ('''[[선우용여]]''', '''[[조오련]]''', '''[[김정민(1968)|김정민]]''', '''[[김현철(코미디언)|김현철]]''', '''[[김진(배우)|김진]]''', [[서지영]], [[음문석]])[*a] * 2006년 12월 17일 [[일밤]] 경제야 놀자 * 2007년 05월 15일 [[상상플러스]] ([[이현우(가수)|이현우]]) * 2007년 05월 30일 [[무릎팍도사]][* 예능 최초로 굴욕받았는데 하필 상대가 본인도 [[강호동|두려워하는 인간흉기]]여서 역으로 굴욕을 받았다.] * 2007년 07월 13일 [[공감토크쇼 놀러와]] ([[윤도현]]) * 2007년 12월 03일 [[지피지기#s-2]] (팀, [[크라운 제이]]) * 2008년 03월 10일 지피지기 ([[장윤정]]) * 2008년 03월 17일 지피지기 (장윤정) * 2008년 11월 24일 놀러와 ([[이경규]]) * 2008년 12월 01일 야심만만 예능선수촌 ([[신해철]], [[유세윤]]) * 2010년 06월 26일 [[무한도전]] 자리 재배치 특집 * 2010년 06월 28일 놀러와 ([[뜨거운 형제들]] 팀) * 2011년 02월 15일 [[김승우의 승승장구]] * 2012년 02월 20일 놀러와 ([[황금어장(MBC)|황금어장]]-[[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 특집) * 2013년 08월 03일 [[SNL 코리아]] 시즌 4 22회 호스트 * 2013년 08월 06일 [[1대 100]] * 2013년 12월 09일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 * 2013년 12월 16일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 공교롭게도 그 날 같은 시간에 방영된 KBS 2TV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의 게스트였던 [[이봉원]]은 김구라의 SBS 선배였다] * 2014년 9월 1일 [[비정상회담]] * 2015년 4월 13일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김태원(음악인)|김태원]], [[김성주(방송인)|김성주]], [[정려원]])[[https://vo.la/I1PM0|#]] * 2015년 4월 20일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김태원, 김성주, 정려원) * 2015년 10월 24일 [[무한도전 특별기획전 2]] 4부 - [[무한도전 특별기획전 2/바보 전쟁 : 순수의 시대|바보 전쟁 : 순수의 시대]] 4부 ([[전현무]]) * 2016년 1월 9일 [[무한도전 예능총회]] ([[이경규]], [[윤정수]], [[김숙]], [[그리(래퍼)|그리]], [[유재환]], [[서장훈]], [[윤종신]], [[김영철(코미디언)|김영철]], [[박나래]], [[김성주(방송인)|김성주]]) * 2017년 7월 2일 ~ 2017년 7월 9일 [[세모방 : 세상의 모든 방송]] - [[http://www.dentaltv.net/program/program_1.php?action=view&page=1&sel_uid=3|덴탈 스토리]] & [[http://www.dentaltv.net/program/program_1.php?action=view&page=1&sel_uid=10|덴탈 라이프]] ([[헨리(가수)|헨리]], [[김재원(배우)|김재원]], [[이수경]]) * 2019년 1월 20일 [[코미디빅리그]] * 2020년 1월 18일 [[놀면 뭐하니?]] '인생라면' 전반부 * 2021년 6월 14일 [[아침마당]] * 2021년 10월 5일 [[비디오 스타]] - 정식 게스트는 아니고, 영상 메시지로 비디오 스타의 마지막을 축하해주었다. == 그 외 작품 == === 영화 === * [[아기와 나]] - 룸싸롱 중년남 역 - 우정출연 (2008) * [[핸드폰(영화)|핸드폰]] - 라디오 DJ 역 - 특별출연 (2009) * 리틀 [[비버]] - 늑대 부하 목소리 역 - 성우 (2009) * 이웃死촌 - 주연 (2011) * 떡국열차 - 커져쓰 역 - 주연 (2015) === 드라마 === * 김치왕 (2010) === 인터넷 방송 === * [[딴지일보|[[파일:1107615490.gif|width=40]]]] * '''[[김구라 황봉알의 시사대담]]''' (2001년 ~ 2004년)[* 인터넷 방송 시절 김구라의 대표 프로그램이다.] * 안티 연예가중계(2001년 ~ 2003년) * [[라디오21|[[파일:라디오21 로고.png|width=40]]]] * 김구라, 황봉알의 날방개그(2003년 ~ 2004년) * 김구라의 뮤직구라부(2003년 ~ 2004년) * 김구라, 한이의 +18(2004년 ~ 2005년)[* 시사평론가 [[김용민(1974)|김용민]]이 고정으로 출연.] * 프랑켄슈타인 * 김기득의 두시의 데이트(2000년)[* 김구라의 인터넷 방송 데뷔작.] * 구봉숙의 도시탈출(2000년 ~ 2001년) === 저서 === * 구라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 (2004) * 웃겨야 성공한다 (2006) * 부자경제교실 (2008) - 김동현 공저 * 독설 대신 진심으로 (2012) === 플래시 애니메이션 === * [[오인용]] 졸라구라 - 본인 == 유튜브 == * [[https://www.youtube.com/channel/UCLF1hNfWMvgq4zvR5qzDWgg|그리구라]] : 아들 그리와 런칭한 채널. 먹방 같은 아들과의 일상생활이 주 컨텐츠다. 트레일러 영상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NBA]] 농구 선수 [[카멜로 앤서니]]의 팬이라고 한다. 이 외에도 [[C.J. 맥컬럼]]과 [[데미안 릴라드]]를 같은 방송에서 언급한 것을 보면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에 관심이 많은 듯. * [[https://www.youtube.com/channel/UC3eNWzE-pftCXatCuUAaHGw|김구라의 뻐꾸기 골프 TV]] : 오랜 골프친구인 박노준과 함께 진행하는 골프 채널. 골프는 매너 스포츠라지만 여기선 그런 거 없고 김구라답게 구찌[* 골프에서 상대방을 말로 놀리거나 시비거는 것의 은어. 당구에서 [[겐세이]]와 유사한 뜻이다.]가 남발한다. 처음에는 게스트의 실력을 놀리다 결국 김구라와 박노준이 서로 자폭해버리는 게 주 패턴. 김구라가 운영하는 유튜브 중 가장 성공하여 대부분 조회수 50만 이상, [[김국진]] 편의 경우 100만을 넘어가고 있다. 골프 채널이라 아무래도 주 시청자가 부유층이고, 덕분에 대기업의 스폰도 많이 받고 있다 그래서 라디오스타에서 [[슈카월드]]는 김구라 채널이 제일 부럽다한다. 광고 단가도 높고 시간도 길고 해서 구독자가 30만임에도 불구하고 200만인 자신채널보다 수익이 높다고 봤다. [* [[삼성전자]], [[신한금융투자]], [[카카오(기업)|카카오]] 등의 스폰을 받고 앞광고를 보냈다]. * [[https://www.youtube.com/channel/UC8jn6wsEWH9Edynop6DYX8g|구라철]] : KBS에서 만드는 유튜브 채널. 사람들이 궁금해 하지만 왠지 묻기 쉽지 않은 질문들을 김구라가 쑤시러 다니는 것이 주 컨텐츠이다. 조회수는 질문 내용에 따라 오락가락하는 편인데, "개그콘서트는 왜 망해가나?" "아이유 출연료는 얼마일까?" "국회의원은 왜 국밥을 먹을까?" 같이 딱봐도 궁금할 사람이 많은 컨텐츠의 조회수가 잘 나오는 편이다. 재단장을 위해 2개월여간 휴방에 들아갔다. 2021년 5월부터 다시 재개했지만 시즌1과는 달리 평가가 좋지 못하며 김구라의 장점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 밋밋한 영상만 나온다는 악평으로 조회수도 상당히 낮은편이다. 결국 3개월도 채 지나지 않아 시즌2는 종료 되었다. == 광고 == || '''기업명''' || '''브랜드명''' || '''분류''' || '''공동 출연''' || ||<-4> '''{{{#FFFFFF 2004년}}}''' || || [[KT알파|KTH]] || 파란 욕맞고 || 게임 || [[황봉알]] || || 테라피정보통신 || 게임콜 || 멀티 음성채팅서비스 || || ||<-4> '''{{{#FFFFFF 2006년}}}''' || || 장충동비엔에프 || 장충동비엔에프 || 족발 프랜차이즈 || [[그리(래퍼)|그리]] || ||<-4> '''{{{#FFFFFF 2007년}}}''' || || 굿지앤 || 김구라의 세상씹기 || 술안주 || || || [[LG텔레콤]] || 가입자간 20시간 무료통화 || 통신사 || [[그리(래퍼)|그리]] || ||<-4> '''{{{#FFFFFF 2008년}}}''' || || [[스카이라이프]] || [[스카이라이프]] HD || 위성방송 || [[현영]] || || 햇살치킨 || 햇살치킨 || 치킨 || [[그리(래퍼)|그리]], [[상근이]] || || KB119 || KB119 || 대출업 || || || [[삼성전자]] || [[하우젠]] 바람의 기사단 모집 || 프로모션 || [[그리(래퍼)|그리]] || || [[KT]] || [[KT]] 인터넷전화 || 통신사 || [[김국진]], [[윤종신]], [[신정환]] || ||<-4> '''{{{#FFFFFF 2008년 ~ 2021년}}}''' || || 루노소프트 || 김구라 맞고 시리즈 || 게임 || || ||<-4> '''{{{#FFFFFF 2009년}}}''' || || 상호저축은행중앙회 || 상호저축은행중앙회 || 금융 || [[김국진]] || || [[서울우유]] || 요하임 || 유제품 || [[그리(래퍼)|그리]] || || [[G마켓]] || 2009 추석 || 온라인 마켓 || [[그리(래퍼)|그리]] || ||<-4> '''{{{#FFFFFF 2012년}}}''' || || 티아이커뮤니케이션즈 || 슈퍼비 || 무료국제전화 앱 || || ||<-4> '''{{{#FFFFFF 2013년}}}''' || || [[LG U+]] || [[LG U+]] LTE || 통신사 || [[김원해]], [[김민교]] || ||<-4> '''{{{#FFFFFF 2014년}}}''' || || 인투엠 || 김구라의 거짓말 탐지기 || 게임 || || ||<-4> '''{{{#FFFFFF 2015년}}}''' || || 한국다케다제약 || 화이투벤 || 코감기약 || [[김국진]], [[후지타 사유리]] || ||<-4> '''{{{#FFFFFF 2016년}}}''' || || [[SK텔레콤]] || Tband 플레이팩 || 통신사 || [[조세호]] || || [[현대카드]] || LIBRARY Inspiration Talk || 카드 || || || [[지오다노]] || Warms you up 캠페인 || 의류 || [[그리(래퍼)|그리]] || || 엔터메이트 || 천하를 탐하다 || 게임 || || ||<-4> '''{{{#FFFFFF 2016년 ~}}}''' || || 광천농협 || 김구라의 광천 김선생 || 김 || || ||<-4> '''{{{#FFFFFF 2017년 ~}}}''' || || 육대장 || 육대장 || 육개장 프랜차이즈 || || ||<-4> '''{{{#FFFFFF 2017년}}}''' || || 선진 || 핫도구라, 구라함박 || 간편식 || || ||<-4> '''{{{#FFFFFF 2022년~}}}''' || || 어댑트 || 데이알 블랙킹타임 || 건강기능식품 || || || [[코오롱인더스트리]] || 엘로드 다이너스 || 골프용품 || [[김용건]]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구라, version=2031, paragraph=5)] [[분류:김구라]][[분류:대한민국의 남성 방송인/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