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분류:조선의 고문서]]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84호[* 85호 《성시헌 익사공신록》과 86호 《열조통기》는 각각 [[제주특별자치도]]와 [[부산광역시]]으로 옮겨갔기 때문에 2010년 6월 10일에 [[서울특별시]]에서 해제시켰다.] ||<|2> ← || '''87호''' ||<|2> → || 88호 || || [[봉은사 판전#s-5|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 '''김양보 호성공신록''' || [[상설고문진보대전]]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7호}}}]]''' || ||<-2> {{{#fff {{{+1 '''김양보 호성공신록'''}}}[br]{{{-1 金良輔 扈聖功臣錄}}}}}}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충정로9길 10-10,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9길 10-10[br](충정로2가, 현담문고) || || '''{{{#fff 시대}}}''' || [[조선시대]] || || '''{{{#fff 분류}}}''' || 기록유산 / 문서류 / 국왕문서 / 교령류 || || '''{{{#fff 수량 / 면적}}}''' || 1冊 || || '''{{{#fff 지정연도}}}''' || [[1992년]] [[12월 31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양보호성공신록.jpg|width=100%]]}}} || || {{{#F0AD73 ''' 김양보 호성공신록[*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265&ccbaKdcd=21&ccbaAsno=0087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선조(조선)|선조]] 시기의 [[내시]]였던 김양보를 호성공신 3등으로 봉하면서 내린 교서이다. == 상세 == [[선조(조선)|선조]]는 [[임진왜란]]이 끝난 후, 전쟁 때 공을 세운 관료들을 [[공신]]으로 봉했다. 전쟁 때 세운 공적의 종류가 제각기 다르므로, [[공신#s-1.2.14|호성공신(扈聖功臣)]], [[공신#s-1.2.15|선무공신(扈聖功臣)]], [[공신#s-1.2.16|청난공신(淸難功臣)]]으로 나누어 봉했다. 호성공신은 선조가 몽진할 때마다 옆에서 따라간 사람들이고, 선무공신은 왜군을 물리쳤거나 [[명나라]]에 원군 및 군량을 요청한 사람들이며, 청난공신은 임진왜란 중에 일어난 [[이몽학의 난]]을 진압한 사람들이다. 그 중 김양보가 책봉받은 것은 호성공신이다. 김양보는 [[선조(조선)|선조]]가 매우 아꼈던 [[내시]]이다. [[정여립의 난]]을 진압할 때 선전관 이용준과 함께 [[정여립]]이 숨은 죽도를 포위하여 정여립을 자결케 한 적이 있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na_12210017_002|#]] [[임진왜란]] 때도 선조 옆에서 어가를 모셨고 그 공으로 1604년(선조 37년)에 호성공신 3등으로 책록되었다. 이때 3등으로 봉해진 사람들은 총 53명인데 김양보의 이름은 23번째에 올랐다. 원래 김양보의 [[품계]]는 종2품 가의대부였는데, 이때 공신이 되면서 정2품 자헌대부로 승품했다. 그리고 포상으로 노비 7명, 토지 10결, 은전 5냥, 옷감과 [[말(동물)|말]]을 각각 하나씩 받았다.[[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9759|#]] 그러한 내용들이 이 공신록에 적혀있다. 당시 《공신록》의 작성 방식과, [[선조(조선)|선조]]가 [[공신]]들에게 어떤 포상을 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그래서 1992년 12월 31일에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7호로 지정받았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공신, version=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