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정치인, rd1=김용복(정치인))] |||| '''{{{+1 김용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용복 목사.jpg|width=100%]]}}} || || '''본명''' ||김용복 || ||<|2> '''출생''' ||[[1938년]] [[11월 1일]] || ||[[전라북도]] [[김제시]] || || '''사망''' ||[[2022년]] [[4월 7일]] (향년 84세)|| || '''직업''' ||목사, 신학자 || || '''학력''' ||[[연세대학교]] (철학과)[br]프린스턴 신학교[br]프린스턴 신학대학원 || || '''경력'''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신학위원[br]통일문제전문위원[br][[한일장신대학교]] 총장[br]한국기독교학회 회장[br]한국민중신학회 회장[br][[YMCA|한국YMCA 생명평화센터]] 고문[br]한국목회학박사원 원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목사로, [[교회 일치 운동]]의 원로이자 1세대 [[민중신학]]자이다. == 생애 == [[1961년]], [[연세대학교]]에서 철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으로 가 프린스턴 신학교와 프린스턴 신학대학원에서 한동안 신학 공부에 집중했다. 신학 공부를 하다 세계기독학생연맹에 가입해 활동하다가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의 신학위원과 통일문제 전문위원을 지낸 뒤 [[한일장신대학교]]의 총장을 1992년부터 지냈으며 1994년에 한국기독교학회의 회장이 되어 1995년까지 지냈다가 한일장신대학교 총장으로의 활동도 1999년에 마쳤다. 같은 해 한국민중신학회 회장을 지내게 됐으며 2000년에 그만두고 대한민국에서의 활동뿐만이 아니라 국외에서도 아시아기독교협의회, [[세계교회협의회]], 세계개혁교회연맹 등에서도 활동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YMCA|한국YMCA 생명평화센터]] 고문, 한국목회학박사원 원장 등을 지내며 민중신학 형성에 기여했고 ‘한국 민중과 기독교’, ‘한국 민중의 사회 전기’ 등의 저서를 남겼고, 2018년에는 김 목사의 팔순을 축하하는 기념논문집 '민중과 생명'이 발간되기도 했다. == 사망 == [[2022년]] [[4월 7일]], 오후 향년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NCCK]]는 "김 목사는 에큐메니컬 원로로, 얼마 전 세상을 떠난 서광선 박사와 함께 활동했던 분"이라며 "고인의 영원한 안식과 하늘의 위로를 빈다"라며 애도했다. 세계선교협의회는 '민중신학의 선구자' '가난하고 억압받는 이들에게 정의와 해방을 구현하기 위해 투쟁한 아시아 신학자'로 소개하면서 "그의 비전이 앞으로 더 많은 세대들에게 영감을 줄 것이라고 굳게 믿는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전했다. 4월 7일, 오후 7시 30분에 [[인하대병원]]에서 임종 예배가 거행됐으며, 빈소는 [[서울특별시]] [[신촌세브란스병원]]에 마련됐다. [[분류:대한민국의 목사]][[분류:대한민국의 학자]][[분류:1938년 출생]][[분류:2022년 사망]][[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김제시 출신 인물]][[분류:광산 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