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30d19, #cc101f 20%, #cc101f 80%, #a30d19)"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ffcc00 대한민국 제10대 해병대사령관}}}]][br]{{{+1 김연상}}}[br]金然翔 | Kim Yeon-sa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연상 장군.jpg|width=100%]]}}} || ||<|2> '''출생''' ||[[1927년]] [[7월 16일]] || ||[[경기도]] [[안성군]] [[일죽면]] 능국리[br](現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능국리) || ||<|2> '''사망''' ||[[2001년]] [[10월 25일]] 오후 12시 30분 (향년 74세) ||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장군제1묘역-10호 || ||<|2> '''재임기간''' ||제10대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해병대사령관]] || ||[[1973년]] [[10월 10일]] ~ [[1975년]] [[7월 10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김계원 || || '''자녀''' ||2남 2녀 || || '''학력''' ||[[육군대학]] {{{-2 (수료)}}}[br][[연세대학교/대학원#s-3.1.1|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2 (수료)}}} || ||<-2> '''군사 경력''' || || '''임관''' ||[[해병학교]] {{{-2 (1기)}}} || ||<|4> '''복무''' ||[[일본 제국 해군]] || ||1943년 ~ 1945년 || ||[[대한민국 해병대]][* 군번 80582] || ||1950년 ~ 1975년 || || '''최종 계급''' ||[[중장]] {{{-2 (대한민국 해병대)}}} || || '''주요 보직''' ||해병대사령부 본부대대장[br]해병대 제1사단 11연대장[br]해병대 제2여단장[br]해병대 상륙전기지 사령관[br]해병대 제1사단장 || ||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2 ([[태평양 전쟁]])}}}[br][[6.25 전쟁]][br][[베트남 전쟁]]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군인]]. 초대 해군 제2참모차장(제10대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해병대사령관]])을 역임하였다. == 생애 == [[1927년]] [[7월 16일]] [[경기도]] [[안성군]] [[일죽면]] 능국리(現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능국리)에서 출생하였다. [[1943년]] 조선인 징집령이 내려지자 [[일본 제국 해군]]에 지원해 입대했다. [[1943년]] 가을, [[규슈]]에서 10개월 동안 훈련을 받고 [[1944년]] 실전 배치 명령을 받아 [[필리핀 제2공화국|필리핀]]으로 투입되어 죽을 고비를 몇 번씩이나 넘겼다. [[1945년]] 중국 남단의 어느 섬에서 해방을 맞았다. 몇 개월 동안 조선인 숙영지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1946년]] 9월 [[부산항]]을 통해 귀국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자 각군에서 군경력자를 특채로 채용한다는 소식에 [[대한민국 해군]] 장교에 지원했다. 그러나 교육과정에서 [[대한민국 해병대]]가 창설되자 해병신병 교육장교로 선발되어 [[1950년]] 해병 [[소위]]로 임관했다. 이후 당시 [[제주도]]에 위치한 [[해병대사령부]]에서 신병교육을 담당했다.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중대장 직책으로 참전하여 [[인천 상륙작전]] 등 크고 작은 전투에 가담했다.[* 당시 김연상은 제주도에서 입대를 자처한 제주도 청년들을 속성으로 교육시키고 함께 상륙작전에 참가했는데, 그들의 용맹성과 충성심이 뛰어났다고 회고했다.] [[1966년]] 12월부터 1년 7개월 동안 [[해병대 제2사단|청룡부대]] 부대장으로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 [[1971년]] [[해병대 제1사단|해병대 제1상륙사단장]]을 역임하였다. [[1973년]] [[해병대사령부]]가 해체되고 [[이병문]] 중장이 예편하자 초대 해군 제2참모차장에 올랐다. [[1975년]] [[중장]]으로 예편했다. [[2001년]] [[10월 25일]] 향년 74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그의 유해는 [[2001년]] [[10월 27일]] [[국립대전현충원]] 장군제1묘역에 안장되었다. [[분류: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1927년 출생]][[분류:2001년 사망]][[분류:안성시 출신 인물]][[분류:일본군/조선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6.25 전쟁/군인]][[분류:베트남 전쟁/군인]][[분류:박정희 정부/인사]][[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