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김만홍}}}'''[br]'''金晩洪'''}}}}}} || || '''본관''' ||미상 || ||<|2> '''출생''' ||[[1871년]] [[1월 1일]] || ||[[평안북도]] 벽동(碧潼) || || '''사망''' ||[[1956년]] [[2월 23일]] || || '''직업''' ||독립운동가||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71년 1월 1일 [[평안북도]] 벽동에서 태어났다. 1921년 2월 4일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오동진(吳東振)의 지령을 받아 일제의 밀정으로 [[매국]]적인 행위를 일삼으며 [[독립운동]]을 방해하던 김관오(金棺伍) 모자를 사살하였다. 또한 [[1921년|동년]] 8월 13일 [[독립군]]인 아들 김익봉(金翊奉)과 함께 무장단원 12명을 대동하고 평북 벽동군 운시면(雲時面)에 있는 일경주재소를 습격하여 일경 1명을 사살하고 무기를 노획하였다. 1923년 10월 19일 일경에게 피체되었다. 그는 1924년 1월 23일 신의주지방법원에서 징역 8년형을 언도받고 공소하였으나 [[1924년|동년]] 5월 6일 평양복심법원에서 기각, 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 여담 == 대한민국 정부에게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건국훈장 애국장]][[분류:1871년 출생]][[분류:1956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