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분류:산청군 출신 인물]][[분류:1924년 출생]][[분류:1944년 사망]][[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 || 성명 ||<(> 김용환(金用煥) || || 생몰 ||<(> [[1924년]] [[6월 24일]] ~ [[1944년]] [[12월 31일]] || || [[출생지]] ||<(>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평지리 || || 사망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 || 매장지 ||<(>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 || 추서 ||<(> 대통령표창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2005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김용환은 1924년 6월 24일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평지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서울 돈암동에 거주하던 1942년 5월경 한국의 독립 실현을 목적으로 활동하다가 체포된 뒤 수감 중 탈옥한 [[정태옥(독립운동가)|정태옥]]을 숨겨주고 그에게 여비 및 의복 등 편의를 제공하는 한편, 향후 독립에 대한 대화를 나누며 동지 관계를 이뤘다. 정태옥은 중앙청년동맹(中央靑年同盟) 집행위원을 역임했으며, 1930년대 이래 조선공산당 재건운동 인천조직준비위 책임자로 활동하던 사회주의 운동가였다. 그러나 얼마 후 이 사실이 드러나면서 두 사람 모두 체포되었고, 김용환은 1943년 2월 고등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및 범인 은닉 혐의로 징역 6개월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른 후 출소했지만 고문의 후유증을 이기지 못하고 1944년 12월 31일 서울 돈암동 자택에서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5년 김용환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그리고 2006년에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