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모란공원 안장자[br]{{{+2 김용균}}}'''}}}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용균.jpg|width=100%]]}}} || ||<|2> {{{#fff '''출생'''}}} ||[[1994년]] [[12월 6일]]|| ||[[경상북도]] [[구미시]]|| ||<|2> {{{#fff '''사망''' }}} ||[[2018년]] [[12월 11일]] (향년 24세)|| ||태안화력발전소|| || {{{#fff '''묘역''' }}} ||[[모란공원]]|| || {{{#fff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fff '''가족''' }}} ||[[김미숙(노동운동가)|김미숙]] {{{-2 (母)}}}[br]김해기 {{{-2 (父)}}}|| || {{{#fff '''학력''' }}} ||[[영진전문대학]] {{{-2 (졸업)}}} || || {{{#fff '''소속''' }}} ||[[한국서부발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태안화력본부 트랜스퍼타워에서 근무하던 [[노동자]]. [[태안화력발전소 사고]]로 인해 [[죽음|사망]]하였다. == 생애 == [[1994년]] [[12월 6일]]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아버지 김해기와 어머니 [[김미숙(노동운동가)|김미숙]]의 [[외아들|외동아들]]로 태어났다. [[2018년]] [[경상북도]] [[칠곡군]]의 [[영진전문대학교]]를 졸업 후 [[한국발전기술]]에 입사했다. 그는 태안화력발전소로 알려진 서부발전 태안화력본부의 트랜스퍼타워에 배치된다. 고향인 구미에서 수십군데 이력서를 넣었지만 취직이 되지 않아 첫 직장으로 태안화력발전소에 들어가면서도 업무 시간 외에는 공부를 했다고 한다. 입사후에는 하청업체 직원으로 안전장치없는 열악한 근무환경에서 일한것으로 알려졌다. 김용균은 비정규직 노동조합에서 진행하는 "문재인 대통령, 비정규직 노동자와 만납시다" 피켓팅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http://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category1=40&nid=105950|#]] [* [[파일:김용균 피켓.jpg|width=250]] [br] 피켓의 문구와 그의 비극적인 죽음이 어울려져, 사후 그가 피켓팅을 하는 사진은 그의 죽음과 대한민국의 열악한 노동현실을 상징하는 사진으로써 추모조형물, 시위 포스터 등에 쓰인다.] 2018년 12월 11일 새벽 [[태안화력발전소 사고|기계에 끼여 사망했다]]. 이후 어머니 [[김미숙(노동운동가)|김미숙]]이 김용균재단을 설립해 활동 중이다. [[http://yongkyun.nodong.org/|재단홈페이지]] == 여담 == 사고 이후 김용균재단에서 '김용균, 김용균들'이란 책을 출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1307977?sid=103|#]] [[분류:1994년 출생]][[분류:2018년 사망]][[분류:구미시 출신 인물]][[분류:재난으로 죽은 인물]][[분류:모란공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