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김영진(프로게이머))] [목차] == 개인리그 성적 == === [[2012 HOT6 GSL Season 1]] === 1월 10일 코드 S 32강 B조 [[장민철]], [[이동녕(프로게이머)|이동녕]] 선수들을 모두 잡아내며 16강에 진출한다. 2월 2일 코드 S 16강 B조 [[김상준(프로게이머)|김상준]], [[김학수]] 선수들에게 모두 패배하며 코드 A 3라운드로 내려가고 만다. 2월 29일 코드 A 3라운드에서 [[김동원(프로게이머)|김동원]] 선수에게 패배하며 다음시즌 승강전을 기다리게 된다. === [[IEM]] Season VI - Global Challenge Sao Paulo === 2월 8일부터 2월 11일까지 대회를 치렀다. 풀리그로 치러지는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A조 전승으로 8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8강의 러시아 저그 [[sLivko]], 4강의 한국 프로토스 [[오진실]] 선수들을 잡아내고 결승전에 진출한다. 그러나 결승에서 [[김동환(프로게이머)|김동환]] 선수에게 1:3으로 패배하며 우승에는 아쉽게 실패한다. === IEM Season VI - World Championship === 3월 6일부터 3월 10일까지 대회를 치렀다. 조별풀리그로 치러지는 그룹 스테이지에서 D조 3승2패 조2위로 12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된다. 12강에서 [[최정민(프로게이머)|최정민]] 선수에게 패배하며 탈락하고 만다. === [[2012 HOT6 GSL Season 2]] === 3월 16일 승강전에서 [[박성준]] 선수에게 패배하나 나머지 [[안호진]], [[장현우(프로게이머)|장현우]], [[임요환]] 선수들을 모두 잡아내며 코드 S에 다시 참여하는데 성공한다. 3월 26일 코드 S 32강 B조 [[안상원(스타크래프트2)|안상원]], [[정민수(프로게이머)|정민수]] 선수들을 잡아내며 16강에 진출한다. 4월 18일 코드 S 16강 A조 첫상대인 [[박준용]] 선수에게 패배하나, 패자조의 정민수 선수를 잡아내고 최종전에 진출한다. 최종전에서 박준용 선수를 다시 만나 복수의 승리에 성공하고 오랜만에 8강에 진출한다. 5월 3일 8강에서 [[송현덕]] 선수에게 0:3 셧아웃을 당하며 탈락하고 만다. === [[2012 무슈제이 GSL Season 3]] === 6월 18일 코드 S 32강 E조 첫상대인 [[권태훈]] 선수에게 유리했던 첫세트를 역전패로 내주나 2,3세트는 멘탈을 다시 가다듬고 침착한 경기력으로 잡아내며 패승승으로 승리한다. 이후 승자조의 [[김동주(프로게이머)|김동주]] 선수까지 2:0으로 잡아내며 16강에 진출한다. 7월 5일 코드 S 16강 D조 첫상대인 [[임재덕]] 선수에게 두세트 모두 완벽한 수비 앞에 0:2 패배를 당하며 패자조로 내려간다. 패자조에서는 [[김동원(프로게이머)|김동원]] 선수를 2:1로 잡아내며 최종전으로 진출한다. 그러나 최종전에서 임재덕 선수를 다시 만나게 된다. 1:1을 맞추며 3세트까지 하게 되나 생더블을 시도한 김영진에게 임재덕은 10못치즈 러쉬를 날리며 허무한 패배를 맞게 된다. 7월 25일 코드 A 3라운드에서 [[최병현(1992)|최병현]] 선수에게 0:2로 패배하며 다음시즌 승강전을 기다리게 됐다. === [[2012 HOT6 GSL Season 4]] === 8월 30일 [[임재덕 상]]을 타기 위해서는 이 고비를 넘겨야 한다고 했는데, 이 고비가 의외로 꽤나 높았다. 재경기 후에 천신만고끝에 [[코드 S]]에 합류, 9연속 진출에 성공한다. 특히 승강전의 17경기는 그 노련한 카메라 담당까지 선수들 얼굴과(심지어 김영진은 한숨까지 쉬었다.) 서성민의 짐싸는 모습으로 카메라를 돌리게할 정도로 불리했던 상황에서 잡은 명경기였다. 천신만고 끝에 올라온 [[코드 S]]지만, ~~패자전에서 임재덕을 잡긴 했어도~~'''[[박진영(게임 해설가)|테막왕 JYP]]'''에게 1승 4패를 기록하는 바람에 [[코드 A]] 2라운드행...10연속 [[코드 S]]는 잠시 미뤄지게 되었다. === [[2012 HOT6 GSL Season 5]] === 10월 25일 승강전 [[김동원(프로게이머)|김동원]], [[안상원(스타크래프트2)|안상원]] 선수들에게 패배하며 핀치에 몰리나, [[최진솔]], [[이영호]] 선수들을 잡아내며 재경기의 희망을 잡는듯 했었다. 그러나 마지막의 안상원vs최진솔 경기에서 최진솔 선수가 패배하면서 재경기는 사라지고 그의 임재덕 상도 결국 날라가고 만다. 11월 16일 코드 A 1라운드 [[강현우(프로게이머)|강현우]] 선수에게 패배하며 예선으로 떨어지고 만다. == 팀리그 성적 == === [[2012 GSTL Season 1]] === 1월 28일 A조 예선전 2경기 [[oGs]]의 주축 선수들이였던 [[장민철]], [[이윤열]],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 선수들이 모두 해외팀으로 떠나면서 자신이 팀의 에이스 역할을 맡게 되며 마지막 에이스 결정전에 출전하게 된다. 결국 [[ZeNEX]]의 [[박준성]], [[이승현(1997)|이승현]] 선수들을 잡아내며 팀의 승리를 확정짓고, 에이스 역할을 충실히 해냈다. 3월 23일 A조 조별 리그 5경기 [[FXO.KR]]의 [[이인수(프로게이머)|이인수]] 선수를 잡아내나 다음 타자인 [[이대진]] 선수에게 패배한다. [[분류:프로게이머/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