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김영규의 2024년 활약상, rd1=김영규(야구선수)/선수 경력/2024년)] [include(틀:NC 다이노스/간략(투수))] ||
'''{{{#ffffff 김영규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FFFFFF 김영규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NC_Dios_2020_KoreanSeries_Champions.png|width=auto&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2020년 한국시리즈|{{{#ffffff 2020}}}]]''' || ---- ||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auto&height=70]][br]'''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br]{{{#d4af37 금메달}}}''' || ||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FFFFFF 2022}}}]]''' || ---- ||
[[파일: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로고.svg|width=auto&height=70]][br]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br]{{{#8c8c8c 준우승}}}''' || || '''[[류중일호/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FFFFFF 2023}}}]]''' || ---- [include(틀:KBO 준플레이오프 MVP)] ---- ||<-2> {{{#fff 보유 기록}}} || || 2000년대생 최초 완봉승 || 2019년 9월 27일 (vs LG) || ---- }}} || ---- || '''{{{#FFFFFF 김영규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00번}}}''' || || [[홍민구]][br](2015) || {{{+1 →}}} || '''김영규[br](2018)''' || {{{+1 →}}} || [[박주찬]][br](2019)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58번}}}''' || || [[구황]][br](2018) || {{{+1 →}}} || '''김영규[br](2019~2021)''' || {{{+1 →}}} || [[서의태]][br](2022~)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17번}}}''' || || [[이재율(1993)|이재율]][br](2020.8.29.~2021) || {{{+1 →}}} || '''김영규[br](2022~)''' || {{{+1 →}}} || 현역 || }}} || ---- || '''{{{#FFFFFF A대표팀 참가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류중일호/2022 아시안 게임 엔트리)] ---- [include(틀:류중일호/2023 APBC 엔트리)]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영규2024프로필.jpg|width=100%]]}}} || ||<-2> '''NC 다이노스 No.17''' || ||<-2> '''{{{#00275a {{{+2 김영규}}}[br]金榮奎 | Kim Youngkyu}}}''' || ||<|2> '''출생''' ||[[2000년]] [[2월 10일]] ([age(2000-02-10)]세) || ||[[광주광역시]][* [[야구에 산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아버지의 고향이 [[담양군]]이며, 본인의 출생지는 [[광주광역시]]라고 밝혔다.]||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광주서석초 - [[무등중학교|무등중]] -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제일고]] || || '''신체''' ||190cm[* 구단 공식 홈페이지의 프로필 키는 188cm이나, [[야구에 산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신체 검사 결과 190cm가 나왔다고 밝혔다.], 86kg, B형||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 입단''' ||[[KBO 리그/2018년/신인 드래프트#s-3.2|2018년 2차 8라운드]] (전체 79번, [[NC 다이노스|NC]]) || || '''소속팀''' ||'''[[NC 다이노스]] (2018~)''' || || '''병역''' ||[[예술체육요원]][br]{{{-2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부문)}}}[* 당초 2023년 12월 18일 입대하여 2024 시즌에는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서 복무 예정이었으나, 예술체육요원으로 전환되어 NC에서 그대로 뛰게 되었다.] || || '''연봉''' ||2024 / 2억 2,500만 원 {{{-2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000,#fff 60.7%↑ }}}}}}}}}|| || '''등장곡''' ||[[위대한 쇼맨]] OST 《[[This Is Me(위대한 쇼맨)|This Is Me]]》 || || '''에이전트''' ||팀퓨쳐스 || ||<-2> [[https://www.ncdinos.com/player/pitcher/view.do?playerId=678|[[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width=32]]]]{{{#000,#fff |}}}[[https://instagram.com/k_i_m_y.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NC 다이노스]] 소속 좌완 투수. NC 팀 프랜차이즈 최연소 완투완봉승이자, 구단 최초의 무사사구 완봉승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KBO 리그 2000년대생 첫 완봉승 투수이기도 하다. == [[/선수 경력|선수 경력]] == [include(틀:김영규(야구선수)의 선수 경력)]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영규1494_230408.gif|width=100%]]}}} || || 149.4km/h 속구[* 2023년 4월 8일 홈 키움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영규220727.gif|width=100%]]}}} || || 커브-슬라이더-패스트볼로 [[김석환]]을 잡아내는 김영규[* 2022년 7월 27일 광주 KIA전. 편집된 3구 볼도 슬라이더였다.] || 선발로 평균 140km/h, 불펜으로 평균 145km/h에 최고 '''152km/h'''의 포심 패스트볼을 던지며 140km/h대 안팎의 각이 좋은 슬라이더를 주무기로 갖고 있는 좌완 파워 피처. 특히 커터성 슬라이더를 커맨드에 섞어 쉽게 볼카운트를 얻어낸다. 오프 스피드 피치의 부재가 아쉬운 편이었으나 2020 시즌 체인지업과 커브를 장착하고 우타자 상대 체인지업 구사율을 높이기도 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241&aid=0003024460|[배중현의 야구 톺아보기] 3점대 투수가 된 NC 김영규, 해답은 체인지업]]] 2021 시즌에는 [[포크볼]]을 적극적으로 던지며 타자들과 상대했는데, 새로운 구종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더의 제구가 함께 흔들리면서 다소 시행착오를 겪기도 했으나[[https://theqoo.net/1947723599|#]] 시즌 말미에는 성공적으로 장착하면서 불펜에서 재미를 봤다. 190cm, 86kg의 큰 체격에서 나오는 밸런스가 좋고, 글러브를 낀 팔로 던지는 손을 완전히 가리는 디셉션 동작과 높은 릴리스포인트, 빠른 투구 템포, 과감한 커맨드와 공격적인 피칭 등이 장점으로 꼽힌다. 또 데뷔 초 갖추고 있는 피지컬에 비해 패스트볼의 구위나 구속이 다 올라오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으며 3년 선배 [[구창모(야구선수)|구창모]]가 꾸준한 관리와 체격 증가로 프로 데뷔 후 구속이 5km/h정도 상승한 것처럼 김영규도 그렇게 될 수 있다는 기대를 받았다. 이는 2022 시즌 패스트볼 평균구속이 139km/h→144km/h로 급등하면서 현실화되었으며, 2023 시즌에는 팬들이 다소 가볍다는 얘기를 하던 구위도 완숙해지면서 피홈런 갯수가 2개로 크게 줄어들어 커리어 하이를 찍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38514329, height=281)]}}} || || 김영규의 호수비[* 2023년 7월 28일 KT전] || 투수 전향이 늦어서 그런지 마운드에서 수비가 상당히 괜찮으며, 경기 중 집중력있는 호수비 장면이 굉장히 자주 연출되는 선수이다.[* [[https://tv.naver.com/v/8180833|2019년 4월 27일]] [[https://tv.naver.com/v/10014407|2019년 9월 27일]] [[https://gall.dcinside.com/ncdinos/4723047|2020년 5월 16일]] [[https://tv.naver.com/v/15812503|2020년 9월 16일]]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ncdinos&no=5250777|2021년 9월 8일]] [[https://gall.dcinside.com/ncdinos/6003313|2022년 9월 18일]]] == 연도별 성적 == ||<-19>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00]]]] {{{#FFFFFF '''김영규의 역대 KBO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sWAR || || 2018 ||<|6> [[NC 다이노스|NC]] ||<-15> 1군 기록 없음 || || 2019 || 30 || 5 || 4 || 0 || 1 || 66⅓ || 5.29 || 82 || 7 || 31 || 6 || 46 || 1.70 || 79.6 || 0.18 || || 2020 || 20 || 2 || 2 || 0 || 1 || 67⅔ || 5.45 || 83 || 12 || 14 || 2 || 55 || 1.43 || 89.6 || 0.04 || || 2021 || 37 || 5 || 3 || 0 || 6 || 63⅔ || 5.37 || 69 || 10 || 28 || 1 || 42 || 1.52 || 84.5 || 0.32 || || 2022 || '''72'''[br](5위) || 2 || 7 || 1 || 13 || 66 || 3.41 || 56 || 5 || 22 || 7 || 46 || 1.18 || 119.5 || 1.84 || || 2023 || 63 || 2 || 4 || 0 || '''24'''[br](3위) || 61⅔ || 3.06 || 45 || 2 || 23 || 1 || 48 || 1.10 || 135.9 || 1.82 || ||<-2> '''[[KBO 리그|KBO]] 통산'''[br](5시즌) || 222 || 16 || 20 || 1 || 45 || 325⅓ || 4.54 || 335 || 36 || 118 || 17 || 237 || 1.39 || 96.4 || 4.20 || ||<-3>
{{{#ffffff 완투, 완봉 기록}}} || || 연도 || 완투 || 완봉 || || 2019년 || 1완투 || 1완봉 || || '''[[KBO 리그|KBO]] 통산''' || 1완투 || 1완봉 || == 별명 == * NC 팬들이 붙인 별명은 [[알파카]]. 별명의 유래는 김영규가 2019년 4월 14일 [[롯데 자이언츠]]를 상대로 선발 3승째를 거둔 날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3&aid=0009172730|네이버스포츠 기사]]의 한 [[https://gall.dcinside.com/ncdinos/2917902|댓글]]이다. 쭉 뻗은 긴 다리와 쌍커풀이 없는 처진 눈꼬리가 알파카를 떠올리게 한다. 팀 선배 [[구창모(야구선수)|구창모]]나 [[소이현(야구선수)|소이현]]도 SNS상에서 이를 언급하면서[[https://gall.dcinside.com/ncdinos/3509819|#]][[https://gall.dcinside.com/ncdinos/5493795|#]] 공식 알파카 인증. 이후로는 팀 동료들도 그렇게 부르는 모양인데 본인은 [[https://naver.me/GpPKMRsE|닮은 줄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가,[* 본인 생각에 알파카는 사납게 생기고 멋있는 느낌도 아니라서 이런 이야기를 기분좋게 생각하지는 않는 것 같다.] N or C 영상에서는 이젠 본인도 체념했는지 계속 닮았다는 얘기를 듣고 보고 하다보니 이젠 본인이 봐도 좀 닮은것 같다고 말했다.[* 똑같이 알파카 별명을 갖고 있는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김혁규|Deft]]와도 묘하게 닮았다.[[https://gall.dcinside.com/ncdinos/2945804|#]][[https://theqoo.net/1619721306|#]][br][[파일:혁규영규2023.png|width=4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90414알파카.jpg|width=100%]]}}} || || 문제의 댓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영규김진호_2020스캠.jpg|width=100%]]}}} || || 왼쪽이 김영규. 오른쪽은 [[김진호(야구선수)|김진호]] || * 알파카 비슷한 인상이라 닮은 꼴로 Deft가 주로 언급되지만, 사실은 프로게이머 [[김광희|Rascal]]과 굉장히 비슷한 외모를 가지고 있다. 이쪽은 둘 다 동그란 안경을 쓴다는 공통점이 있다. * 2020년 9월 3경기 연속 호투로 2승을 거두자 팬들이 '''[[구창모(야구선수)#s-5|엔규행]]'''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구창모의 2개월째 부상 공백으로 선발진에 큰 구멍이 나자 대체선발 기회를 잡은 건강한 김영규가 같은 좌완투수인 구창모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이 담긴 뉘앙스로 부르는 별명. 이후 [[https://www.instagram.com/p/CFyTQRPA5Wo|구단 공식 SNS]]에서도 이를 언급했다. == 여담 == === 야구 관련 === * 시작은 미약하여 눈에 띄지 않았지만 '''[[대기만성|묵묵하고 꾸준하게 발전해 기량이 만개했다는 점]]''' 때문에 NC 팬들의 [[https://gall.dcinside.com/ncdinos/6957918|깊은 사랑을]] 받고 있는 [[https://gall.dcinside.com/ncdinos/6947153|선수이다.]] 선수 본인이 신인 드래프트 미지명을 예상할 정도로 낮은 라운드 순번에서 NC의 선택을 받았으나 꾸준한 벌크업[* 2019 시즌 극초반 선발 4승으로 잘 나가다 시즌 중반 한계를 드러내며 2군으로 내려갔는데, [[https://gall.dcinside.com/ncdinos/3415466|발전한 투구폼과 더 탄탄해진 피지컬로]] 1군에 복귀해 '''무사사구 완봉승'''을 거두며 시즌을 의미깊게 마쳤다. 이후에도 부진으로 엔트리 말소된 후 복귀할 때 마다 NC 팬들의 [[https://gall.dcinside.com/ncdinos/4187997|'하체가 더 두꺼워졌다']] 류의 [[https://gall.dcinside.com/ncdinos/4484512|반응들]]이 주를 이룬 것을 볼 때 본인의 장점인 피지컬을 살리기 위해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과 구속 증가, 변화구 장착 등의 시행착오를 거치며 눈에 띄는 스텝업으로 팀에 없어서는 안 될 선수로 자리잡았고, 만 20세의 나이에 소속팀의 '''한국시리즈 우승반지'''를 획득한 뒤 23세의 나이에 '''국가대표'''에 선발되고 '''아시안게임 금메달'''까지 목에 걸었으니 야구선수로서 남부럽지 않을 커리어를 갖게 되었다.[* [[류중일호/2023년|항저우 아시안게임 국가대표팀]] 엔트리에 구창모가 낙마하고 김영규가 대체발탁되던 당시에도 [[https://gall.dcinside.com/ncdinos/6947058|잦은 부상으로 NC 전력엔 도움이 안 되는]] 구창모보다 [[https://gall.dcinside.com/ncdinos/6946961|그간 '애니콜'로 불릴 정도로 자주 등판해]] 리그에서 필승조로 맹활약하며 NC에 기여해온 김영규가 차출된 것이 장기적으로 팀에 더 이득이라는 NC 팬들의 [[https://gall.dcinside.com/ncdinos/6947036|반응]]이 [[https://gall.dcinside.com/ncdinos/7033972|남녀노소]] 가리지 않을 [[https://theqoo.net/kbaseball/2937937790|정도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wL5iCMuQo0, height=281)]}}} || || 스브스스포츠 '야구에 산다' 전화인터뷰 || * [[이동욱(야구)|이동욱]] 前 감독이 2018 시즌 마무리캠프 때 일찌감치 김영규를 눈여겨보면서 많은 신뢰를 받았다. 2019년 스프링캠프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면서 NC의 5선발 후보에 깜짝 가세했고, 이후 1군 무대에서 선발과 불펜을 넘나들며 이런저런 상황에서 꾸준히 기회를 받으며 성장했다. 김영규를 미래 NC의 핵심 투수요원으로 자리잡을 역량이 있는 선수로 판단한 팀에서는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76&aid=0003456992|'성과보단 미래']]라면서 등판 기회를 끊임없이 부여했고 선수도 구단의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면서 2023년 현재 억대 연봉을 받는 필승조 계투 요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 2023 시즌 김영규가 거둔 24홀드는 [[NC 다이노스/기록#s-3.1.2|NC 프랜차이즈 단일시즌 최다 홀드 기록]]이기도 하다.[* 종전 기록은 2020 시즌 임정호의 22홀드.] 2019 시즌의 무사사구 완봉승은 NC 최초 기록으로, 창원 NC 파크 내부 1층 벽면에 다이노스 역사상 중요했던 경기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전시되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u6Zx5F2ESA, start=40, height=281)]}}} || * LG 트윈스 상대로 기록이 상당히 좋다. 2021 시즌 종료기준 통산 LG 상대 시 ERA 2.93, WHIP 1.28, 피OPS 0.679에 불과하며 WPA도 0.805으로 10개 구단 상대기록 중 LG와 맞붙었을 때 가장 좋았다. 무사사구 완봉승을 거둔 날도 2019 시즌 LG 상대 등판이었다. * 1군 데뷔전이었던 2019년 3월 27일 창원 경기에서 [[양의지]]가 김영규에게 한 말이 화제가 되었다. 주자 2,3루 위기상황에서 마운드에 올라와서 [[https://youtu.be/nJzJ34cTtP4?t=14|"2점 다 줘도 되니까 편하게 던져, 2점 다 주면 내가 홈런 칠게"]]라면서 마치 야구만화에 나올 것 같은 말을 김영규에게 했다.[* 그 말을 들은 김영규는 1실점으로 이닝을 끝냈고,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다음 이닝에서 양의지는 정말로 투런 홈런을 쳤다]]!'''] 이 뿐만이 아니라 양의지는 김영규 선발 출장날에 유독 [[https://gall.dcinside.com/ncdinos/2965954|맹타를 휘둘러서]] 케미가 주목받았다. [[파일:2점다줘도된다내가홈런칠게.jpg|width=500]] === 야구 외 === * 2020년 9월부터 동그란 안경을 쓰기 시작했다. [[https://youtu.be/xj47DSC2SdU|인터뷰]]에 따르면 눈이 안 좋아져서 쓰기 시작했다는데, 안경을 쓴 이후로 성적이 좋아졌고 시즌 첫 승도 거두면서 NC 팬들은 '''갓경'''이라 부르며 찬양 중이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11903639|'안경 형제' 등장에… NC, 나성범·구창모 없어도 선두]] [[https://gall.dcinside.com/ncdinos/4323996|움짤]]] 평소에는 안경을 쓰지 않지만 마운드에서만 안경을 쓰는 이유는 평소 [[난시]]가 있어서 경기중에는 초점을 또렷하게 맞추기 위해서라고 직접 밝혔다.[[https://youtu.be/GlaUo9Q1zyw?t=496|#]] 고글을 쓰지 않고 일반적인 형태의 안경을 쓰는 이유도 그 때문인 듯 한데, 본인은 안 쓴 모습이 더 낫다고 생각하고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영규210530.jpg|width=100%]]}}} || * 마운드 위에서 차가워 보이는 인상과는 달리 SNS를 통해 공개되는 일상 모습은 반전 매력이 있어 NC 팬들에게 인기가 있는 편이다.[[https://theqoo.net/2431652551|#]] 덕아웃에서도 리액션이 활발하다.[[https://youtu.be/sgryFENnzpU?t=57|#]] * 2020 시즌에는 2000년생 동갑내기인 [[송명기]]와 함께 선발투수 영건 듀오로 주목받으며 함께 엮이는 경우가 많았다. 둘의 성향이 정반대라 NC 팬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 [[https://gall.dcinside.com/ncdinos/4484502|#]] [[https://theqoo.net/1650271137|#]]] 김영규가 빠른년생이고 입단 1년 선배라 송명기는 김영규에게 꼬박꼬박 형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는 마치 동갑에다 생일도 같지만 서울고등학교 1년 선배라 형 소리를 들었던 [[장현식]]과 [[배재환]]의 관계와 겹쳐 보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QcamCvzCLI, height=281)]}}} || || 엔튜브 N or C 영상 || * 송명기와는 인터뷰 스타일도 정반대로, 무던한 표정으로 담백하고 시원시원하게 할 말을 다 한다. 마운드에서도 웬만해서는 흥분하는 표정을 짓지 않고 침착한 반면 투구 스타일은 마치 예전의 [[문경찬]]을 보는 것처럼 스트라이크 비율이 높은 적극적인 피칭을 해서 갭이 있는 편.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16035607, height=281)]}}} || || 2020년 10월 1일 경기전 인터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ecpL6MlNMM, height=281)]}}} || || 2023 준플레이오프 시리즈 MVP 인터뷰 || * 잠이 아주 많은 편이라[[https://youtu.be/WYT1G2wo-Ts?t=274|#]] 하루에 9시간은 잔다. 영양제를 열심히 챙겨 먹는다. 아르기닌, 밀크씨슬 등 트레이너들이 추천하는 제품들은 빠지지 않고 먹는다고 한다.[[https://youtu.be/hC2ulL5F_sM?t=72|#]] * 김영규의 NC 입단 소식이 고향인 [[담양군]] 군민신문에 보도된 적이 있다.[[http://www.newsd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1002|#]] * 2020년 3월 [[엔튜브]] 인터뷰에서 [[모창민]]이 마음이 가는 팀 내 후배로 김영규를 꼽았다. 마치 학교 선배 [[이호준]]이 본인을 바라보는 시선처럼 모창민도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제일고등학교]] 후배인 김영규에게 정이 가고 더 잘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https://youtu.be/fK-fJreyjSQ?t=554|#]] 2022년 기준 팀내 고등학교 후배는 [[박시원]]과 [[김녹원]]이 있다. * 2022년 12월 팀 동료들과 함께 데상트코리아 패딩 화보[* [[https://www.instagram.com/p/Cl0iztdvpW9/|#]][[https://www.instagram.com/p/Cl3KmDAvFBA/|#]][[https://www.instagram.com/p/Cl0nwM7jwPG/|#]]]를 촬영했는데 팬들의 반응이 뜨거웠다. [[https://youtu.be/SQBiMjcivnE|엔튜브 비하인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영규22데상트화보.png|width=100%]]}}} || * 종교는 없으나, 바람쐬는 것을 좋아해서 일년에 서너번씩 사찰을 방문해 풍경을 바라보고 온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96&aid=0000615378|#]] * 2023년 8월 병마와 싸우던 팬에게 따뜻한 마음을 전했다는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831382|소식]]이 전해졌다. 김영규는 "야구를 통해 힘든 시기를 이겼다는 이야기만으로도 야구인의 한 사람으로서 너무 감사한 일인 것 같다. 야구를 통해 그 누군가에게 꿈과 희망을 줄 수 있어 기쁘다. 다시 한번 쾌유를 축하드리며 앞으로도 건강 잘 유지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https://sports.naver.com/news?oid=109&aid=0004902255|#]] 이후 2024년 연초 취약계층 아동에게 의료비를 지원하는 선행을 했다.[[https://www.ncdinos.com/dinos/notice/view.do?seq=541584|#]] * MBTI는 [[ISTP]]이다. * 2024년 1월 [[더그아웃#s-2.1|더그아웃 매거진]]과 인터뷰했다.[[https://naver.me/5OcosrdO|#]]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김영규(야구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