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제주특별자치도지사)] ||<-2> '''{{{#fff {{{#fff 제4대 제주도지사}}}[br]{{{+1 김용하}}}[br]金容河 | Kim Yongh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우당 김용하.jpg|width=100%]]}}} || ||<|2> '''출생''' ||[[1896년]] [[12월 22일]]|| ||[[전라남도]] [[제주시|제주목]] [[애월읍|신우면]] 하귀리[br](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 || '''사망''' ||불명(1950년 납북)|| || '''본관''' ||[[광산 김씨]]|| || '''호''' ||우당(愚堂, 禹堂)|| || '''학력''' ||[[평양고등보통학교]] {{{-2 (졸업)}}}[br][[호세이대학]] {{{-2 (예과 / 졸업)}}}[br][[경성제국대학]] {{{-2 (철학 / 학사)}}}|| ||<|2> '''재임기간''' ||제4대 제주도지사 || ||[[1949년]] [[4월 21일]] ~ [[1949년]] [[11월 15일]] || || '''경력''' ||[[대구사범학교]] 교장[br][[경상북도]] 학무부 학무과장[br][[용산중학교]] 교장[br][[서울대학교 사범대학|경기사범학교]] 교장[br][[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교수[br]제4대 [[제주도지사]]||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교육인, 관료. 본관은 [[광산 김씨|광산]](光山)[* 문정공파-문간공파 35세. 본래는 35세손인데 조부 대부터 3세 아래의 항렬을 써서 38세손 용(容)자 항렬을 쓰게 되었다. 다음은 출처 사진이다. [[파일:김용하 증손자 족보 1.png]]], [[자(이름)|자]]는 달우(達宇), [[아호]]는 우당(愚堂, 禹堂). == 생애 == [[1896년]] [[12월 22일]] [[전라남도]] 제주목 [[애월읍|신우면]] 하귀리(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 [[광산 김씨]] 집성촌이다.][[http://people.aks.ac.kr/front/dirSer/ppl/pplView.aks?pplId=PPL_7HIL_A1896_1_0020532|#]]에서 아버지 김상수(金庠洙, 1871 ~ 1926. 6. 8)와 어머니 [[밀양 박씨]] 박계생(朴癸生, 1873 ~ 1937)[* 박성수(朴性守)의 딸이다.] 사이의 4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평양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제주도(일제강점기)|제주도]]에서 [[서기#s-3|서기]]로 2년간 일하다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호세이대학]] [[대학예과|예과]]를 마쳤다. 귀국하여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에 입학하여 [[철학과]]를 제2회로 졸업했다. 졸업 후 [[함경북도]] 종성중학교 교사와 [[경북대학교/학부/사범대학|대구사범학교]]장을 지냈다. [[박정희]]가 대구사범학교 재학 중일 때 학생과 교장으로 인연을 맺었다.[* 이러한 인연으로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 내에는 그의 호를 딴 '우당교육관'이라는 [[사범대학]]에서 사용하는 건물이 있다.] 해방 후 [[미군정]]에서 [[경상북도]] 학무부 학무과장에 임명되었고 서울 [[용산중학교]]와 경기사범학교[* 1946년 설립된 초등교원 양성학교. [[1949년]] 서울사범학교로 교명이 바뀌었고, [[1963년]] 폐교되었다.] 교장을 거쳐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교수가 되었다. [[1947년]] 정부 중앙물자행정처 기획국장 및 중앙청소비조합 전무이사를 역임하고, [[1949년]] 제4대 [[제주도지사]]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도지사 부임 7개월만에 표면적으로는 예전 사범학교 교장 시절의 공금횡령 등 혐의로, 실질적으로는 [[제주 4.3 사건]] 이후 혼란한 제주도정에 강경히 대응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퇴임하였으며, [[1950년]] [[서울]]로 이주한 후 곧 [[6.25 전쟁]]이 발발하여 [[납북]]되었다. == 가족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범대우가)] 부인 [[전(성씨)|전주 전씨]](全州 全氏) 전인항(全仁恒)은 [[평안북도]]에서 탄광을 운영하는 대부호의 집안에서 4남 3녀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 숭덕학교를 거쳐 [[이화여자전문학교]] 보육과를 마쳤다. 졸업 후 [[영변]]으로 돌아가 유치원 선생과 [[소학교]] 피아노 선생으로 재직하다가 형부의 소개로 김용하와 결혼하였고, 6남1녀를 두었는데 둘째 아들은 [[6.25 전쟁]] 때 아버지 김용하와 같이 납북당했고 다섯째 아들이 전 [[대우그룹]] 회장 [[김우중]]이다. 그리고 차남 김윤중은 전인항 여사 소생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2003년]] 남북 이산가족 상봉때 생모를 김평아라고 기재했다는 기사가 있다. * 장남 김태중: 대우어패럴 고문 * 차남 김윤중: 6.25 전쟁 때 아버지 김용하와 같이 납북당했다. 그래도 장수하며 오래살았는데, 막상 만날기회가 찾아왔을때는 김우중이 해외도피 중이었을 때라 죽을 때까지 김우중과 만나지 못했다. * 삼남 김관중: [[육군사관학교]], [[준장]] 예편, 대창기업 회장 (육사 11기로 [[전두환]], [[노태우]]와 친해 김우중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다.) * 사남 [[김덕중(교수)|김덕중]]: [[서강대학교]] 교수, [[교육부장관]], [[아주대학교]] 총장 * 오남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 * 육남 김성중: 델코 회장 * 장녀 김영숙 (남편 윤석철은 1940년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태어나 [[대전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에 입학했으나 [[물리학과]]로 전과, 문리과대학을 수석으로 졸업 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전기공학, 경영학, OR(Operation Research)을 전공,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 우당도서관 == 대우그룹에서는 김용하의 교육 정신을 기리기 위해 그의 호를 딴 우당도서관을 지어 제주도에 기증했다. [[분류:1896년 출생]][[분류:몰년 미상]][[분류:광산 김씨]][[분류:제주특별자치도지사]][[분류:상경계 교수]][[분류:제주시 출신 인물]][[분류:서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인문대학]][[분류:경성제국대학 출신]][[분류:호세이대학 출신]][[분류:납북자]][[분류:경북대학교 재직]][[분류:서울대학교 재직]][[분류:북한의 강제실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