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旋 ?~209년 [목차] [clearfix] == 개요 == [[후한]] 말의 무릉태수이자 [[자(이름)|자]]는 원기(元機)로 옹주 경조군 두릉현 사람. [[김의]]의 아버지. == [[삼국지(정사)|정사]] == <무제기>에 주석으로 달린 삼보결록주에 따르면 대대로 한의 신하였다. 선조인 [[김일제]]가 망하라(莽何羅)를 토벌한 이래 충성이 뚜렷이 드러나 있고 누대에 걸쳐 명분과 절의를 드러냈다. <선주전>에 주석으로 달린 <삼보결록주>에 따르면 황문랑, 한양태수를 역임하고 수도로 불려와 의랑에 임명되었다. 중랑장 영 무릉태수로 승진했다가 [[유비]]에게 공격받아 죽임을 당했다. <선주전>에 따르면 유비는 표를 올려 [[유기(삼국지)|유기]]를 형주자사로 삼고 또한 남쪽으로 4군을 정벌했다. 무릉태수 김선, 장사태수 [[한현]], 계양태수 [[조범]], 영릉태수 [[유도(삼국지)|유도]]가 모두 항복했다. <삼보결록주>에서는 유비에게 죽임을 당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선주전>에서는 김선이 항복했다고 적혀 있어서 기록이 대치된다. 만약 김선이 유비에게 죽임을 당한 게 사실이라면, [[조조]]에 대항해 난을 일으키고 남으로 유비를 돕고자 했다는 기록이 있는 김선의 아들 [[김의]]는 부친의 원수를 돕고자한 패륜아가 된다. 이래서 [[삼국지집해]] 편저자 노필은 본전인 <선주전>쪽이 더 맞다고 보았다. == [[삼국지연의|연의]] == [[적벽대전]] 이후에 유비군의 공격을 받는데, [[공지]]가 말리는 것을 듣지 않고 출진하지만 [[장비]]에게 패했다. 패한 김선은 다시 성으로 돌아가려 하지만 공지가 성문을 닫아버리고 공지의 지시를 받은 병사들의 화살에 맞아 사살되었다. == 이름 논란 == 인물 자체의 중요도보다 [[대한민국|한국]]의 [[삼국지]] 팬덤에서 [[중국]]의 성씨인 쇠 금/김(金)을 금으로 읽을지 김으로 읽을지 떡밥을 던져주는 인물이다. [[한국인]]이 아닌 [[중국인]]이니, 금선으로 표기되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한국에서 그의 조상인 [[김일제]], 후대의 비평가 김성탄, 소설가 [[김용(1924)|김용]][* 김용은 필명으로 김씨가 아니다.]을 김씨로 읽고 있으니 김선으로 읽는 것이 옳다는 의견도 있다. == 미디어 믹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선/기타 창작물)] [각주] [[분류:후한의 인물]][[분류:한나라의 관료]][[분류:209년 사망]][[분류:살해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