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려시대]]의 인물. 둘은 한자까지 같은 동명이인이다. 광산 김씨 김양감은 고려 초 문종~선종 시기의 인물이고, [[언양 김씨]] 김양감은 고려 후기인 [[원 간섭기]]의 인물이다. == 광산 김씨 == 金良鑑 (? ~ ?) === 생애 === 관직이 평장사에 이른 [[김정준(고려)|김정준]]의 아들이다. 김정준은 딸을 유력 문벌인 [[인천 이씨]] 가문에 시집보내는데, 김양감도 일찍이 [[사돈]]어른인 [[이자연(고려)|이자연]]의 문하생으로 들어가 문종 5년(1051) 과거에 급제한다. 급제 후 임관 초의 생애는 알려진 바 없다 [[문종(고려)|문종]] 24년(1070) 종3품의 상서우승 좌간의대부로 서북로병마부사에 임명되고, 이듬해 25년(1071)에는 상서좌승 지[[어사대]]사에 임명된다. 문종 27년(1073) 태복경으로 중서사인 [[노단(고려)|노단]]과 함께 [[북송]]에 사은사로 간다. 이듬해 송 희녕 7년(1074)에 수도에 이르러 사례품 등을 전하고 돌아온다. 문종 29년(1075) 우산기상시, 31년(1077) 동지중추원사에 임명된다. 32년(1078) 지중추원사 호부상서로 임시직인 관반에 임명돼 송나라 사신을 접대한다. 이후 참지정사 판상서병부사, 권판중추원사, 좌복야를 역임한다. 1083년 문종, [[순종(고려)|순종]]이 죽고 [[선종(고려)|선종]]이 즉위한 뒤 문하시랑평장사로서 중서시랑평장사 [[이정공]], 참지정사 왕석, 유홍과 더불어 정세를 보고한다. 이후 문하시랑평장사 판상서호부사를 거쳐, 선종 4년(1087) 수태위에 이른다. 선종 7년(1090)에 문하시랑으로서 간의대부 손관과 진사시 복시에서 지공거가 된다. 급제자 중 이경필은 과거시험의 문체 양식에 맞지 않게 답안을 작성했음에도 장원으로 급제했는데, 이것이 문제가 되어 손관과 함께 현명하지 못했다는 비난을 듣는다. 아들 김의원의 묘지명에 따르면 최종 관직은 수태보 [[문하시중]] 감수국사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 가족관계 === * 고조부: 김길 * 증조부: 김준 * 조부: 김책 * 부: [[김정준(고려)|김정준]] * '''본인: 김양감''' * 누이: 통의국대부인 김씨 누이 김씨는 이자연의 아들 이호와 결혼해 [[이자겸]] 등을 낳는다. * '''본인: 김양감''' * 처: 서해군대부인 최씨 * 아들: 김의문 ([[김약온]]) * 아들: [[김의원(고려)|김의원]] * 며느리: 인천 이씨[* 이석의 딸.] * 며느리: 인천 이씨[* [[이자인]]의 딸.] * 손녀: 광양군부인 김씨 * 손녀사위: [[최윤의]] * 아들: 김의영[* 이정묘지명에서 확인되는 인물로 김양감의 적남(嫡男). 적남은 정실부인의 아들 또는 [[맏아들]]을 가리키는데, 후자의 뜻이라면 위의 김의문(김약온)과 동일인물이다.] * 며느리: 인천 이씨[* [[이정(고려)|이정]]의 딸.] 상서우복야 중추원사를 지낸 최연하(崔延嘏)의 딸과 결혼했다. 아들 둘이 또 스승 이자연의 손녀와 결혼함으로 2대에 걸쳐 인천 이씨와 끈끈한 관계를 유지한다. == 언양 김씨 == 金良鑑 (? ~ ?) === 생애 === 본관은 언양. [[김취려]]의 아들인 문하시랑평장사 김전의 아들이다. 김군(金頵), 김중보(金仲保), 김변(金賆)과는 형제. 고려사 후비전에 따르면 위위시의 종3품 벼슬인 위위윤을 지내고 벼슬에서 물러난다. 아들은 출가하고 딸은 진사 최문에게 시집갔다가 과부가 된다. 그러나 후일 딸은 재가해서 [[충렬왕]]의 후비가 되고, 아들도 [[환속]]해 정2품의 시랑찬성사→중호 관직에 임명된다. === 가족관계 === * 증조부: 김부 * 조부: [[김취려]] * 부: 김전 * '''본인: 김양감''' * 본인: 김양감 * 아들: 김광계 * 아들: 김광연 * 아들: 김문연 * 딸: 숙창원비 김씨 * 사위: 최문 * 사위: 고려 [[충렬왕]] 환속한 아들 김문연에게는 자식이 없었다. [[분류:동명이인]][[분류:고려의 인물]][[분류:광산 김씨]][[분류:언양 김씨]][[분류:고려의 외척]][[분류:국구]] [include(틀:포크됨2, title=김양감, d=2023-02-18 22:2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