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G 트윈스/간략(코칭스태프))] ---- ||
'''{{{#ffffff 김용일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svg|width=auto&height=70]][br] '''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종목''' '''{{{#d4af37 금메달(코치)}}}''' || || '''[[김경문호/2008년|{{{#FFFFFF 2008}}}]]''' || ---- ||<-5>
'''{{{#fab93d [[현대 유니콘스|'''{{{#fab93d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88번}}}''' || || [[최계훈]][br](1995~1999) || {{{+1 →}}} || '''{{{#fab93d 김용일[br](2000~2007)}}}''' || {{{+1 →}}} || 팀 해체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88번}}}''' || || [[박현식]][br](1991~1992) || {{{+1 →}}} || '''{{{#fff 김용일[br](2009~2018)}}}''' || {{{+1 →}}} || 결번 || || 결번 || {{{+1 →}}} || '''{{{#fff 김용일[br](2020~)}}}'''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2LG 수석트레이너 김용일.png|width=100%]]}}} || ||<-2> '''LG 트윈스 No.88''' || ||<-2> '''{{{#ffffff {{{+2 김용일}}}[br]Kim Yong-Il}}}''' || ||<|2> '''출생''' ||[[1966년]] [[10월 1일]] ([age(1966-10-01)]세) || ||[[경상북도]] [[예천군]]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보성초 - 예천중 - 경북체고 - [[안동대학교|안동대]] -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 || '''신체''' ||170cm, 88kg || || '''소속팀''' ||[[MBC 청룡]] 트레이너 (1989)[br][[LG 트윈스]] 트레이너 (1990~1999)[br][[현대 유니콘스]] 트레이너 (2000~2001)[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트레이너[* [[류현진]] 전담] (2019) || || '''지도자''' ||[[현대 유니콘스]] 1군 트레이닝 코치 (2002~2007)[br][[삼성 라이온즈]] 1군 트레이닝 코치 (2008)[br][[LG 트윈스]] 1군 트레이닝 코치 (2009~2017) [br][[LG 트윈스]] 육성군 트레이닝 코치 (2018)[br][[LG 트윈스]] 1군 수석 트레이닝 코치 (2020~) || [목차] [clearfix] == 개요 == [[LG 트윈스]]의 트레이너. [[1966년]] [[10월 1일]] [[경상북도]] [[예천군]] 출생. == 생애 == 경북체육고등학교와 [[안동대학교]]를 졸업하고 [[1989년]] [[MBC 청룡]]의 트레이너를 시작으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20&aid=0001946154|야구계에 몸담았다.]][* 일부 포털 사이트에 김용일 코치가 [[MBC 청룡]]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고 나오는데, 김용일 코치는 '''야구부가 없는''' 경북체고와 [[안동대학교]]를 졸업했다. 또한 아래서도 나오지만 고교 때는 '''양궁 선수'''였다. 트레이너로 [[MBC 청룡|청룡]]에 들어간 게 와전된 듯.] 이후 [[LG 트윈스]]와 [[현대 유니콘스]]에서 트레이너로 있었는데, [[현대 유니콘스]]에 있을 적인 [[2002년]]에 체계적인 선수단 트레이닝 시스템을 구축한 것을 인정받으며 '''국내 최초로 트레이닝 코치''' 직함을 달게 되었다.[* 요즘 눈으로 이게 별거냐 싶겠지만, 당시까지만 해도 KBO 규정에 '''코치의 정원이 있었다.''' 즉 __트레이너를 코치로 임명하면 그만큼 다른 자리에서 쓸 수 있는 코치를 줄여야 했다.__ 이런 불리한 점을 무릅쓰고 코치로 임명한 것은 그만큼 실력과 필요성을 인정했다는 뜻이다. 점점 코치의 분업화가 일어나면서, 각 구단에서 정원 제한 규정을 없애자고 하여 폐지된 다음에야 다른 팀에서도 트레이너를 코치로 임명하는 일이 생겼다.] [[1997년]]에는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前 [[넥센 히어로즈]]의 [[이지풍]] 트레이닝 코치도 김용일을 통해 [[현대 유니콘스]]에서 실습을 받은 후 트레이너로 발돋움할 수 있었다.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되고 선수들이 [[넥센 히어로즈|제8구단]]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임한 후, [[2008년]] 6월부터 [[삼성 라이온즈]]의 트레이닝 코치로 자리를 옮겼고 베이징 올림픽 야구 국가대표팀의 트레이너도 겸임했다. [[2009년]] 1월부터 [[LG 트윈스]]로 돌아와 트레이닝 코치를 맡고 있다. 국내 트레이너들 중 최고의 트레이너로 인정받으며 [[1998 방콕 아시안 게임]]에 트레이너로 참가한 것을 시작으로, 여러 국가대표팀에 트레이너나 트레이닝 코치로서 꾸준히 참가하고 있다. 여담으로 경북체고 시절에는 [[양궁]] 선수였으나, 고등학교 3학년 때 부상으로 꿈을 접어야 했던 아픈 과거가 있었다. 아무래도 그 때문에 트레이너 일을 시작한 것 같다.[* [[대한민국]]이 리우 올림픽 [[양궁]] 전 종목 금메달을 싹쓸이하는 데 마침표를 찍은 [[구본찬]]도 경북체고와 안동대를 나온 선수다.] 별명으로는 "[[테디 베어]]"가 있다. 2018년을 끝으로 [[LG 트윈스]]를 떠나 2019년에는 [[류현진]]의 개인 전담 트레이너로 활동한다. 공식적으로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소속 트레이너이다.[* 2014 시즌 아시안게임 브레이크 때 다저스 구단을 방문했는데 이때 인연이 되었다고 한다.] MLB에서 트레이너로 일하는 것이 꿈이었는데 덕분에 꿈을 이뤘다고. 그리고 류현진이 메이저 리그 데뷔 이래 커리어 하이 페이스를 보여주면서 덩달아 이름값이 올랐다. 2019 시즌 후 류현진과 결별했고 2020 시즌부터 다시 [[LG 트윈스]]의 트레이닝 코치를 맡을 예정이다. 타지 생활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하며 류현진도 [[토론토 블루제이스|토론토]]와 계약 후 인터뷰에서 "코치님도 가족과 함께할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어려울 것 같다"며 굳이 붙잡진 않았다. 그의 후임으로는 LG에서 트레이닝 코치로 일한적이 있는 김병곤 트레이닝 코치와 새로 계약했다. 2020년 7월 20일에는 [[최숙현]] 선수와 관련해서 대한선수트레이너협회 회장 자격으로 [[김현정의 뉴스쇼]]에 전화연결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2022년 2월 15일 한국리틀야구연맹(회장 [[유승안]])의 사외이사 겸 의무위원으로 선임되었다. == 여담 == * 싱어송라이터로 활동하는 '우주소년'이 아들이라고 한다. * 지금은 탈모가 왔지만 트레이너 초창기 시절에는 머리숱이 풍성했다고 한다. * 2023년 8월 30일에 모친상을 당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LG 트윈스/선수단]]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용일, version=182)] [[분류:대한민국의 양궁 선수]][[분류:야구 관련 인물]][[분류:예천군 출신 인물]][[분류:1966년 출생]][[분류:안동대학교 출신]][[분류:경북체육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