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김명신)] [목차] [clearfix] == 개요 == 두산 베어스 소속 투수 김명신의 선수 경력을 서술한 문서 == 아마추어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5122303419_0.jpg|width=100%]]}}}|| 초등학교 4학년 당시 산악회 회장이셨던 아버지를 따라 등산을 갔다가, 우연히 산악회 회원이었던 야구부 학부모의 눈에 띄어 야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본래 포지션은 내야수였으나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등학교]] 3학년 때 [[투수]]로 전향하였는데, 그 계기가 상당히 웃프다. 타격 연습을 하던 중 어느 순간 자신이 더이상 타자로서 발전할 수 없다 생각해 고3이라는 다소 늦은 나이에 "어차피 타자로서는 성공 못 할 것 같으니 투수 해보고 안 되면 야구를 그만둬야겠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신의 한 수가 되었는데, 전향한 그 해에 [[고교야구 주말리그]] 후반기 투수상을 수상했다.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등학교]] 졸업 후 [[경성대학교 야구부|경성대학교]](2013학번-2017년 졸업)에 진학해 에이스로 이름을 날렸다. 한 해 후배인 우완 정통파 투수 [[공수빈]]과 함께 [[경성대학교 야구부]] 마운드를 지키며, '16년 팀의 3관왕[* 춘계리그, 왕중왕전, 전국체전]을 이끌었다. 그리고 김명신은 그 3개 대회에서 모두 MVP로 선정되었다. 그렇게 실력을 갈고 닦아 유니버시아드, 아시아선수권대회 국가대표로도 선발되었다. [[이복근]] 두산 스카우트 팀장은 그를 두고 대학야구 최고의 싸움꾼이라는 평가를 남겼다. [[장지훈(1997)|장지훈]]과 함께 지명 전까지 삼성 라이온즈의 1차지명 후보자[* 중학교 때 유급한 선수는 1차 지명이 가능하다. 경쟁자였던 장지훈도 경주중 때 유급했다.]로 거론되곤 했다. 두산 베어스와는 계약금 1억원, 연봉 2,700만원에 입단 계약을 맺었다. 그의 야구인생을 다룬 인터뷰는 이 블로그를 참조하자. [[http://kusf_sport.blog.me/220422049699|대학 시절 인터뷰]] == 두산 베어스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산베어스 김명신.jpg|width=100%]]}}} || ||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width=35]] '''[[두산 베어스]] 선수시절''' || === 2017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O김명신.jpg|width=100%]]}}} || 2016년 두산의 일본 미야자키 마무리캠프에도 따라갔으며, 2017년 1군의 호주 스프링캠프에 입단 동기 [[박치국]]과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478365|합류하게 되었다.]] 시범경기에서부터 호투하며 [[안규영]], [[박치국]], [[함덕주]] 등과 5선발 후보가 되었다. 4월 1일 잠실 한화전 2차전에 [[김승회]]의 뒤를 이어 3번째 투수로 등판해 0.1이닝 1피안타 무실점을 기록했다. 잠실구장에서 등판해 초구 스트라이크를 꽂는 게 꿈이었다는 말을 한 적이 있는데 진짜로 초구 스트라이크를 던졌다. 4월 2일 3차전에 [[마이클 보우덴]]의 대체선발 [[고원준]]이 4.1이닝밖에 못 채우고 5회 1사 2,3루를 만들고 강판된 뒤 등판해 주자 1명을 분식했으나 이닝을 끝냈고 이후 [[강경학]]의 타점으로 첫 실점했으나 총 2이닝 1실점으로 무난히 던져줬다. 그후 무난히 불펜에서 노예 생활을 하다가... 4월 15일 마산 NC전에서 선발 투수로 출장했다. 5이닝 2실점 6피안타 4K 1볼넷을 기록했고, 무사 만루 위기에서 1점만 주는 등 좋은 투구 내용을 보여줬다. 연달아 안타를 맞아도 당당하게 스트라이크로 승부하면서 투구 내용 이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타선은 11득점으로 폭발하며 '''시즌 첫 승이자 데뷔 첫 승을 선발승'''으로 거두었다.[* 이 날 경기 마지막 아웃카운트를 3루수 [[허경민]]이 잡았는데, 이 공을 관중석에 던져버리는 척 하는 장난을 치기도 했다.] 본인의 말로는 아무 생각 없이 '''[[박세혁|포수]]가 던지라는 데로만 던졌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20170425003338_0_20170425213718667.jpg|width=100%]]}}}||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id=298107&category=kbo&gameId=20170425OBWO02017&date=20170425&listType=game|4월 25일 고척 넥센전에서 1회 말 2사를 잡고 '''[[김민성]]의 타구에 안면 좌측을 맞아 부상을 당했다.''']][* 공교롭게도 [[김원형]]이 [[장종훈]]의 타구에 맞은 곳과 같은 곳이다.] 이후 [[홍상삼]]과 교체되었다. 당시 같이 뛰던 선수들과 응원하던 팬들이 모두 충격을 받고 순간적으로 얼어붙었다.[* 김민성은 놀란 나머지 1루가 아니라 김명신에게 달려가다가 다시 1루를 밟고 김명신에게 달려왔다.] 교체 후 팀은 9:13으로 패배하였지만 팀이 중간에 동점을 만들며 패전투수가 되진 않았다.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17&aid=0002903396|CT 촬영 결과 안면부 골절 판정이 나왔다.]] 불행 중 다행인 점은 시력에 이상은 없다는 것. 향후 수술일자와 수술할 병원을 맞추고 있으며, 2일차인 26일 휴식을 취하면서 붓기가 빠지기를 기다렸고, 28일에 2017년 5월 2일에 강남구 [[삼성서울병원]]에서 [[http://v.media.daum.net/v/20170427173056591|수술]]하기로 결정하였다. 수술은 의사도 만족했을 정도로 성공적이었다고 한다. 메이저 리그 [[아롤디스 채프먼]]도 안면에 강습을 맞고 골절을 당한 후에도 성공적으로 복귀한 선례가 있으며 [[김태형(1967)|김태형]] 감독도 가을야구 때는 충분히 복귀할 수 있을 거라 밝혔다. 예상보다 빠르게 몸 상태가 회복되어 7월 23일, 무사히 1군에 복귀했다. 7월 26일 수원에서 열린 KT 위즈와의 경기에서 9회말 등판하여 공 9개를 던지고 ⅓이닝을 1피안타 무실점으로 막으며 홀드를 기록했다. 1군 콜업 뒤 4일만의 등판. 8월 10일 넥센전에서 선발 [[마이클 보우덴]]이 3⅓이닝만에 헤드샷으로 퇴장당하며 급하게 등판했다. 이후 1사 1, 2루에서 1루 직선타 더블플레이로 위기를 벗어났으나 급하게 등판해 몸이 덜 풀린 탓인지 5회말에 연속안타를 허용하며 1실점 이후 무사만루를 남겨놓고 [[김승회]]에게 마운드를 넘겼다. 부상 복귀 이후 제구는 여전히 좋으면서 구속이 늘었고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중이다. 어깨가 쉰 게 도움이 된 듯 하다. 후반기 31경기 28.2이닝 5홀드 ERA 2.83으로 필승조 몫을 해냈다. 플레이오프에선 2경기 1이닝 3실점으로 부진했다. 한국시리즈에선 한 타자를 상대해 아웃카운트를 잡아냈고 이것이 유일한 등판기록이 됐다. === 2018 시즌 === 1군 스프링캠프에 포함됐지만 [[http://naver.me/xUmE3BZ6|팔꿈치 통증으로 조기 귀국했다.]] 이후 4월 3일 팔꿈치 수술을 받았다는 기사가 떴다. 재활 기간을 감안하면 사실상 올해는 안식년으로 생각하고 넘어가는 것이 좋을 듯하다. 2018년 6월 29일자 기사에 따르면 통증은 거의 다 없어졌고, 군문제 해결을 위해 7월 2일에 사회복무요원으로 입대한다고 한다. 복무지는 강동종합사회복지관. 소집해제 예정일은 2020년 5월 16일이다. === 2020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김명신.jpg|width=100%]]}}}|| 5월 16일에 소집해제되었고 박성환과 함께 팀에 복귀했다. 제대 후 바로 정식선수로 전환되었고 2군에서 라이브피칭을 어느정도 진행하다가 6월 20일부터 퓨처스에 불펜으로 출전하면서 실전감각을 쌓고 있다. 7월 7일의 김명신 [[두산 베어스 2군|퓨쳐스]] 피칭모음 [[https://www.youtube.com/watch?v=rzHrtpRAmOY&t=9s|#]] 7월 17일 전역 후 첫 1군 등록되었고, 18일 KIA전 9회말에 등판하여 안타 2개를 허용하긴 했지만 실점 없이 경기를 끝냈다. 1이닝 1K 무실점. === [[김명신/선수 경력/2021년|2021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1김명신.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명신/선수 경력/2021년)]''' || === [[김명신/선수 경력/2022년|2022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2김명신서울니폼.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명신/선수 경력/2022년)]''' || === [[김명신/선수 경력/2023년|202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띵신.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명신/선수 경력/2023년)]''' || == 국가대표 경력 == ===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2017 APBC]] === ||
'''{{{#ffffff 2017 APBC}}}''' || || [[파일:apbc김명신.jpg|width=100%]] || ||<-1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5%, #1E2776 10%, #A01E20 25%, #09539D 25%)"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svg|width=7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9539D 75%, #A01E20 75%, #1E2776 90%, #ffffff 95%)" }}} || || 경기 || 선발 || 이닝 || 방어율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피안타 || 피홈런 || 실점 || 자책점 || 볼넷 || 삼진 || 상세 || || 1 || 0 || ⅔ || 27.00 || 0 || 0 || 0 || 0 || 1 || 0 || 2 || 2 || 1 || 0 || || [[선동열호/2017년#s-2.2|최종 엔트리]]에 팀 메이트 [[장승현]], [[류지혁]], [[함덕주]]와 같이 포함되었다.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 출신 4명이 뭉치게 되었는데, 나이는 동갑이나 중학교 시절 1년 유급으로 1년 선배가 된 [[김윤동]], [[임기영]], 1년 후배 [[박세웅(1995)|박세웅]]과 오랜만에 같은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http://news.joins.com/article/22097697|#]] 일본전 계투로 등판, 0.1이닝 1피안타, 1볼넷, 2실점[* 김윤동의 분식회계]의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 연도별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7 ||<|7> [[두산 베어스|두산]] || 39 || 45⅓ || 3 || 1 || 0 || 5 || 0.750 || 4.37 || 54 || 2 || 19 || 38 || 23 || 22 || 1.46 || || 2018 ||<|2><-15> 군 복무([[사회복무요원]]) || || 2019 || || 2020 || 16 || 15⅓ || 0 || 1 || 0 || 0 || 0.000 || 3.52 || 20 || 3 || 7 || 11 || 6 || 6 || 1.57 || || 2021 || 58 || 67 || 3 || 2 || 0 || 2 || 0.600 || 4.30 || 72 || 6 || 20 || 43 || 37 || 32 || 1.28 || || 2022 || 68 || 79⅔ || 3 || 3 || 0 || 10 || 0.500 || 3.62 || 75 || 5 || 28 || 61 || 33 || 32 || 1.26 || || 2023 || 70 || 79 || 3 || 3 || 1 || '''24'''[br](3위) || 0.500 || 3.65 || 72 || 3 || 33 || 65 || 34 || 32 || 1.25 || ||<-2> '''[[KBO 리그|KBO]] 통산'''[br](5시즌) || 251 || 286⅓ || 12 || 10 || 1 || 41 || 0.545 || 3.90 || 293 || 19 || 107 || 218 || 133 || 124 || 1.31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명신, version=341)] [[분류:김명신]][[분류:야구선수/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