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712년 출생]][[분류:1791년 사망]][[분류:강릉 김씨]][[분류:조선의 문관]][[분류:영의정]][[분류:좌의정]][[분류:우의정]][[분류:소론]] [include(틀:역대 조선 영의정(영조-정조))] || '''{{{#f0ad73 김상철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조선 정승(영조-정조))] ---- [include(틀:소론)]}}}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영의정|{{{#fff 조선 영의정}}}]][br]충익공(忠翼公)[br]{{{+1 김상철}}}[br]金尙喆'''}}}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초상화 모음집_PS0100100100100505400000_0 (2).jpg|width=100%]]}}} || || '''출생''' ||[[1712년]] ([[숙종(조선)|숙종]] 38)|| || '''사망''' ||[[1791년]] ([[정조]] 18) (향년 79세) || ||<|6> '''재임기간''' ||'''{{{#fff 제198대 영의정}}}'''|| ||[[1776년]] [[1월 24일]] - [[1776년]] [[5월 6일]][br]{{{-2 (음력 [[영조]] 51년 12월 4일 - [[정조]] 즉위년 3월 19일)}}}|| ||'''{{{#fff 제200대 영의정}}}'''|| ||[[1776년]] [[9월 20일]] - [[1779년]] [[11월 7일]][br]{{{-2 (음력 [[정조]] 즉위년 8월 8일 - [[정조]] 3년 9월 29일)}}}|| ||'''{{{#fff 제202대 영의정}}}'''|| ||[[1780년]] [[2월 12일]] - [[1781년]] [[1월 29일]][br]{{{-2 (음력 [[정조]] 4년 1월 8일 - [[정조]] 5년 1월 6일)}}}|| || '''[[묘소|{{{#fff 묘소}}}]]'''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1리 산40-3 || || '''[[시호|{{{#fff 시호}}}]]''' ||충익(忠翼)|| || '''[[본관|{{{#fff 본관}}}]]''' ||[[강릉 김씨]]|| || '''[[자(이름)|{{{#fff 자}}}]]''' ||사보(士保)|| || '''[[아호|{{{#fff 호}}}]]''' ||화서(華西)|| || '''[[붕당|{{{#fff 붕당}}}]]''' ||[[소론]]|| || '''부모''' ||부친 - 김시혁(金始爀)[br]모친 - 이기정(李箕禎)의 딸|| || '''가족''' ||부인 - 이요흠(李堯欽[br]아들 - 김우진(金宇鎭)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의 [[문관]] 관료이고, 소론 출신 정치가이다. == 초상화 == 1781년에 정조는 신하들에게 집에 보관된 초상화를 가져오라고 명한 적이 있었는데 김우진은 자신의 아버지 김상철의 초상화를 가져왔다. 정조는 신하들이 가져온 초상화를 보고 비율도 맞지 않고, 얼굴도 사실적이지 않는 등 너무 못그렸다고 말하였는데, 서양인이 그린 김상철의 초상화를 보고는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고 서양식 유화기법이 정조의 눈으로 볼 때도 마음에 들었기 때문이다. 아쉽게도 김상철의 유화 초상화는 현재 남아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