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독립운동가, rd1=김상률(1923))] ||<-5> {{{+1 [[대통령비서실|[[파일:청와대 흰색 로고.svg|height=40]]]] [[대통령비서실|{{{#ffc224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ffc224 '''교육문화수석비서관'''}}}]]}}} || ||<-5> [[박근혜 정부|{{{#ffffff '''박근혜 정부'''}}}]] || || 2대[br][[송광용]] || → || ''' 3대[br]김상률 ''' || → || 4대[br]김용승 || ||<-2> '''박근혜 정부 제3대 대통령비서실 교육문화수석비서관[br]{{{+1 김상률}}}[br]Kim Sang-yul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mage/003/2014/11/18/NISI20141118_0010361738_web_99_20141118143203.jpg|width=100%]]}}} || ||<|2> '''출생''' ||[[1960년]] [[3월 12일]] ([age(1960-03-12)]세) || ||[[서울특별시]] || || '''학력''' ||대일고등학교 {{{-2 ([[졸업]])}}}[br][[한양대학교]] {{{-2 (영어영문학 / [[학사]])}}}[br][[한양대학교]] 대학원 {{{-2 (영어영문학 / [[석사]] · [[박사]])}}}[br][[뉴욕 주립대학교 버팔로|뉴욕 주립대학교 버팔로대학원]] {{{-2 ([[박사]])}}} || || '''경력''' ||[[숙명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부 교수[br]숙명여자대학교 사회봉사실장[br]숙명여자대학교 대외협력처장[br]국립도서관 자문위원[br]한국대학교육협의회 국제분과위원장[br]한국대학국제교류협의회 회장[br][[대통령비서실]] 교육문화수석비서관 {{{-2 ([[박근혜 정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교수]]. 前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 행적 == [[1960년]] [[3월 12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1979년, [[대일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84년 [[한양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1986년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찰스 디킨스]]의 사회관을 연구한 석사 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1143847|Dickens의 이상적인 사회관 : Bleak house와 little Dorrit를 중심으로]]」으로 [[영어영문학]] [[석사]] 학위를, 1997년 8월에는 동 대학원에서 「[[http://www.riss.kr/link?id=T2981840|Ralph Ellison의 탈식민지적 상상력]]」이라는 박사 학위 논문으로 영어영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으로 유학하여 1999년 [[뉴욕 주립대학교 버팔로|뉴욕 주립대학교 버팔로 대학원]]에서 「[[http://www.riss.kr/link?id=T8444223|The Postcolonial Wright : W/ri(gh)ting Violence in His Early Works]]」(탈식민 지식인 리처드 라이트 - 폭력의 글쓰기)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 논문은 미국 흑인문학과 폭력에 관해 다룬 것이었다. 2000년 3월 [[숙명여자대학교]]의 교수로 임용된 후, 2003~2007년 숙명여자대학교 사회봉사실장, 2008~2012년 숙명여자대학교 대외협력처장을 역임했다. 그 외에 국립도서관 자문위원, 한국대학국제교류회 회장, 한국 풀브라이트 동문회 부회장, 유엔협회세계연맹 상임고문, 한국비평이론학회 부회장 등을 맡았다. [[2014년]] 11월 [[청와대]] 대통령 비서실 교육문화수석에 임용되었다. 정치성향상 오히려 진보쪽에 가까운 인물이었는데, [[박근혜]] 정부의 청와대 수석비서관으로 갑자기 발탁되어 당시 [[새누리당]]에서도 뒷말이 있었다. 2014년 12월 3일 새누리당 [[심재철]] 의원은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김상률 수석을 향해 "지금처럼 어물쩍거릴 거면 당장 사퇴하라"고 일침을 가하기도 했다.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100&key=20141203.99002110248|#]] 2017년 7월 30일, 숙명여대 인사위원회에서 [[김소영(정치인)|김소영]]과 함께 직위해제 당했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04844.html|#]] 2017년 12월 10일,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건에 유죄 판결을 받아 결국 교수직에서 해임되었다. 숙명여대는 11월경 징계위원회를 열어 김상률, 김소영 교수를 해임하기로 의결하고 사립학교법에 따라 해임한 것으로 전해졌다. [[https://www.yna.co.kr/view/AKR20171209044400004|#]] == 정치 성향 == 2005년 탈식민주의 시각에서 미국문화를 비판한 ‘차이를 넘어서’라는 책을 발간했다. 이 책에서 “'''북핵'''은 열강에 에워싸여 있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를 고려할 때 민족 생존권과 자립을 위해 약소국이 당연히 추구할 수밖에 없는 '''비장의 무기'''일 수 있다.”라고 썼다. “진짜 9.11 테러범들이 누구인지 아직 오리무중이지만, 그들은 끔찍한 테러의 결과가 미국인들을 단결시킬 것을 예상하고 선택한 것처럼 보인다.”라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9.11 테러와 관련된 미스테리]] 문서 참조. 2006년에는 [[KTX 여승무원 비정규직 사태]]와 관련하여 정규직 전환을 촉구하는 KTX 여승무원의 투쟁을 지지했다. 2013년 11월에는 논설위원으로 있던 한국대학신문에 “[[등록금]] 문제를 대학과 시장에만 맡기면 고등교육의 미래가 없다.” “언론사 대학평가는 대학을 순위경쟁에 매몰케 해 살벌한 경쟁의 도가니로 몰아간다.”는 논설을 기고했다. 언론사 대학평가는 우리 고등교육 현실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서구식 평가 잣대로 서열화해 대학의 본질을 왜곡하고 기형화하고 있다는 비판을 한 것. 한겨레신문에 기고한 ‘[[위대한 개츠비]]’ 관련 글에서는 피츠제럴드가 미국 소비자본주의의 파국을 예언했고 루카치의 낭만적 반자본주의의 이상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 연구영역도 에드워드 사이드 등 탈식민주의, 미국 흑인·소수자 문학 등 비주류 분야에 집중돼 있었으며, 비슷한 시각을 가진 국내 학자 10명과 함께 <에드워드 사이드 다시 읽기-오리엔탈리즘을 넘어 화해와 공존으로>(2006년)라는 책을 펴냈고, 발레리 케네디 터키 빌겐트대 교수의 <오리엔탈리즘과 에드워드 사이드>(2011년)라는 책을 번역하기도 했다. 이런 정치성향을 갖고 있었으면서도 박근혜 정부의 청와대에 수석비서관으로 들어갔다니 실로 [[아이러니]]한 일. 그러나 [[박근혜 정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사태]]의 핵심 주도인물로 활약함으로써 좌파적 정치성향에 대한 내부의혹에서 많이 벗어났다. 특히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관련 교육부의 TF팀 구성에 관여하는 월권을 저질렀는데, 이로 인해 야당에서는 비판을 받았지만, 보수진영으로부터는 반대로 신임을 받게 되었다. == 가족관계 == 부인 오경희 여사와 2남이 있다. == 논란 ==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관련 의혹 === 박근혜 정부 비선실세 중 1인인 [[차은택]]의 외삼촌. [[숙명여자대학교]] [[교수]]로 재직중에 2014년 11월 갑자기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으로 발탁되었다. 청와대 수석비서관으로 재직중에 각종 비리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2016년 10월 24일, 외조카가 [[차은택]]이라서 교육문화수석에 발탁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조선일보]]에 의해 제기되었다. 2014년 8월 차은택이 박근혜 정부의 문화융성위원으로 위촉된지 석달만에 청와대 수석비서관으로 들어갔다는 것. 게다가 청와대에 들어간 후에는 [[최순실]]과 차은택이 교육계와 문화체육계에서 각종 이권을 주무르는 데 [[김종덕]]과 함께 적극 협조했다는 의혹 역시 제기되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0/24/2016102400288.html|#]] 그 후 2016년 10월 27일자 [[한겨레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실제로 [[최순실]]의 실소유 회사인 [[더블루K]]의 사업추진과정에 [[안종범]]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김종]]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등과 함께 깊이 관여한 정황이 포착되었다고 한다.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767680.html?_fr=mt2|#]] 그 외에도 최순실-차은택의 국정농단과 여러 비리에 깊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특검팀에서 청구한 구속영장은 기각되었다.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7/01/26999/|#]] [[파일:8c0c160540f48daac51d18cd0ce6f867.png|width=4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재판 ==== 2017년 7월 27일, 1심 선고공판에서 [[징역]] 1년6개월을 선고받았다. 김상률은 불구속상태에서 재판을 받았으나 이날 선고 후 법정[[구속(형사절차)|구속]]이 되었다. 2018년 1월 23일, 항소심에서도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28971.html|#]] 2018년 7월 28일, 구속 기간 만료로 석방되었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56388.html|#]] 2020년 1월 30일, 대법원은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에 관한 법리오해와 그로 인한 심리미진으로 해당 사건을 파기환송했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26201.html|한겨레]]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근혜-최순실 게이트/재판/김기춘·조윤선·김상률·김소영)] === 아내의 숙명여대 초빙교수 임용 관련 의혹 === 2016년 8월에는 부인 오경희가 숙명여대의 초빙교수로 임용되었다. --부부가 모두 숙명여대 교수가 됐네-- 그런데 이때 김상률의 아내 오경희를 숙대 교수로 추천한 사람은 [[미르재단]] 이사인 송혜진 국악방송 사장인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숙명여대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음악과 교수였던 송혜진은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 의해 국악방송 사장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그 후임으로 김상률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의 아내인 오경희가 송혜진의 추천으로 숙명여대에 들어간 것. 국악계의 한 인사는 “송 교수가 국악방송 사장으로 가는 대신 김 전 수석의 부인을 교수로 밀어준 것 아니냐는 의혹이 많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송 사장은 오경희를 후임 교수로 추천하기 1개월 전인 2016년 7월 해당 학과의 겸임교수로 활동해 온 양승희 씨(68·가야금 산조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에게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양 씨는 2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2013년부터 이 학과에서 겸임교수로 일했는데, 7월 당시 유일한 전공주임 교수인 송 교수가 갑자기 ‘학교에서 이만 나가주셨으면 좋겠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했다”고 말했다. 국악계에서는 [[인간문화재]]급을 밀어내고 이수자인 오 씨를 교수로 앉힌 것은 이례적이라는 반응이다. 중요무형문화재 전승 체계는 크게 ‘보유자(인간문화재) - 전수교육조교 - 이수자’ 순으로 돼 있다. 보유자는 해당 예술 분야의 최고 권위자이고, 이수자는 보유자와 전수교육조교로부터 3년 이상의 이수 기간을 거친 뒤 이수시험을 통과한 사람이다. 이에 대해 문화계의 한 인사는 “최순실-차은택 라인의 농단이 문화와 스포츠 분야뿐 아니라 대학과 순수예술계까지 뻗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http://news.donga.com/Main/3/all/20161103/81141337/1#csidxfcc586bd4b9608e988498700a6ed792|#]] == 둘러보기 == [include(틀: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분류:문학 교수]][[분류:박근혜-최순실 게이트/관련 인물 및 단체]][[분류:1960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박근혜 정부/인사]][[분류:수석비서관]][[분류:대일고등학교 출신]][[분류:한양대학교 출신]][[분류:숙명여자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