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김서현의 2024 시즌, rd1=김서현/선수 경력/2024년)]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김서현(동명이인))] [include(틀:한화 이글스/간략(투수))] ||
'''{{{#fff 김서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화 이글스 역대 1차 지명선수)] ---- ||
'''{{{#fff 김서현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한화 이글스|{{{#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54번}}}''' || || [[임준섭]][br](2022) || {{{+1 →}}} || '''{{{#fff 김서현[br](2023~)}}}''' || {{{+1 →}}} || 현역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4_김서현.png|width=100%]]}}} || ||<-2> '''한화 이글스 No.54''' || ||<-2> '''{{{+2 김서현}}}[br]Kim Seohyeon''' || ||<|2> '''출생''' ||[[2004년]] [[5월 31일]] ([age(2004-05-31)]세) || ||[[충청남도]] [[천안시]][* 2살 때 서울로 이사를 갔다고 한다.]||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효제초등학교|서울효제초]] - [[자양중학교|자양중]] - [[서울고등학교 야구부|서울고]] || || '''신체''' ||188cm, 86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당초에는 [[오버핸드 스로]]였으나, 밸런스를 위해 스리쿼터로 바꿨다고 한다. 또한 [[스리쿼터]]와 더불어 [[사이드암]]으로도 던지는데, 두 투구폼에서의 릴리스포인트가 확실히 구별된다.][* [[다른손잡이|우투우타지만 왼손잡이이다.]] 입단 계약서에 서명을 할 때 왼손으로 서명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 '''프로 입단''' ||[[2023 KBO 신인 드래프트#s-3.1|2023년 1라운드]] (전체 1번, [[한화 이글스|한화]]) || || '''소속팀''' ||[[한화 이글스]] (2023~) || || '''연봉''' ||2024 / 3,300만원 {{{-2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000,#fff 10.0%↑ }}}}}}}}} || ||<-2>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3> '''가족''' || || '''부모''' ||[[아버지]], [[어머니]] || || '''형제자매''' ||누나, 형 [[김지현(야구선수)|김지현]]^^(1998년생)^^[* [[소래고등학교 야구부|소래고]] - [[인하대학교 야구부|인하대]] 출신으로 고양 위너스 소속 포수였으며, 2024년 [[SSG 랜더스]] 육성선수로 입단했다.] || }}}}}}}}} || ||<-2> [[https://www.hanwhaeagles.co.kr/PL/PC/PLPC02.do?&id=726&pcode=53754|[[파일:한화 이글스 심볼.svg|width=30]]]]{{{#000,#fff |}}}[[https://www.instagram.com/kim._.s._.h|[[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kimozzi_a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반려견 김서현의 반려견 '''김모찌'''의 계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화 이글스]]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선수 경력]] == ||<-2>
'''통합 선수 경력: [[김서현/선수 경력]]''' || ||<-2>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 [[김서현/선수 경력/2023년|'''{{{#fff 2023년}}}''']] || [[김서현/선수 경력#s-3.2|'''{{{#fff 2024년}}}''']] || ||<-2>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width=30]]]] || ||<-2> [[김서현/선수 경력#s-4.1|'''{{{#fff 2022년 (U-18)}}}''']] || ||<-2> '''{{{#fff 아마추어 경력}}}''' || || [[김서현/선수 경력#s-2.1|'''{{{#fff 자양중학교 야구부 시절}}}''']] || [[김서현/선수 경력#s-2.2|'''{{{#fff 서울고등학교 야구부 시절}}}''']] ||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edia_240209_072349.gif|width=100%]]}}}|| || 김서현의 포심 패스트볼 || || {{{-2 2023년 4월 19일 대전 [[두산 베어스|{{{#FFF 두산}}}]]전 [[이유찬(야구선수)|{{{#FFF 이유찬}}}]] 상대로 던진 '''158km/h'''[* 스포츠투아이 기준 157.9km/h, 트랙맨 기준 '''160.7km/h'''.] 포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서현스위퍼2.gif|width=100%]]}}} || || 스위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서현커브.gif|width=100%]]}}} || || 커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서현슬라이더.gif|width=100%]]}}} || || 슬라이더[*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상대 타자는 문종윤.] || KBO 리그 내에서 손에 꼽히는 파이어볼러이다. 상당히 낮은 팔각도의 스리쿼터로 [[페드로 마르티네스]], [[벤 조이스]]를 연상시키는 와일드한 투구폼을 가지고 있으며 테일링이 걸리는 패스트볼을 던지는 우완 로우 [[스리쿼터]] 파이어볼러이다. 트랙맨, 전광판 기준 최고 구속은 160.7km/h, 공식 KBO 기준으로는 158km/h이다. 주로 사용하는 구종은 패스트볼, 투심, 커브, 슬라이더, 체인지업이고 이외에도 여러 구종을 구사한다. 야구 예능 프로그램 [[최강야구]]에서 [[스플리터]]와 [[너클볼]]까지 다양한 구종을 던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패스트볼은 2023년 동안 평균 구속 151.7km/h로 리그 내에서 [[안우진]] 다음 2등이었으며, 로우 [[스리쿼터]] 횡적으로 무브먼트가 뛰어나 휘어들어가는 느낌을 준다. 하지만 회전수가 적어 직구의 구위는 좋게 쳐줘도 구속에 비해 나쁜 편이다. 공이 가다가 힘 없이 떨어지는 느낌이고, 맞으면 쭉쭉 뻗어나간다. 대개 사람들이 김서현의 변화구 차이에 대해 큰 어려움을 느끼곤 하는데, 김서현은 일반적인 슬라이더는 잘 구사하지 않는다. 위에 나온 구종설명 영상에 표기된 스위퍼 구종은 본인 말로는 빠르게 던지는 커브로, 커브치곤 횡적 무브먼트가 크고 구속이 빠르기에 KBO에 공식적으로 슬라이더라 표기되는 것이다. 주로 135~140km/h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커브라 표기되어있는 것은 본인이 느리게 던지는 커브로, 주로 카운트를 잡을 때 사용한다고 한다. 하지만 같은 그립에 힘만 다르게 주어도 무브먼트가 빠른 커브와 비슷하기에, KBO에 공식적으로 슬라이더로 표기된다. 주로 129~132km/h에서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위에 표기된 슬라이더 영상은 본인이 직접 슬라이더그립으로 슬라이더를 던진 투구영상이다. 앞서 상술했듯이 본인은 슬라이더를 잘구사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리고 체인지업도 실전에서 간간히 사용하는데, 빠른 공을 던지는 투수이기에 체인지업의 구속이 140km/h 이상 나온다. 체인지업 최고 구속은 149km/h. 단점이라면 크게 두가지인데, 와일드한 투구폼, 일정치 않은 투구폼과 그에 따른 제구 문제. 와일드한 김서현 특유의 투구폼이 타자가 김서현이 던질 공을 간파할 수 있다는 부분이 일각에서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투구마다 팔각도가 다르다 보니 투구 밸런스가 정립이 되지 않아 [[볼질]]이 늘어나고 있으며[* 어떤 공에는 스리쿼터로 던지다가, 어떤 공에는 갑자기 오버핸드까지 끌어올리고, 어떤 공은 갑자기 사이드암에 가깝게 던지기도 한다. 팔각도 자체도 일정하지 않는데 문제는 팔각도에 따른 투구폼마저 일정치가 않다. 한구 한구의 투구폼이 계속 달라지다 보니 투구 밸런스를 잡지 못 하고 있는 것.], 이로 인해 2023년 중후반 2군에서 지속적으로 교정을 하게 되었다. 그런데 2024년부터 제구력은 작년과 다를 바 없고 '''패스트볼 최고 구속이 150km/h를 넘기지 못 하고 있다.''' 그후 2군에서 교정을 통해 구속은 회복했지만 본인이 계속해서 투구폼을 바꾸는 것을 시도해 제구 자체가 안잡히고 있다. == 논란 및 사건 사고 == === 인스타그램 비밀 계정 뒷담화 논란 === [include(틀:토론 합의, this=문단, 토론주소1=FancyRomanticDangerousPoison, 합의사항1='인스타그램 비밀 계정 뒷담화 논란' 문단을 신설하여 전개 형식으로 서술하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teAJxOi6eg)]}}} || || 김서현 인스타그램 비밀 계정 뒷담화 논란 관련 뉴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r50qzTc4xg)]}}} || || 훈련장을 떠나는 김서현 || ---- 2023년 2월 6일 악질 사이버 렉카인 [[피칭 애널리스트]]가 김서현의 인스타그램 비밀 계정을 공개했고, 해당 계정에서 코치진 그리고 팬을 향한 욕설[* 등번호와 관련하여 "[[남지민|선배]]의 등번호를 뺏으려 한다"는 팬들의 반응에 대한 비난이 공개됐다.] 등 뒷담화를 폭로하면서 야구계 커뮤니티 사이에서 논란이 됐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56/0000041880?sid=102|#]] 결국 2월 7일부터 10일까지 나흘간[* 9일은 휴식일이어서 사실상 3일간 징계] 훈련 금지와 벌금 500만원 징계를 받게 됐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19&aid=0002682402|#]] 이미 3개월 전 [[하주석]]이 음주운전 문제로 구단에 찬물을 끼얹었는데, 여기에 김서현마저 SNS 파문으로 다시 한 번 구단에 찬물을 끼얹었다. 더욱이 스포츠 팀은 프로와 아마추어를 불문하고 선후배 간의 위계질서가 매우 엄격한 집단이기 때문에 파문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또한 징계 당일부터 한화 이글스의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 좋아요를 누르는 등 SNS 활동을 하여 또 논란이 됐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21&aid=0006621827|#]]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cIDLn0FDlY)]}}} || || {{{#fff 김서현 공식 사과}}} || 이후 한국 시간 11일 김서현의 훈련 정지 징계가 끝나며 복귀했고, 공식 사과를 하며 마무리 됐다. 또한 모자에 '나를 도와주는 사람들을 챙길 것!' '성숙해지자! 반성하자!' '팀보다 위대한 선수는 없다' 등 여러 글귀를 적어 놓은 게 포착됐다. 복귀 후 첫 훈련에서 본인의 요청으로 불펜 피칭[* 정식 불펜 피칭을 실시한 건 아니다.]을 실시하여 짧게나마 13구를 던졌다. == 여담 == * 롤모델은 [[최동원]]이라고 한다.[* 예전에 [[선동열]]과 경기하는 모습을 영상으로 찾아봤는데,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투구를 하는 모습이 인상 깊어서 우상으로 삼게 되었다고.] 그래서인지 등번호도 11번이고, [[꽃가루 알레르기]] 때문에 눈을 보호하기 위해 낀 안경도 최동원이 생전에 꼈던 [[금테안경]][* 그것도 안경 가운데가 두 줄인 더블 브릿지인 것까지 똑같다. ]이다. 이후 드래프트에서 최동원이 투수코치와 2군 감독을 역임한 한화 이글스에 지명되었다.[* 최동원 감독이 한화에 재직하던 시절 [[류현진]]을 발굴해냈던 이력이 있어 한화 팬들은 최동원을 또 한 명의 레전드로 대우하기도 할 만큼 호의적이다. 이외에도 한화 구단은 최동원 감독의 사망 이후 롯데 구단이 장례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자 한화그룹 임직원의 상에 준하여 장례를 지원했던 바도 있다.] * 한화 입단 이후로는 한화의 레전드인 [[구대성]]을 롤 모델로 삼겠다고 밝혔다.[[https://naver.me/5Ywa4co6|#]] 구대성은 다른 레전드인 [[송진우(야구)|송진우]][* 통산 210승(리그 최다승)을 기록했다. 구대성이 전업 마무리로 자리 잡기 이전에는 선발과 마무리를 병행한 경력도 있으며 통산 103세이브를 기록하고 있다.]나 [[정민철]][* 통산 161승(리그 우완 최다승)을 기록했다.]과 다르게 커리어의 대부분을 [[마무리 투수]]로 뛴 선수로, [[https://naver.me/GperYsmW|"마무리 투수에 욕심이 있다"]]는 의견을 수 차례 피력한 것과 유관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데뷔 첫 해부터 마무리를 꿰찬 경우는 찾기 힘들다. 전설적인 마무리인 [[오승환]] 역시 데뷔 시즌에는 불펜과 마무리를 오갔으며 최근 최연소 세이브 타이틀을 모조리 갈아치우고 있는 [[정해영]] 역시 기존에는 선발 자원으로 분류하여 2군서 선발 수업을 받고 있다가 답없는 KIA 불펜진 덕에 데뷔시즌부터 주전 셋업맨에 이어 2년차에는 마무리를 맡을 인물이 없는 관계로 보직이 마무리로 옮겨진 특이 케이스다. [[카를로스 수베로]] 감독 역시 당장 마무리로 기용할 생각은 없다고 한다. 경험도 부족할 뿐더러 데뷔 첫 해인 만큼 무리시킬 생각은 없다고 밝혔으며 현재 마무리인 [[박상원(야구선수)|박상원]]이 잘 막아주고 있기에 한동안은 불펜에서 기용될 예정이라고 한다. 이와 별개로 마무리의 심장을 갖고 있다고 말해주기도 했다.] * 등장곡은 [[알로에 블랙]]의 MAKE WAY로 하고 싶다고 한다. 여담으로 이 곡은 [[삼성 라이온즈]]의 [[우규민]]의 등장곡이기도 하다. * 최강야구 출연 당시에는 [[뉴욕 메츠]]의 [[에드윈 디아즈]]의 등장곡이자 [[KIA 타이거즈]]의 용병인 [[소크라테스 브리토]]의 응원곡인 [[Blasterjaxx]] & [[Timmy Trumpet]]의 Narco가 등장곡으로 쓰였다. 참고로 고정 출연진 제외 투수 전용 등장곡을 최강야구에서 틀어준 것은 22시즌 당시 그가 유일하다. 23시즌에는 송원대학교 야구부 출신인 [[정현수(야구선수)|정현수]]가 이 곡을 등장곡으로 쓰고 있다. * 초등학교 시절에는 투구 폼이 정통 [[오버핸드]]였지만 자양중 시절 코치가 팔을 내리는 것을 추천했고 본인도 편하다고 판단해서 [[스리쿼터]]로 바꿨다고 한다. 또한 투심도 알려줬다고 한다. * 6살 위의 형 김지현도 야구선수로 포지션은 포수다. 어렸을 땐 김지현이 김서현의 피칭을 자주 받아줬다고 한다. 소래고, 인하대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나 프로 지명은 받지 못했으며 사회복무요원으로 병역을 마친 뒤 [[고양 위너스]]에 입단했고, 2024년 1월 [[SSG 랜더스]]에 육성선수로 입단하며 동생보다 늦게 프로에 입문했다. 아버지는 사회인 야구를 즐긴다고 한다. * 원래는 [[왼손잡이]]였다. 하지만 형을 따라 다니며 야구를 시작할 때 좌투 글러브가 없어서 우투가 되었다고 한다.[[https://youtu.be/Nz5c2195-n8?t=345|#]][* 보통 투수는 왼손잡이가 더 유리하기 때문에 왼손잡이가 우투로 시작하는 경우는 잘 없다.] 왼손으로도 꽤 멀리까지 던질 수 있는데 서울고 운동장 외야 펜스에서 홈까지 정확하게 던질 수 있다고 하며 구속도 120km/h 정도가 나왔다고 한다. * [[심준석]]과 같은 팀에서 뛴 적이 없어 친분은 없으나[* 심준석이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수원에서 다녔기에 접점 자체가 없었다.] 주위에서 라이벌 구도를 계속 이야기하자 심준석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고 심준석이 먼저 SNS를 팔로우했는데, 받아줬다고 한다. * [[리그 오브 레전드]]와 [[발로란트]]를 플레이한다고 밝혔다. 롤은 브론즈 티어.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3643996&memberNo=7809682|#]] * [[MBTI]]는 [[ENFJ]]이다. * 김모찌라는 강아지를 키운다. 견스타 아이디는 [[앙 기모찌|@kimozzi_ang]]으로, 품종은 [[포메라니안]]이다. * 프로야구에 오면 가장 친해지고 싶은 선배로 [[문동주]]를 꼽았다. * [[야구의 참견]]에 출연해 양자택일을 진행했는데, [[선발 투수]]로서 10승과 마무리 투수로서 30[[세이브(야구)|세이브]] 중, 마무리 투수로 [[세이브(야구)|세이브]]를 선택했다. 그 이유는 팀이 30번 승리했기 때문이라고 하며 팀을 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 야구 게임 마구마구 모바일 버전 닉네임이 '독랑해이글스' 이다. * 2022년 [[유희관]]이 [[이영미(기자)|이영미]]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최강야구]] 팀과 회식했을 당시 유희관에게 "홈런 맞으면 기분이 어때요?"라는 질문을 한 적 있다고 한다. 심지어 유희관이 물어보니 대화를 나눴을 당시까지 야구를 해오며 여지껏 피홈런을 한 번도 기록해본 적이 없다고. 이에 유희관은 "앞으론 맞을 일이 많을 것이다. 홈런을 맞았을 때 극복할 수 있고,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되는 선수가 돼야 한다." 라며 "홈런을 맞은 뒤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프로에 가선 많이 맞을 것이며, 배울 것도 많을 것."이라고 답해주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OLzuYp0nMNc&ab_channel=%EC%8D%B8%ED%83%80%EC%9E%84%EC%A6%88Ssumtimes|영상]] * 2023년 4월 8일 두산 퓨처스와의 경기에서 [[홍성호(야구선수)|홍성호]]에게 인생 첫 피홈런을 맞았다. * 프로 시절 첫 번째 등번호로 54번을 선택했는데, 아마추어 시절의 롤 모델이었던 [[최동원]]의 11번은 [[남지민]]이 달고 있어 프로에 지명되지 못한 같은 학교 친구이자 좌완 투수인 [[전다빈]](동의대 진학 → 중퇴 → 홍익대에 다시 입학)의 번호를 골랐다고 한다.[* 재미있게도, 54번으로 유명한 [[양현종]] 역시 친구 [[이준수(야구선수)|이준수]]의 번호였기 때문에 54번을 택했다.] * 팬서비스가 매우 좋다. 경기 끝나고 특별한 일 없으면 모든 팬들에게 싸인을 해주고 간다. 3시간동안 싸인을 해주고 간 적도 있다. * 등판 직후 연습투구 직후 본 투구를 시작하기 전 모자를 벗고 잠시 기도하는 루틴이 있다. 아마추어때부터 있던 루틴은 아니고 프로에 와서 생긴 루틴인듯. * 정치인 [[송영길]]과 닮았다는 이유로 해외야구 갤러리에서는 칰트남이라 부른다. * 상당한 [[노안]] 외모를 소유하고 있다. * 일본어를 잘하는 편이다. 무엇 때문에 잘하는 지는 불명 입단 동기인 [[문현빈]], [[이민준(2004)|이민준]]이랑 찍은 구단 유튜브에서 일본어로 혼자 주문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6Xoq_2NGSU|영상]] * 유튜버 [[산디(유튜버)|산디]]의 [[컴투스프로야구V24]] 무과금 한화덱을 받았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2004년 출생]][[분류:2023년 데뷔]][[분류:천안시 출신 인물]][[분류:자양중학교 출신]][[분류:서울고등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한화 이글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