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안동 김씨]][[분류:괴산군 출신 인물]][[분류:1896년 출생]][[분류:1973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 || 성명 ||김수백(金壽伯) || || 일본식 성명 ||金山水福 || || 이명 ||김수복(金水福)·김춘화(金春化) || || 본관 ||[[안동 김씨]] || || 생몰 ||[[1896년]] [[4월 28일]][*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620&evntId=0034986319&evntdowngbn=Y&indpnId=0000025051&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판결문]]에는 10월 4일생으로 기재되어 있다.] ~ [[1973년]] [[7월 4일]] || || [[출생지]] ||[[충청북도]] 청안군 동서면 괴곡리[br](현 충청북도 [[괴산군]] 청안면 운곡리 괴실마을)[* [[안동 김씨]] 집성촌이다.] || || 사망지 ||충청북도 괴산군 || || 추서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7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김수백은 1896년 4월 28일 충청북도 청안군 동서면 괴곡리(현 괴산군 청안면 운곡리 괴실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3월 19일 전개된 괴산면 장날 독립만세운동에 이어 이태갑(李泰甲)·[[신강면]]·[[장성원(독립운동가)|장성원]] 등과 함께 2차 거사를 꾀하여 3월 30일 청안 장날을 거사일로 정한 후, 독립선언서를 등사하고 태극기를 제작하는 등 만세운동을 준비하였다. 거사 당일인 3월 30일 오후 2시경, 청안면 장터에는 약 2천여 명의 시위군중이 모여들었다. 이때 그를 비롯한 주도자들은 독립만세를 선창하며, 시위를 이끌었다. 이때 출동한 일본 경찰이 주동자 몇 명을 청안 경찰관 주재소로 연행하자 크게 격분하여, 그는 [[함재원]]·장성원 등 200여 명의 군중과 함께 주재소 입구에 서서 실내로 침입하도록 지휘하는 한편,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며 부근의 우체국을 습격하고, 군중을 지휘하여 돌을 던지도록 독려하다가 체포되었다. 그는 이 일로 1919년 6월 9일 청주지검에서의 예심이 종결되어 공주지방법원 청주지청 공판에 회부되었고[[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548&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36665&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 7월 7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소위 소요 혐의로 징역 3년형[* 보안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는 공소를 수리하지 않음.]을 언도받아[[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620&evntId=0034986235&evntdowngbn=Y&indpnId=0000017637&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 이에 공소하였으나, 8월 8일 경성복심법원 형사부에서 공소가 기각되었으며[[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620&evntId=0034986319&evntdowngbn=Y&indpnId=0000025051&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 이에 상고하였지만 10월 11일 고등법원 형사부에서 상고 기각되어[[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864&evntId=0034981666&evntdowngbn=Y&indpnId=0000026162&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는 조용히 지내다가 [[8.15 광복]]을 맞았으며, 1973년 7월 4일 별세하였다. 199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