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3대 국회의원/충청북도)] [include(틀:제4대 국회의원/충청북도)] [[파일:external/rokps.or.kr/505.jpg|width=150]] 金善佑 [[1915년]] [[6월 8일]][* 음력 4월 26일.] ~ [[1987년]] [[6월 1일]][*1 안타깝게도 생일 1주일전에 생을 떠났다...]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은 [[광산 김씨|광산]](光山)[* 양간공파-판군기감사공파 40세 선(善) 항렬이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52089&cid=46649&categoryId=46649|김만증]]의 11대 종손이다. 동일 연령대의 광산 김씨 인물 중에서 항렬이 매우 낮다. '''45년 연하'''의 전 시장 [[김성제(정치인)|김성제]]가 '''7대조''' 뻘이다.], 자는 우보(祐補)이며, 호는 오산(午山)이다.[* 다음은 출처 사진이다. [[파일:김선우 족보 1.png]]] == 생애 == 1915년 6월 8일 [[충청북도]] [[보은군]] 내북면에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52089&cid=46649&categoryId=46649|김만증]]의 10대 종손인 아버지 김시중(金時中, 1895. 1. 16 ~ 1944. 3. 2)과 어머니 [[한산 이씨]] 이복여(李馥汝, 1890. 9. 29 ~ 1953. 8. 16)[* [[목은 이색]]의 후손으로, 이완구(李完求)의 딸이다.] 사이의 3남 4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조부는 김만증의 9대 종손인 김용직(金容直, 1865. 5. 30 ~ 1939. 10. 21)이다. 보은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중앙여객자동차회사 [[사장]]을 지냈다. [[8.15 광복]] 이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보은군 부지부장, [[대동청년단]] 중앙집행위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청년당]] 후보로 충청북도 보은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대한국민당]] 최면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최면수 대신 [[자유당]] [[공천]]을 받아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자유당 중앙당 조사부 [[차장]]을 지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1955년)|민주당]] [[박기종]]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1년 [[3.15 부정선거]] 가담을 이유로 반민주행위자공민권제한법에 의해 공민권이 제한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자유민주당(1963년)|자유민주당]]에 입당하였다가 탈당하였다. 해당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충청북도 보은군-[[옥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육인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민중당(1965년)|민중당]], [[신한당]], 신민당에 몸담았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1967년)|신민당]] 후보로 충청북도 보은군-옥천군-[[영동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육인수]] 후보와 친야 [[무소속]] [[이용희(1931)|이용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7년 6월 1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서울)|신촌동]] [[세브란스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묘는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용암리에 있다.[* 다음은 출처 사진이다. [[파일:김선우 족보 2.png]]][[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706010020921101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7-06-01&officeId=00020&pageNo=11&printNo=20202&publishType=00020|#]] 후손으로는 아들 김성순(金性淳), 김상순(金相淳), 김석순(金錫淳), 김재순(金載淳), 김일순(金一淳) 손자 김동재(金東宰), 김동익(金東益), 김동우(金東祐), 김동표(金東杓), 김대현(金大鉉) 증손자 김주환(金周煥), 김윤한(金侖煥), 김지환(金智煥)이 있다.[* 다음은 이하 출처 사진들이다. [[파일:김선우 후손 명단 1.png]][[파일:김선우 후손 명단 2.png]][[파일:김선우 후손 명단 3.png]][[파일:김선우 후손 명단 4.png]][[파일:김선우 후손 명단 5.png]]] [[분류:제3대 국회의원]][[분류:제4대 국회의원]][[분류:자유당 국회의원]][[분류:보은군 출신 인물]][[분류:광산 김씨]][[분류:1915년 출생]][[분류:1987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