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민의힘 당협위원장/경기도)] ---- ||<-2> {{{#ffffff '''제3·5대 경기도 안산시의원[br]{{{+1 김석훈}}}[br]金石熏'''}}}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석훈.jpg.jpg|width=100%]]}}}|| ||<|2> '''{{{#FFFFFF 출생}}}''' ||[[1959년]] [[10월 15일]] ([age(1959-10-15)]세) || ||[[경상북도]] [[예천군]] || || '''{{{#FFFFFF 학력}}}''' ||[[경기대학교]] {{{-1 (청소년학 / 학사)}}} ||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FFFFFF 현직}}}''' ||[[안산시 상록구 갑]] [[당협위원장]] 약자와의동행 경기도 본부장 [br][[국민의힘]] 중앙위원회 지방자치지원단장|| || '''{{{#FFFFFF 약력}}}''' ||안산미래발전운동본부 대표 [br][[국민의힘]] 국민통합위원회 산하 안산시 조직강화위원장 [br][[국민의힘]] 경기도당 일자리창출혁신위원장 [br][[한나라당]]/[[새누리당]] [[안산시 단원구 갑|안산시 단원갑]] [[당협위원장]] [br]제5대 안산시의회 의장(전반기) [br]아시아 융복합 공동창업지원센터 추진위원장 [br][[새누리당]] [[중앙당]] 부대변인 [br][[새누리당]] [[중앙당]] 재정위원회 재정위원 [br][[여의도연구소]] 정책자문위원 [br][[새누리당]] 경기도당 부위원장 [br]제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취임준비 자문위원 [br][[새누리당]] 중앙위원회 외교통상분과 부위원장|| || '''{{{#FFFFFF 링크}}}''' ||[[https://blog.naver.com/hunhunansan|[[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3]]]] [[https://www.instagram.com/ansan_seokhu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https://www.facebook.com/hunhunansa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https://www.youtube.com/channel/UC39nTX3SAaaN2O8NugqBFr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 정치 입문 전 == 1959년 10월 15일 [[경상북도]] [[예천군]]에서 태어났다. 시골에서 태어나 농사와 농산물 유통을 하던 부친 덕분에 윤택한 시절을 보냈으나, 중학교 3학년 무렵 부친의 사업 실패로 가세가 기울게 되면서 고등학교 진학을 포기하고 대구 직업훈련원을 선택했다. 중학교를 졸업한 뒤 대구 직업훈련원을 1년 만에 마친 뒤 18살에 취업을 하여 청소년 노동자가 되었다. 속칭 '마찌코바(まちこうば)'라고 불리는 작은 공장에서 일을 시작했으나 1년 만에 부도가 났고 이후 포항의 강원산업에서 근무했다. 이후 현대양행에서 근무를 하면서 실력을 인정받아 삼천포 화력발전소 실립 공사의 감독관으로 발탁됐다. 현대양행에서 8년간 근무하다 퇴직하여 슈퍼마켓 사업을 시작하였고, 이후 공장 근처에서 옷가게를 운영하기도 했다. 옷가게를 정리한 뒤에는 1987년 안산에 자리를 잡아 외국 바이어들을 위해 차가 필요한 회사를 상대로 렌터카를 대여하는 사업을 시작해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냉난방 사업, 자동차 매매단지 사업 등을 벌였다. == 정치 입문 == 안산에 정착하여 안산청년회의소(JC)에 가입하고 봉사활동을 시작했다. 독거 노인들에게 쌀과 김치를 전달하고 심장병 어린이를 돕기 위한 성금마련 행사, 결식아동을 위한 무료급식 자원봉사, 경로당을 방문하여 어르신들의 말벗이 되어드리는 등의 봉사활동을 8년간 하면서 자원봉사의 한계를 느끼고 정치 입문을 결심했다. 1995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시의원으로 출마, 116표 차이로 낙선했으나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다음 선거]]에서 시의원에 당선되어 의정활동을 시작했다. 2006년에는 안산시의회의 의장(전반기)에 당선되어 시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 의정활동 == 안산시 로봇랜드 유치를 위한 범시민추진위원회 결성, 화정천 생태화 조성사업을 위한 예산 500억 유치, 석수골 역사유치, 전국 최초 110번 광역버스 노선 신설, 사사2동 경로당 리모델링, 와동 기와골 경로당 신축 등이 있다. 이 중 안산시 로봇랜드 유치를 위한 범시민추진위원회 결성에 공을 들여, 시화·반월산업단지 구조고도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실행방안으로 4차 융복합산업인 '로봇랜드' 유치를 위해 노력, '로봇랜드 범시민추진위원회' 상임위원장을 맡아 25만 여명의 서명을 받으며 경기도 대표도시로 선정되었다. 친환경 조력발전소 건립에도 힘을 쏟아 현재 가동되고 있는 동양 최대규모의 시화조력발전소라는 결과를 보았다. 환경오염도시로 낙인 찍힌 안산시가 친환경 도시의 면모를 갖추도록 하는데 공을 들였는데, 이는 최근 트렌드인 ESG와도 맥이 닿아있다. == 논란 및 사건사고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산시장 후보 추천자로 단수 추천됐는데, 경기도당 당협위원장이 타 당협위원장들과 '협의해 다른 의견 없다'는 식의 꼼수를 이용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해당 지역에서는 사실이 아니라는 의견을 냈고, 공관위는 이를 받아들여 '여론조사' 경선 지역으로 공천결과가 번복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에선 후보 공천에 대해 서로 협의도 없었고, 오히려 '경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많았는데 특정 후보가 '단수'로 추천된 것이라며 발끈하고 있다. 이에 중앙당 공관위는 재심 요구를 인용, 복수로 경선하라는 지침을 도당에 내려보냈다.[[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20428010005657|#]]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59년 출생]][[분류:예천군 출신 인물]][[분류:경기대학교 출신]][[분류:경기도의 기초의회의원]][[분류:무소속 기초의회의원]][[분류:한나라당 기초의회의원]][[분류:국민의힘 소속]][[분류:예천군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