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김세환2.jpg|width=300px]] || || 성명 ||김세환(金世煥) || || 생몰 ||[[1884년]] [[6월 6일]] ~ [[1955년]] [[7월 14일]] || || [[출생지]]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 백곡리 || || 사망지 ||[[충청남도]] [[청양군]] || || 추서 ||대통령표창 || 김세환은 1884년 6월 6일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 백곡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4월 5일 오후 3시경 충남 청양군 정산시장에서 발발한 독립만세시위에 참가했다. 이때 향교 직원 [[권흥규]]가 일제 헌병에게 피살당하자, 김세환은 군중과 함께 다음날 권흥규의 시신을 헌병들로부터 인수한 뒤 목면 안심리에 있는 고인의 자택으로 운구했다. 이때 군중 1,000명은 장례식을 거행하면서 그의 명정에 ‘배일사권공지구(排日士權公之柩)'라는 깃발과 '대한독립만세' 깃발을 내걸고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에 헌병대는 이들을 공격하여 무차별 사격을 가해 권흥규의 조카딸과 상여꾼 등 5명을 사살했다. 이후 체포된 김세환은 1919년 4월 22일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청양헌병분견소에서 태형 90도에 처해졌다. 그 후 청양군에서 조용히 지내다 1955년 7월 14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4년 김세환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분류:청양군 출신 인물]][[분류:1884년 출생]][[분류:1955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세환(독립운동가), version=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