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역대 국방부장관)] ---- || {{{#fff '''김성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태극무공훈장)] ---- [include(틀:군정 내각의 국무위원)] ----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재향군인회 회장)] ---- [include(틀:군사혁명위원)] ---- [include(틀: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1e31, #ec1e31 20%, #ec1e31 80%, #ec1e31)" '''[[대한민국 국방부장관|{{{#fff 대한민국 제15대 국방부 장관}}}]][br]{{{#fff {{{+1 김성은}}}[br]金聖恩 | Kim Sung-eu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성은 국방부 장관.jpg|width=100%]]}}} || ||<|2> '''출생''' ||[[1924년]] [[12월 20일]] || ||경상남도 [[창원시|창원군]] 상남면 가음정리[br](現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가음정동]])[* 인근의 불모산동과 함께 [[김해 김씨]] 집성촌이다.] || ||<|2> '''사망''' ||[[2007년]] [[5월 15일]] (향년 84세)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장군 제1묘역 38호 || || '''본관''' ||[[김해 김씨]] || ||<|4> '''재임기간''' ||제4대 해병대사령관|| ||[[1960년]] [[6월 25일]] ~ [[1962년]] [[7월 1일]]|| ||제15대 국방부 장관 || ||[[1963년]] [[3월 16일]] ~ [[1968년]] [[2월 27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형제자매''' ||동생 [[김효은(경찰)|김효은]] || || '''학력''' ||[[하얼빈공업대학|하얼빈 농업학교]] {{{-2 (중퇴)}}} [br][[육군보병학교|조선경비보병학교]] {{{-2 (졸업)}}} [br][[육군대학]] {{{-2 (졸업)}}} [br][[국방대학교]] {{{-2 (행정학사 / 1기)}}} [br]국방대학교 대학원 {{{-2 (행정학사 / 1기)}}} || || '''종교''' ||[[개신교]] {{{-2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예장통합]])}}}[* 예편 후 [[서울특별시|서울]] [[신당동(서울)|신당동]]의 신일교회에 출석하였다.] || || '''경력''' ||제15대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 장관]][br]초대 해병대전우회 총재 || ||<-2> '''군사 경력''' || || '''임관''' ||[[해군사관학교]] {{{-2 (1기)}}} || ||<|4> '''복무''' ||[[대한민국 해군]] || ||1946년 ~ 1949년 || ||[[대한민국 해병대]] || ||1949년 ~ 1962년 || || '''최종 계급''' ||중령 {{{-2 (대한민국 해군)}}}[br]중장 {{{-2 (대한민국 해병대)}}} || || '''주요 보직'''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해병대사령관]] || || '''참전''' ||[[6.25 전쟁]]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군인]]. [[대한민국 국방부]] 역사상 '''최연소'''[* 임명 당시 39세였다.], '''최장 재임'''[* 재임기간 약 5년. 정확히는 59개월(1963년 3월~1968년 2월).] [[국방장관]] 기록을 갖고 있는 인물이다. == 생애 == [[1924년]] [[12월 20일]] [[경상남도]] [[창원시|창원군]] 상남면 가음정리(現 창원시 성산구 가음정동)에서 태어났다. [[1946년]]에 [[조선해안경비대]]에 입대해 [[소위]]로 [[임관]]했고 [[1949년]]에 [[대한민국 해병대]]가 창설된 후, 초대 사령관 [[신현준(군인)|신현준]]의 권유를 받아들여 해병대의 창설 멤버가 되었다. [[1950년]] [[6.25 전쟁]] 초기 [[대대]]급 규모에 불과했던 [[대한민국 해병대]]를 야전에서 진두지휘했으며, 마산 진동리 전투와 통영상륙작전 등 여러 초기 전투에서 해병대의 승리를 이끌었다. 1960~1962년 제4대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해병대사령관]]을 지냈는데, 그의 재임 중인 [[1961년]] [[5.16 군사정변]]이 발생했다.[* 당시 해병대에서도 대대급 부대가 한강 대교에서 헌병과 총격전을 벌이는 등 가담했지만, 김성은 본인은 5.16에 동참하지 않고 오히려 군인으로서 중립을 지켜 쿠데타 군부에게 살해당할뻔 하기도 했다.] 이후 1963~1968년 5년 동안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장관]]을 역임하며 [[베트남 전쟁]] [[파병]] 등의 실행을 맡았다. 그러나 [[1.21 사태]](일명 김신조 사건) 직후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 현재로서는 유일한 해병대 출신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장관]]으로 기록되어 있다. 월남전 파병전 미국 국방부 장관과 회담을 통해 한국군 파병기간동안 군원물자이관 중지, 한국 경제개발지원금 원조(KIST 설립) 등의 회담결과를 얻어냈다.[* 출처 : [[KBS]] [[역사스페셜]] '월남파병 박정희의 승부수'였다.] [[1987년]]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해병대사령부]]가 재창설되면서[* [[1973년]] 사령부가 해체되어 제2참모부(상륙병과)로 격하되었다가 1987년 원상회복되었다.] 창립된 해병대 전우회의 초대 총재로 추대되었다. 6.25 전쟁 당시 해병대를 실질적으로 진두지휘한 전쟁 영웅이자, 해병대 출신 최초의 국방장관으로서의 위상 등을 반영한 결과였다. 만년에는 일부 진보성향 단체의 [[더글러스 맥아더]] 동상 철거 요구에 맞서기 위한 해병대 예비역 차원의 대응을 선도하고, [[노무현]] 정부의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에 대한 반대 운동에도 참가했다. 2007년, [[향년]] 84세로 별세했다. 같은 해에는 초대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해병대사령관]]인 [[신현준(군인)|신현준]] 장군도 세상을 떠났다. == 기타 == 회고록으로 [[시편#s-5.2|'나의 잔이 넘치나이다']]가 있다. 일부 그의 유품들은 [[통영시]] 원문고개에 위치한 [[https://worldoftanks.asia/ko/news/contests/summer-vacation2017-content7/|통영상륙작전기념관에 기증되어 전시하고 있다]]. [[해병대 교육훈련단]]에는 그의 이름을 딴 김성은관이 있다. 보통 이 곳에서 실무 배치,입영행사,신병교육 등이 이루어진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성은, version=83, paragraph=3)]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분류:1924년 출생]][[분류:2007년 사망]][[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신자]][[분류:성산구 출신 인물]][[분류:김해 김씨]][[분류:해군사관학교 출신]][[분류:군사혁명위원]][[분류:국방부 장관]][[분류:박정희 정부/인사]][[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분류:태극무공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