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회 상임위 위원장)] || {{{#fff '''현직 및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서대문구 을|{{{#cfa547 서대문구 을}}}]])'''}}} || || 제17-19대[br][[정두언]] || → || '''제20-22대[br]김영호''' || → || ''현직''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중앙당)] [include(틀:역대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위원장)]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시도당위원장)]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서울특별시)] }}} || ||<-2> '''[[대한민국 국회의원|{{{#fff 대한민국 제20-22대 국회의원}}}]][br]{{{+1 김영호}}}[br] 金映豪 | Kim Young-ho''' || ||<-2> [[파일:김영호(더불어민주당).jpg|width=100%]] || ||<|2> '''출생''' ||[[1967년]] [[9월 13일]] ([age(1967-09-13)]세)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 '''거주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남가좌동]] [[DMC파크뷰자이]] || || '''본관''' ||[[김해 김씨]][* [[김해 김씨]] 계보에 없다. 할아버지 까지만 이름이 있고 이전에는 이름이 없었다.] || || '''현직''' ||[[제22대 국회의원]][br][[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서대문구 을]] 지역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제5정책조정위원장[br][[교육위원회]] 위원장 || || '''링크''' ||[[http://blog.naver.com/frencisco|[[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minjoo_kimyoungh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channel/UCqla28ulqig6sTFAA-zNao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injoo05, 크기=20)] | [[https://facebook.com/stookim|[[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아버지 [[김상현(1935)|김상현]], 어머니 정희원[br]배우자 [[정현경(아나운서)|정현경]], 슬하 1남^^(2013년생)^^ || || '''학력''' ||[[마포고등학교]] {{{-2 ([[졸업]])}}}[br][[베이징대학/학과#s-5|베이징대학 사회과학학부]] {{{-2 ([[국제학부|국제학]] / [[학사]])}}}[br][[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 ([[중국학과|중국학]] / [[석사]])}}} || || '''병역''' ||[[대한민국 육군|육군]] [[제56보병사단]] [[상병]] 복무만료[* [[소집해제]]][br]{{{-2 ([[1987년]] [[8월 3일]] ~ [[1989년]] [[2월 2일]])}}} || || '''신체''' ||173cm || || '''종교''' ||[[천주교]] {{{-2 ([[세례명]]: [[프란치스코]])}}}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지역구''' ||[[서울특별시|서울]] [[서대문구 을]] || || '''의원 선수''' ||'''3''' || || '''의원 대수''' ||'''[[제20대 국회의원|20]], [[제21대 국회의원|21]], [[제22대 국회의원|22]]''' || || '''소속 위원회''' ||[[교육위원회]] '''(위원장)''' || || '''경력''' ||[[스포츠투데이]] 기자[br][[새천년민주당]] 당무위원 및 상임위원[br][[열린우리당]] 당무위원[br][[대통합민주신당]] 당무위원[br][[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당무위원 및 상임위원[br][[민주당(2008년)|민주당]] 당무위원[br][[민주통합당]] 당무위원[br][[민주당(2013년)|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민주당(2013년)|민주당]] 서울특별시당 대변인[br]한국외대 중국연구소 연구위원[br]중국 옌타이 대학교 객좌교수[br][[베이징대학]] 한국총동문회 부회장[br][[새정치민주연합]] 전임위원[br][[더불어민주당]] 전임위원[br][[제20대 국회의원]] {{{-2 ([[서대문구 을|서울 서대문구 을]] / [[더불어민주당]])}}}[br][[더불어민주당]] 제2사무부총장[br][[더불어민주당]] 당외협력사무부총장[br][[더불어민주당]] 미래소통부총장[br][[제20대 국회]] 전반기 재난안전대책특별위원회 간사[br][[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br]한중청년지도자포럼 대표위원[br][[더불어민주당]] 제2정책조정위원장[br][[제21대 국회의원]] {{{-2 (서울 서대문구 을 / [[더불어민주당]])}}}[br][[대한민국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 정무특보단 하이블루청소년위원회 정책고문[br][[제21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간사[br][[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당대표 비서실장[br][[더불어민주당]] 제7정책조정위원장[br]제21대 국회 후반기 [[교육위원회]] 간사[br][[제22대 국회의원]] {{{-2 (서울 서대문구 을 / [[더불어민주당]])}}} ||}}}}}}}}} || [목차] [clearfix] == 개요 == >'''국민만 보고 뛰겠습니다.''' 대한민국의 기자 출신 정치인. 선친은 6선 국회의원 [[김상현(1935)|김상현]] 전 의원[* 20대때 김대중에게 직접 연설을 교육받았고 정치를 시작한 이후에는 정계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막내동생이라는 소리를 들을만큼 의형제급으로 가까운 사이였다. 김대중을 사석에서 그냥 형님이라 불렀던 몇 안되는 인물. 하지만 1997년 대통령 선거에서 독립운동가 출신 정치인인 [[정일형]]의 [[아들]]로 유명한 [[정대철]]과 연합하여 당시 총재였던 김대중의 경선당선을 방해했던 인물이기도 하다. 김대중과의 사이는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상현이 잠시 [[김영삼]]에게 붙었을 때부터 조금씩 틀어졌었지만, 대선 이후로는 원수처럼 되어버렸다. 오히려 박정희 정권때가 두 사람 사이의 전성기였다.]이다. == 생애 == [[1967년]] [[9월 13일]], 아버지의 국회의원 첫 임기 중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서 태어났다. [[마포고등학교]] 졸업 후 1987년 8월 3일 [[대한민국 육군|육군]]에 [[방위병]]으로 입대하여 [[제56보병사단]]에서 [[소총수]]로 복무하였으며, 1989년 2월 2일 [[상병]]으로 [[소집해제]]되어 병역을 마쳤다. 1993년 9월 [[베이징대학]] 국제학부에 입학해 1997년 7월 졸업했고, 이후 [[서강대학교 대학원|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에서 [[중국학과|중국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서울 [[서대문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노무현 탄핵 사태]]에 휘말려 처참한 성적으로 3위로 [[낙선]]했다. 이때 같이 출마한 부친 김상현도 [[광주광역시]] [[북구 갑(광주)|북구 갑]]에서 낙선하고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총선 직후 이듬해인 2005년에 아버지는 [[새천년민주당]]이 개편된 [[민주당(2005년)|민주당]]에 계속 잔류한 거와 달리 본인은 새천년민주당이 개편되기 전에 탈당해 [[열린우리당]]에 입당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후보로 이번엔 [[선거구]]를 갑에서 [[서대문구 을|을]]로 바꿔 출마한다. 갑 선거구 현역 의원 [[우상호]]와 2005년 열린우리당 입당[* 사실 정계입문했던 2002년부터 우상호가 탈당한 시점인 2003년 사이에 잠시 같은당이었다.] 이후 같은 당이 됨에 따라 지역구를 조정한 것. 그리고 [[한나라당]] [[정두언]]과 사투를 벌이게 되나, 18대 총선이 워낙 야권에 불리했던지라[* 정두언은 [[이명박]]이 [[서울특별시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서울시 정무부시장으로 일하면서 서대문구 을에 속한 [[남가좌동]]과 북가좌동에 [[가재울뉴타운]]을 유치한 것이 주민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노무현 탄핵 역풍으로 한나라당이 불리했던 [[17대 총선]]에서 당선되었다. 그 후 정두언은 2007년 17대 대선에서 이명박이 압승함으로서 일약 정권 실세로 떠올랐고, [[18대 총선]]에서 [[서대문구 을]]에 민주당에서 공천신청자가 단 한 명도 없어서 김영호가 전략공천되었던 것이다.][* 서대문구 을은 [[16대 총선]] 때까지만 해도 민주당계의 성지였다. 16대 총선 당시 인접한 서대문구 갑 [[지역구]]를 비롯하여 [[마포구 갑]]/[[마포구 을|을]], [[은평구 갑]]/[[은평구 을|을]]에서 한나라당 후보들이 당선되는 와중에도 서대문구 을만 유일하게 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을 정도였다. 그 정도이던 서대문구 을에 18대 총선에서 민주당 공천신청자가 단 한 명도 없었다는 것은... 한편 [[제17대 대통령 선거|직전 대선]]에서 이명박에게 패배한 [[정동영]]의 서대문구 을 출마설이 나돌았지만, [[동작구 을]]에 공천되었고, 정동영의 입장에서는 [[정두언|여우]]를 피하려다 [[정몽준|호랑이]]를 만난 꼴이 되어 버렸다.] 역시 큰 차이로 낙선하였다[* 이 선거에서 정두언은 서울의 한강 이북 지역에 출마한 한나라당 후보들 중에서 가장 압도적인 득표율 '''(59.1%)'''을 올렸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역시 [[새누리당]] 정두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겨우 625표 차로 [[정통민주당]] 후보[* [[남가좌동|남가좌2동]] 지역에서 1995년과 2002년에 서대문구의원에 당선되었던 홍성덕 후보.]만 아니었으면 당선되었을 상황이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치러진 [[더불어민주당]] 내 경선에서 호남 3선 중진 [[이강래]] 전 의원을 제치고 공천받았다. 그리하여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이번에는 새누리당 [[정두언]] 후보를 꺾고 마침내 당선되었다. 해당 선거에서 당선을 전제로 서대문구 을 선거구의 투표율이 61%를 넘길 경우, 서대문구 [[홍제천]] [[폭포]]에 입수하겠다고 하였다. 그리고 당선되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7175254|해당 약속을 이행하였다]]. 20대 국회의원 재직 당시 부친상을 당했다. [[21대 총선]]에서도 같은 지역에 공천을 받았고, 60%가 넘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 전반기에는 [[외교통일위원회]] 민주당 간사 역할을 맡게 되었다. 간사 역할을 맡게 된 도중, 더불어민주당 당대표비서실장에 임명되었고, [[외교통일위원회]] 민주당 간사는 [[이재정(1974)|이재정]]에게 넘어갔다. 2022년 [[더불어민주당/2022년 전당대회|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서울특별시당 위원장에 선출되었다.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대문구 을]] 지역구에서 3선을 노린다. 비교적 손쉬운 승리를 거뒀던 21대 총선 때와는 달리 이번엔 당내 경선에서 3선 [[서대문구청장]] 출신인 [[문석진]]의 벽을 힘겹게 넘었고,[* 경선 결과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힘겹게 넘었다'는 건 확실치 않다. 분명한 건 민주당 공천 당규에 따르면 경쟁력이 월등했다면 단수공천을 받았을텐데 경선을 치렀다는 것은 공천 심사 결과 문진석과 경쟁력 차이가 월등하지 않았다는 것인데, 이는 문진석이 3선 구청장 출신이었다는 걸 감안하면 납득 가능한 부분이다.] 본선에서는 2024년 1월 10일까지 [[외교부장관]]을 지냈고, 출마한 4번의 총선에서 모두 승리했던[* [[종로구(선거구)|종로구]]에서 2002년 8월 재보선, 17대 총선, 18대 총선까지 3연승했다. 특히 17대 총선은 [[노무현 탄핵 사태]] 역풍을 뚫고 지역구를 수성했고, 18대 총선은 [[이명박 정부]]의 허니문 기간이었다는 것을 감안해도 경기도지사까지 지낸 [[손학규]] 후보를 눌렀다. 그 후 21대 총선에선 [[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가 종로구에 출마하자 [[강남구 을]]로 내려왔는데 그 곳에서 4년 전 24년 만에 강남구에 민주당의 깃발을 꽂았던 [[전현희]] 후보를 힘겹게 꺾었다.] [[국민의힘]] [[박진]] 후보와의 맞대결이 성사되어 과거에 비해 힘겨운 선거전을 치를 것으로 보였다. 선거 당일 출구조사에서 경합으로 분류되었으나 개표 결과 15,000표 정도 차이로 넉넉한 승리를 거둬 3선 고지를 밟았다. 즉, 박진을 패배시킨 첫번째 정치인인 셈이다. 또한 서울시당위원장으로서 서울 지역 총선을 지휘해서 비록 [[21대 총선|지난 총선]]보다는 의석수가 줄었지만 최근 선거들에서 입증된 서울 보수세 강화 흐름을 꺾고 대승을 이뤄내서 향후 입지가 더 넓어질 것으로 보인다.[* [[종로구(선거구)|종로구]]를 탈환했지만 [[도봉구 갑]], [[마포구 갑]], [[동작구 을]]을 잃었다. 그래도 보수세가 상당하지만 개인기로 지키고 있어서 이번 총선에선 넘어갈 것으로 보였던 [[양천구 갑]], [[강동구 갑]], [[영등포 을]], [[송파구 병]]을 지켜냈으니 결코 나쁘지 않은 결과였다.] == 논란 == ===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사건 ===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사건]]과 관한 [[무소속(정치)|무소속]] [[윤관석]] 의원에 대한 정당법 위반 혐의 재판 과정에서 [[송영길]] 전 대표의 보좌관인 [[박용수]] 씨가 증인으로 심문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2021년 전당대회 당시 송 전 대표를 지지하는 [[국회의원]] 모임 참석 예정자 의원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31121/122284499/1|21명의 명단이 공개]]되었으며, 김영호 의원도 이 명단에 포함되어 있다. 2024년 1월 15일, [[검찰]]이 '돈봉투 수수' 의심을 하는 김영호 의원에게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40115500143|소환조사를 통보]]하였다. 이에 대해 [[김수철(1969)|김수철]] 전 [[국민의힘]] 여의도연구원 부원장은 2024년 1월 29일, 돈봉투를 주고받는 정치권의 이중성에 분노를 표하며 김영호 의원의 선거구인 [[서대문을]] 지역구에 [[https://www.mbn.co.kr/news/politics/4998727|출마를 선언]]하였다. === 대구광역시 비하 === 2019년 10월 10일 [[행정안전위원회]] 대구광역시에 대한 국정감사 도중 '''"[[대구광역시|대구]]가 수구 도시"'''라는 발언을 해 [[지역비하]]로 몰매를 맞았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3&aid=0003479087|#]] 대구의 위성도시인 [[경산시]]에서 오히려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후에도 김영호 의원이 있는 지역구 시민들도 상당히 불편해하며 좋게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반면 부친 [[김상현(1935)|김상현]]은 [[김대중]]의 측근으로써 '''[[대구광역시]]'''에 대한 충성심이 있었는데 아들이 공을 깎아 먹는다는 비판이 일어났다. 한편, 김영호 의원은 서울 지역구 의원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21대 총선 당시 선거사무소 외벽 현수막에 '국민만 보고 뛰겠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힘내라 대구경북' 이라는 문구를 넣은바 있다. 당시 코로나19가 심각했던 대구 시민들을 응원하는 메세지를 담은 이유에 대해 김영호 의원은 '코로나19로 가장 피해를 본 TK를 응원하는 것에 대해 서대문 주민들도 같은 마음일 것'이라고 말했고, 언론과 대구시민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 '오염수 영상 아나운서는 국민의힘 당직자' 가짜 뉴스 === 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안전 영상에 출현한 박보경 아나운서를 겨냥해 “이 아나운서를 포털에서 찾아보니 정말 놀라운 기록이 나왔다. 현재 [[국민의힘|국힘]] 당무위원이고 정치가로 분류가 돼있다”며 “국비를 쓴 콘텐츠의 소개자에 여당 당직자를 쓴다는 건 문제 아니냐”고 했다. 그러면서 “(이 아나운서가) 윤석열 대통령 취임 행사,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한국자유총연맹 창립 69주년 행사, 광복절 경축식 사회를 맡았다. 이 아나운서가 그간 정부에서 행사비 명목으로 지급받은 급여 내역을 모두 제출하라”고 했다. 그러나 [[김은혜]] 홍보수석은 국민의힘에 문의해서 당직자나 당원이 아님을 확인했다고 하며,무슨 근거로 그런 주장을 했는 지 되묻자 김영호는 [[위키]]라고 대답하였다. 박보경 아나운서도 "정당은 가입한 적 없고, 대통령이 참석하는 행사 중 사회자가 필요한 행사가 취임 이후 300개가 넘는데 그 중에 나는 11개 했을 뿐이다."며 반박한 뒤 "내가 무슨 범법 행위를 저지른 것처럼 의원이라는 사람이 공개 석상에서 그냥 제기해 보고 말면 수습은 누가 하나. 한 번만 확인해 봐도 알 수 있는 건데 너무 무책임한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https://www.chosun.com/politics/assembly/2023/09/08/WKKCTVUY75E5FH56U2K6K3NCSI/|#]] 다만, 김영호 의원은 당시 국회 예결위 종합정책질의를 통해 '포털에서 국민의힘 당원이고 당무위원이고 정치가로 분류되어 있는데 이게 사실이라면 상당한 파장이 있을 것'이라고 했지 그 아나운서가 국민의힘 당원이라고 단정지은 바는 없다. 또한, 오히려 박보경 아나운서가 국민의힘 당원과 당무위원이 아니었으면 오히려 그러한 잘못된 이력을 방치한 당사자에게 국민의힘 측에서 항의했어야 할 일이라는 의견들도 있다. == 의정활동 == === 김승희 의전비서관 딸 학교폭력 폭로 === 2023년 10월 20일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윤석열 정부 제2대 대통령비서실 의전비서관 김승희 딸 학교폭력 가해 사건[[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941052?sid=102]]을 최초로 폭로했다. 21대 국회 마지막 국정감사는 정쟁만 되풀이해 '맹탕, 낙제점' 지적을 받았고, 결정적 한방이 없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런데 대통령실 김승희 의전비서관 자녀의 학교폭력 사실을 최초로 세상에 알린 김영호 의원은 대통령실의 즉각적인 후속조치를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유일하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여담 == * 아내 [[정현경(아나운서)|정현경]]은 15년간 EBS 아나운서로 근무했으며, 지금은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 늦둥이 아들이 있다. 2013년에 첫 아들이 태어났다고 한다.[* 2024년 기준 초등학교 5학년] * 2018년 6월 29일에는 [[아이스 버킷 챌린지]]를 도전한 적이 있었다.(!!)[[https://youtu.be/SR-wKbXhtEc|#]] * 부친의 긴급체포 등 [[유신]]정권 시대의 피해 경험 때문에 재선이 될 때까지 [[자유한국당]]-[[미래통합당]] 의원과 식사조차 단 한 번도 안할 정도로 아직도 적개심이 매우 크다고 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702153300001|#]] * 법률소비자연맹에서 21대 국회 개원 후 3년간 국회의원들의 본회의 재석률을 조사해 본 결과, 재선 의원들 중 유일하게 재석률이 9할을 넘긴 의원이었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0724004005|#]]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2 - 2005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2005 || 탈당[* [[열린우리당]] 입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5 - 2007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7 || 탈당[* 당내 노선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2008 || 창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합당[* [[민주당(2007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201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5 - 현재 || 당명 변경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서대문구 갑|서대문 갑]]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3,893 (4.62%) || 낙선 (3위) ||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5> 서울 [[서대문구 을|서대문 을]]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56 (32.08%) ||<|2> 낙선 (2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민주통합당)] || 34,755 (48.52%) ||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41,525 (48.90%)''' ||<|3> '''당선 (1위)''' || '''초선'''[* 4번의 선거 중 첫 당선]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58,328 (61.33%)''' || '''재선''' || || 2024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7,198 (57.62%)''' || '''3선'''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김영호_2004벽보.jpg|width=100%]] || [[파일:김영호_2008벽보.jpg|width=100%]]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17대 총선}}}]] [[서대문구 갑|{{{#000,#fff (서울 서대문구 갑)}}}]]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18대 총선}}}]] [[서대문구 을|{{{#000,#fff (서울 서대문구 을)}}}]] || || [[파일:김영호_2012벽보.jpg|width=100%]] || [[파일:김영호_2016벽보.jpg|width=100%]]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19대 총선}}}]] [[서대문구 을|{{{#000,#fff (서울 서대문구 을)}}}]]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0대 총선}}}]] [[서대문구 을|{{{#000,#fff (서울 서대문구 을)}}}]] || || [[파일:김영호_2020벽보.jpg|width=100%]]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1대 총선}}}]] [[서대문구 을|{{{#000,#fff (서울 서대문구 을)}}}]]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2대 총선}}}]] [[서대문구 을|{{{#000,#fff (서울 서대문구 을)}}}]]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서대문구 출신 인물]][[분류:1967년 출생]][[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제21대 국회의원]][[분류:제22대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김해 김씨]][[분류:한국의 정치인 자녀]][[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자]][[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마포고등학교 출신]][[분류:베이징대학 출신]][[분류:서강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