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블러썸 크리에이티브)]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7b00 40%, #f7f78f)" '''{{{+1 김금희}}}[br]金錦姬 | Kim Keum-he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금희.jpg|width=100%]]}}}|| ||<|2> '''출생''' ||[[1979년]] [[10월 10일]] ([age(1979-10-10)]세) || ||[[부산광역시]] || ||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 '''학력''' ||[[인하대학교]] {{{-2 (국어국문학[* 98학번] / 학사)}}} || || '''직업''' ||[[소설가]] || || '''소속''' ||[[블러썸 크리에이티브| [[파일:블러썸크리에이티브_로고.png|width=100]]]] || || '''등단''' ||2009년 《너의 도큐먼트》 || || '''링크''' ||[[https://www.instagram.com/keumhee_kim_he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소설가]]. == 작품 목록 == || '''{{{#fff 제목}}}''' || '''{{{#fff 발간연도}}}''' || || 《너의 도큐멘트》[* 《2009 신춘문예 당선소설집》 수록] || [[2009년]] || || 《센티멘털도 하루 이틀》[* 《2013 제3회 웹진문지문학상 수상작품집》 수록, 이후 2014년(구판), 2021년(개정판) [[창비]]에서 단독 소설집 출간] || [[2013년]] || || 《조중균의 세계》[* 《2015 제6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내가 태어나서 가장 먼저 배운 말》 수록] ||<|2> [[2015년]] || || 《보통의 시절》[* 《2016년 제61회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수록] || || 《너무 한낮의 연애》[* 《2016 제7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수록, 이후 2016년 [[문학동네]]에서 단독 소설집 출간] ||<|4> [[2016년]] || || 《새 보러 간다》[* 《2016 제10회 김유정문학상 수상작품집》 수록] || || 《체스의 모든 것》[* 《2017년 제62회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수록] || || 《고양이는 어떻게 단련되는가》[* 《2016 제16회 황순원문학상 수상작품집》 수록] || || 《문상》[* 《2017 제8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수록] ||<|3> [[2017년]] || || 《그의 에그머핀 2분의 1》[* 《이해 없이 당분간》 수록] || || 《오직 한 사람의 차지》[* 《2017년 제18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수록, 이후 2019년 [[문학동네]]에서 단독 소설집 출간] || || 《모리와 무라》[* 《2018 제8회 문지문학상 수상작품집》 수록] ||<|6> [[2018년]] || || 《경애의 마음》 || || 《레이디》[* 《사랑을 멈추지 말아요》 수록] || || 《나는 그것에 대해 아주 오랫동안 생각해》 || || 《나의 사랑, 메기》 || || 《불가능한 대화들 - 네 번째 이야기》[*대담집] || || 《깊이와 기울기》[* 《신동엽 50주기 기념 신동엽문학상 역대 수상자 신작소설집》 수록] ||<|4> [[2019년]] || || 《마지막 이기성》[* 《2019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수록] || || 《다름 아닌 사랑과 자유》[*에세이] || || 《기괴의 탄생》[* 《2019 제13회 김유정문학상 수상작품집》,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20》 수록] || || 《사랑 밖의 모든 말들》[*산문집] ||<|4> [[2020년]] || || 《크리스마스에는》[* 《열 장의 이야기와 다섯 편의 시》 수록] || || 《복자에게》 || || 《우리는 페페로니에서 왔어》[* 《2020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수록, 이후 2021년 [[창비]]에서 단독 소설집 출간] || || 《첫눈으로》[* 《놀이터는 24시》 수록] || [[2021년]] || || 《식물적낙관》[*에세이] || [[2023년]] || == 수상 == || '''{{{#fff 연도}}}''' || '''{{{#fff 시상식}}}''' || '''{{{#fff 작품명}}}''' || || 2015 || '''제33회 신동엽문학상''' || 《센티멘털도 하루 이틀》 || || 2015 || '''제6회 [[젊은작가상]]''' || 《조중균의 세계》 || || 2016 || '''제7회 [[젊은작가상]] 대상''' || 《너무 한낮의 연애》 || ||<|2> 2017 || '''제62회 [[현대문학상]]''' || 《체스의 모든 것》 || || '''제8회 [[젊은작가상]]''' || 《문상》 || || 2020 || '''김승옥문학상 대상''' || 《우리는 페페로니에서 왔어》 || == 논란 및 사건 사고 == === 이상문학상 거부 사건 === 이상문학상 수상 조항에 '수상작 저작권을 3년간 출판사에 양도하고 작가 개인 단편집에 실을 때도 표제작으로 내세울 수 없다'는 조항이 있어서 수상을 거부하였다. 아래는 트위터에 김금희 작가가 올린 전문. >어제 모 상의 수상후보작이 되었다는 전화를 받고 일차적으로는 기쁜 마음이었다. 그런데 오후에 계약서를 전달받고 참담해졌고 수정요구를 했지만 끝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거기에는 내 단편의 저작권을 3년간 양도한다는 내용이 있었다. > >심지어 내 작품의 표제작으로도 쓸 수 없고 다른 단행본에 수록될 수 없다. 문제를 제기하자 표제작으로는 쓰게 해주겠다고 했는데 글쎄, 내가 왜 그런 양해를 구하고 받아야 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 >내가 이런 말을 여기서 하는 것이 내게 득이 되지 않는다는 것, 잘 안다. 하지만 말하지 않는다면 계속 “양도”라는 단어 속에 작가들의 작품들이 연속해서 갇히게 되겠지. >계약서 조정이 그리 어려운가? 작가를 격려한다면서 그런 문구 하나 고치기가 어려운가? 작가의 노고와 권리를 존중해줄 수 있는 것 아닌가?" 연이어 최은영 작가도 이상문학상 수상을 거부하였으며, [[이기호(소설가)|이기호]] 작가도 거부한 적이 있다며 페이스북에 글을 올렸다. 2019년에는 윤이형 작가가 이상문학상을 거부하며 절필을 선언하였다. 2020년 문학계 최고의 스캔들 중 하나가 되었으며, 문학사상사 측에서도 '출판권 및 표제작 금지 기간 1년 설정'으로 완화하여 소급 적용하기로 하였다. 또한 2020년 수상작과 수상집 역시 내지 않기로 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한국 여성 작가]][[분류:1979년 출생]][[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인하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