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김도욱)] GSL 코드 A에서 [[김지성(프로게이머)|김지성]]을 3:0으로 제압했다. 상대와 수준이 다름을 보여주며 진에어의 첫 개인리그 본선 진출자가 되었다. 프로리그 1라운드 1주차부터 엔트리에 올랐고, 4세트에 출전해 [[MVP(프로게임단)|MVP]]의 [[김기용(프로게이머)|김기용]]을 제압하며 첫 승을 거뒀다. 팀도 3:1로 승리. 코드 S 32강에서 [[송병구]], [[이원표]], 김기용과 한 조가 되었다. 프로리그 1라운드 2주차, [[한이석]]과 엎치락뒤치락 하던 끝에 제공권을 장악하며 이기는가 싶었으나, 상대가 건물 띄우고 달아나는데 우주공항을 안 지키고 있다가 공항을 잃고 말았다. 그 때문에 상대의 건물을 때릴 방법이 없어져 무승부가 나고, 재경기에서는 바이킹을 상대 확장들에 돌격 모드로 내리고 본진에 드랍한 것까진 좋았는데 바이킹을 모조리 헌납하면서 기껏 다시 잡은 제공권을 잃고 본진을 장악당하는 등, 이해할 수 없는 판단을 연발하며 이길 수 있는 찬스를 놓치고 뼈아픈 역전패를 당했다. 코드 S 32강에서 송병구, 이원표를 연달아 2:0으로 격파했다. 지속적인 의료선 견제와 해방선 활용으로 무난히 16강의 한 자리를 차지했다. 이 날 승리로 코드 A부터 코드 S 32강까지 7전 전승을 달리는 중이다. 프로리그 1라운드 5주차 2세트에 오랜만에 출전, [[김기현(프로게이머)|김기현]]을 무난히 제압했다. 1라운드 결승전 선봉으로 출전했지만 [[김명식(프로게이머)|김명식]]에게 패배했다. GSL 16강에서 [[주성욱]]의 지명을 받아 죽음의 조인 B조에 끼게 되었다. 첫 경기에서 주성욱에게 2:0으로 패했고 지는 과정에서 지뢰드랍 준비하면서 암흑기사에 지뢰를 헌납하는 등 안 좋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와 [[어윤수]]를 4전 전승으로 제압하며 2년만에 8강 진출에 성공했고, 이로써 [[진에어 그린윙스/스타크래프트|진에어 그린윙스]]의 유일한 리그 스케줄이 있는 선수가 되었다. GSL 8강에서 우승자 출신인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를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몰아 붙이면서 3:1 스코어로 4강에 안착했다. 평소와는 달리 매서운 견제와 병력의 생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승리를 가져왔다. 다만, 의료선 드랍 실패시의 반응 속도나 교전 시 병력의 배치에 있어서는 약간 아쉬운 모습을 보여줬다. GSL 4강에서는 [[전태양]]과 맞붙게 되었는데, 전태양의 속도에 따라가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전략마저도 완벽히 대처당하며 0:4로 완패하였다. [[락라인]] 가입은 덤. 2라운드 5주차 팀의 마지막 경기인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와의 4세트에서는 [[신희범]]을 만났고, 울트라가 뜨기 직전 타이밍에 미리 산개해놓은 병력으로 상대 타링링을 완파하며 승리했다. SSL 챌린지 진출에 성공했다. 지난 시즌 GSL에서 악연의 관계였던 전태양과 같은 조에 들었고, 비록 설욕에는 실패했지만 그에 이어 조 2위로 본선 무대에 입성했다. 프로리그 3라운드 1주차 아프리카전에 [[김도경]]을 상대했고, 완승을 거두었다. 3라운드 2주차 MVP전 3세트에 출전, 상대 [[고병재]]의 메카닉을 막아내고 무난히 승리하면서 정규시즌 5승 2패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으나 타 팀원들에 의해 묻히다 못해 [[투명라인]]에조차 들지 못하면서 진정한 투명이 뭔지 보여주고 있다. 3라운드 4주차에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의 [[이동녕]]에게 패했다. 해방선만 신나게 뽑았으나 해방선 견제는 계속 막히고 그에 따른 최적화도 늦어지면서 상대 병력에 그대로 밀렸다. GSL 코드 S에서 3토스와 한 조가 되었고, 초반 [[김대엽]]에게 2:0으로 완패하며 탈락 위기에 놓였으나 [[송현덕]]을 2:0으로 잡은 후 김대엽에게 2:0으로 복수에 성공하며 16강에 올랐다. 프로리그 3라운드 플레이오프에서는 선봉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과 차봉 [[이병렬]]이 당하고 1:2 상황에서 중견으로 출전했다. CJ의 [[테란]] [[이재선(프로게이머)|이재선]]을 기량의 차이를 보이며 꺾어낸 후 이후 출전한 [[프로토스]] [[장민철]] 역시 상대의 올인을 간파하고 호수비를 펼치며 멀티 킬에 성공, 스코어를 3:2로 역전시킨다. 그러나 CJ의 대장으로 출전한 [[한지원(프로게이머)|한지원]]에게 일격을 맞으며 바통을 대장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에게 넘겨주게 되었다. 조성주가 한지원을 잡으며 진에어는 3라운드 결승에 진출하게 되었고, 이번에도 멀티 킬을 달성해 MVP 선정이 유력해 보였으나 또다시 마무리를 담당한 조성주가 MVP를 가져갔다(...). 김유진이 3라운드 들어 깊은 부진에 빠진 상황에서 김도욱이 제 몫을 해주었다는 것은 3라운드 결승과 통합 결승을 앞둔 진에어에게 그나마 [[호재#s-1|호재]]로 작용하는 부분. 3라운드 결승 선봉으로 출격한다. 오랜만에 방영한 '고인규가 간다!'에서 밝혀진 바로는 [[차지훈]] 감독이 '정찰기 취급'으로 보냈다고 한다. 선봉 상대는 김대엽으로, 승리한 후 이동녕도 신들린 의료선 견제로 뒤흔들며 승리했지만, 전태양을 상대로는 조금 아쉬운 판단을 보이며 패배. 그래도 후발주자 김유진이 남은 2킬을 마저 완성하며 팀은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그러나 양대리그 16강에서 모두 조 4위로 광탈했다. 스타리그에서는 [[조지현]], 김기현에게, GSL에서는 [[박령우]], 김유진에게 패배했다. 결국 블리즈컨도 진출 실패. [[분류:프로게이머/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