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복회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광복회|{{{#ffffff 제18대 광복회 회장}}}]]'''[br] {{{#ffffff '''{{{+1 김영일}}}'''[br]'''金永逸'''}}}}}}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영일(1925).jpg|width=100%]]}}} || || '''호''' ||효운(曉雲) || || '''본관''' ||[[상산 김씨]][* [[http://www.seoulec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947|#]]] || ||<|2> '''출생''' ||[[1925년]] [[9월 1일]] || ||[[평안북도]] [[정주군]] 덕달면 육성동[* [[김(성씨)|상산 김씨]] 집성촌이다.][br](현 평안북도 [[정주시]] 오성리) || ||<|2> '''사망''' ||[[2011년]] [[2월 28일]] (향년 85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분당제생병원]] || || '''학력''' ||[[오산고등학교(서울)|오산중학교]] {{{-2 (5학년 / 중퇴)}}}[br][[국민대학교]] {{{-2 ([[행정학]] / [[학사]])}}} || || '''복무''' ||[[대한민국 육군]] || || '''기간''' ||[[1949년]] ~ [[1979년]] || || '''임관''' ||[[육군사관학교]] {{{-2 (8기 특별4반[* [[https://news.joins.com/article/1694049|#]]])}}} || || '''최종계급''' ||[[소장(계급)|소장]]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330호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군인]].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았다. == 생애 == 김영일은 1925년 9월 1일 평안북도 정주군 덕달면 육성동(현 정주시 오성리)에서 태어났다. [[오산고등학교(서울)|정주 오산중학교]] 5학년 재학 중이던 1943년 4월경, 오산중학교 동창생들과 집단으로 탈출하여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였다. 그곳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공작요원이던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8301|조병걸]](趙炳傑)을 만나 그의 지도를 받고 [[한국광복군]] 화북지대에 공작대원으로 입대하였고, [[장쑤성]] [[쉬저우시]]에서 합법적 거점을 이용하여 애국청년 포섭공작 활동에 진력하였다. 1944년 6월부터는 한국광복군 제3지대 창설기간요원으로서 항일무장투쟁을 벌이는 한편, [[박상기(독립운동가)|박상기]],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8131|문수열]](文洙烈), [[한이윤]]과 한국광복군 기관지 『빛』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홍보활동과 동지 모집 및 호송, 연락장교 등으로 활약했다. 1945년 5월에는 [[섬서성]] [[시안시]]에서 한·미 합동군사작전의 일환으로서 국내 진공작전을 위한 미군 [[OSS]] 특수 훈련 무전반에서 훈련을 받던 중 [[8.15 광복]]을 맞아 귀국했다. 귀국 후 1946년 9월 [[장호강]] 등과 함께 [[국민대학교]] [[행정학과]]에 입학하여 수학하다가, 1949년 2월 21일 [[육군사관학교]] 8기(특별4반)으로 입교해 군인의 길을 걸었다. 같은 해 4월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에 임관한 그는 이듬해인 1950년 발발한 [[6.25 전쟁]]에도 참전했다. 이후 군 복무 중이던 1966년 국민대학교를 졸업했으며, 군문에서는 1966년 [[대한민국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기획처장으로 있으면서 대령에서 준장으로 [[https://www.joongang.co.kr/article/1100227#home|진급했으며]], [[제1야전군사령부]] 군수참모, 1969년 주월남(駐越南) 제100군수사령부(십자성부대) 사령관, 1970년 [[제25보병사단]]장, 육군본부 비서실장, [[제3군수지원사령부]] 사령관을 거쳐 1976년 [[육군대학]] 총장 등을 역임하고 1979년 육군 소장으로 예편했다.[[https://press.kookmin.ac.kr/news/articleView.html?idxno=11970|#]] 예편 후 [[한국비료]] 상임감사를 지내다가 1980년 [[한국해외개발공사]] [[https://www.joongang.co.kr/article/1545559#home|사장]]에 취임했으며, 이후 광복군동지회 회장, [[광복회]] 부회장 등을 지냈다. 2008년 6월에는 제18대 광복회장에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2011년 [[3.1절]]을 하루 앞둔 2월 28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분당제생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https://gonggam.korea.kr/newsView.do?newsId=148708386|#]] 그의 유해는 2011년 3월 4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에 안장되었다. == 상훈 == * 1951년 은성화랑훈장 * 1953년 미국 동성훈장 * 1969년 충무무공훈장 * 1970년 을지무공훈장 * 1971년 미국 육군공로훈장 * 1977년 건국포장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여담 == * 대령에서 준장으로 진급할 당시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장충동]]의 낡은 판잣집에서 부모와 부인 신금화 여사, 아들 김훈, 딸 김모란, 김수선, 김수련 등 4남매까지 가족 8명이 사는 사실이 알려져 '[[하꼬방]][* 판잣집이라는 뜻의 속어이다.] 별'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2008년 6월 광복회장에 선출된 뒤에도 행사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매일 [[설렁탕]]과 [[햄버거]] 등 5000원 이하의 점심식사를 했다고 하며, 고인은 당시 "좋은 것 먹자 하면 한도 끝도 없다. 한 푼이라도 아껴서 광복회원들을 위해 써야 한다"고 말했다고 한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3/02/2011030200140.html|#]]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한국광복군/군인]][[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1925년 출생]][[분류:2011년 사망]][[분류:상산 김씨]][[분류:정주시 출신 인물]][[분류:실향민]][[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국민대학교 출신]][[분류:6.25 전쟁/군인]][[분류:베트남 전쟁/군인]][[분류:건국훈장 애국장]][[분류:한국해외개발공사 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