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ffffff {{{+1 김명돌}}}[br]金命乭}}}'''}}}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명돌.jpg|width=100%]]}}} || || '''창씨명''' ||가네시로 메이세키(金城命乭)[br]가네시로 메이토루(金城命乭)[*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732&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1537&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1945년 8월 17일 형사사건부]]] || || '''본관''' ||[[경주 김씨]][* [[http://aks.ai/GC08100744|디지털경산문화대전]]] || ||<|2> '''출생''' ||[[1916년]] [[11월 21일]] || ||[[경상북도]] [[경산시|경산군]] [[남산면(경산)|남산면]] 사월리 22번지 || ||<|2> '''사망''' ||[[1983년]] [[11월 30일]] || ||[[경상북도]] [[경산시|경산군]][* [[https://dnc.go.kr/_prog/_board/?mode=V&no=32858&code=merit&site_dvs_cd=kr&menu_dvs_cd=0208&s_post_dvs_cd=&skey=&sval=&GotoPage=43|#]]] || || '''배우자''' ||아내[* [[2022년]] 7월 108세 노환으로 작고] || || '''자녀''' ||슬하 2남 5녀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355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일제강점기]] 말 일제의 징병제에 반대하여 항거 투쟁을 전개했던 공적을 인정받아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916년]] 11월 21일 [[경상북도]] [[경산시|경산군]](現 [[경산시]]) 남산면 사월리 22번지에서 아버지 김한호(金漢浩)와 어머니 오정분(吳丁粉) 사이에서 아들로 [[http://aks.ai/GC08100744|태어났다]]. 이후 농업에 종사했다. 1944년 7월 15일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7883|안창률]](安昌律)을 비롯한 28명의 동료들과 함께 [[태평양 전쟁]]에 [[조선인]]들을 내보내는 [[일본 제국]]의 징용·징병제도를 결사 반대하기로 결의하였다. 그 후 동료들과 함께 '대왕산 의거대'라는 무장조직을 결성하여 경산군 남산면에 있는 대왕산(大旺山)에 들어갔고, 죽창과 투석전으로 일본 경찰에 항거하였다. 그러나 [[1944년]] 8월 10일 식량을 얻기 위해서 하산하였다가 발각되어 일본 경찰에 체포되고 말았다. 1944년 10월 4일 이른바 보안법 위반 및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대구형무소에 수감되어 미결수로 있다가 옥중에서 [[8.15 광복]]을 맞았고, [[1945년]] 8월 17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 및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에 대해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732&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1537&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소송이 취소되어]] 곧 석방되었다. [[1983년]] 11월 30일 경상북도 경산군에서 별세했다. [[1986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고, 이어 [[1990년]]에는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당초 경산시 남산면 송내리 산690번지에 안장되었다가 [[2006년]] 11월 2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에 이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경산시 출신 인물]][[분류:경주 김씨]][[분류:1916년 출생]][[분류:1983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