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김영권/클럽 경력)]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울산 HD FC/2024년)]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3f98 1.5%, #feb913 1.5%, #feb913 3.5%, #003f98 3.5%, #003f98 5%, #feb913 5%, #feb913 7%, #003f98 7%, #003f98 8.5%, #feb913 8.5%, #feb913 10.5%, #003f98 10.5%)" [[김영권/클럽 경력#s-7|[[파일:울산 HD FC 엠블럼(홈).svg|height=80]]]][br] '''[[김영권/클럽 경력|{{{#feb913 김영권의 클럽 경력}}}]]'''}}} || || [[김영권/클럽 경력#s-7.2|2023 시즌]] || {{{+1 ▶}}} || '''{{{#feb913 2024 시즌}}}''' || {{{+1 ▶}}} || [[김영권/클럽 경력/2025 시즌|2025 시즌]] || ||<-2>
{{{+1 '''[[김영권|{{{#feb913 김영권}}}]]'''}}}[br]'''{{{#feb913 2024 시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영권2024.png|width=100%]]}}} || || '''{{{#feb913 소속 구단}}}''' ||[[울산 HD FC]] ([[K리그1|하나원큐 K리그1]]) || || '''{{{#feb913 등번호}}}''' ||'''{{{+1 19}}}''' || ||<-2> {{{+1 '''{{{#feb913 기록 }}}''' }}}[br]'''{{{#feb913 (K리그1 2R 기준)}}}''' || || [[K리그1/2024년|[[파일:K리그1 로고(가로형/흰색).svg|width=100%]]]] || {{{#000,#fff '''선발 2경기 교체 경기[br]득점 도움'''}}}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1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FEC600 20%, #FF6F00 80%)" [[AFC 챔피언스 리그/2023-24시즌|[[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로고(가로형).svg|height=40]]]]}}} || {{{#000,#fff '''선발 3경기 교체 1경기[br]득점 도움'''}}} || || [[FA컵(대한민국)/2024년|[[파일:하나은행 FA컵 로고.svg|width=100%]]]] || {{{#000,#fff '''선발 경기 교체 경기[br]득점 도움'''}}} || ||<-2> '''{{{#feb913 합산 성적}}}''' || ||<-2> '''{{{#000,#fff 선발 5경기 교체 1경기[br]득점 도움}}}''' || || '''{{{#feb913 개인 수상}}}''' || - || [목차] [clearfix] == 개요 == 김영권의 2024 시즌 활약상을 담은 문서. [[울산 HD FC]]에서 뛰는 세 번째 시즌이다. == K리그1 == === 1R VS [[포항 스틸러스]] === 전반 2분 [[주민규]]를 향한 롱패스로 [[에사카 아타루|아타루]]의 경기 첫 슈팅에 기점이 되었으나 [[황인재]] 골키퍼의 선방에 막혔다. 45분 박스 안에 있던 [[김민우(축구선수)|김민우]]의 발 밑에 롱패스를 찔러주며 키패스를 기록했으나 김민우의 터닝슛은 빗나갔다. 후반 6분 측면에서 [[에사카 아타루|아타루]]에게 넘겨준 볼이 [[김륜성]]의 헤더에 막혔으나 아타루가 우여곡절 끝에 다시 볼을 찾아온 후 선제골을 넣었다. 후반 42분 부상으로 [[임종은]]과 교체 아웃되었다. 팀은 [[에사카 아타루|아타루]]의 선제골을 지키며 1:0으로 승리했다. == FA컵 == == AFC 챔피언스 리그 == === 2023-24 시즌 === ==== 16강 1차전 VS [[방포레 고후]] ==== 주장 [[김기희]]와 새로 합류한 [[황석호]]에 밀려 벤치에서 출발했고 후반 31분 김기희와 교체 투입되었다.[* 이로써 [[2012 런던 올림픽/축구|2012 런던 올림픽]] 당시 호흡을 맞췄던 [[황석호]]와 재회하게 되었다.]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에서 매 경기 주전으로 출전했기 때문에 체력 안배 차원으로 보인다.[* 한국 대표팀의 마지막 경기인 준결승 요르단전이 [[방포레 고후]]와의 1차전 8일 전이었다. 게다가 [[클린스만호/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클린스만호]]는 대회 내내 선수들의 체력 관리 문제로 많은 비판을 받아왔고 김영권 역시 요르단전에서 체력 저하를 드러내며 탈락의 원흉 중 하나로 지목받았다.] 후반 38분 주장 완장을 달던 [[김민우(축구선수)|김민우]]가 교체 아웃될 때 다른 주장단인 [[엄원상]]이 필드에 있음에도 김영권에게 완장을 넘겼다. 그만큼 팀에서 여전히 중요한 입지임을 증명했다. 후반 추가시간 3분 [[마테우스 살리스]]에게 좋지 않은 패스를 해서 사토 카즈히로에게 공을 빼앗겼다. 사토의 패스를 받은 피터 우타카가 1:1 찬스를 만들었으나 [[이규성(축구선수)|이규성]]이 가까스로 공을 걷어냈다. ==== 16강 2차전 VS [[방포레 고후]] ==== [[황석호]]를 밀어내고 [[김기희]]와 함께 선발 출전했는데 전반 14분 김기희가 부상으로 아웃되면서 황석호와 호흡을 맞추게 되었다. 전반 38분 [[황석호]]가 파비안 곤잘레스에게 볼을 빼앗겨 생긴 찬스에서 피터 우타카의 슛을 [[이동경]]이 막은 후 토리카이 요시키의 2차 슈팅을 막아냈다. 후반 3분 문전 앞에서 날아온 피터 우타카의 슛도 슈퍼 태클로 막아냈다. 1차전에 비해 전반적으로 수비 불안이 심각해진 상황에서 풀타임을 소화하며 수비진 중 유일하게 제 몫을 해냈다. ==== 8강 1차전 VS [[전북 현대 모터스]] ==== 직전 경기인 리그 개막전 [[동해안 더비]]에서 후반 막판 부상으로 교체 아웃되었으나 다행히 큰 부상이 아닌 단순 타박상이었고 문제없이 풀타임을 소화했다. 후반 34분 [[한교원]]에게 측면 돌파 후 크로스를 허용했으나 [[송민규]]의 빅찬스 미스로 실점을 면했다. [[분류:김영권]][[분류:울산 HD FC/소속 선수 커리어]][[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