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619년 출생]][[분류:1675년 사망]][[분류:가평군 출신 인물]][[분류:청풍 김씨]][[분류:조선의 국구]][[분류:조선의 관리]][[분류:노론]][[분류:서인]] [include(틀:조선의 부원군(국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11208, #7e2f22 20%, #7e2f22 80%, #511208)" '''{{{#ffd400 김우명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서인)] ---- [include(틀:노론)]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11208, #7e2f22 20%, #7e2f22 80%, #511208)" '''[[현종(조선)|{{{#ffd400 조선 현종의 장인}}}]] | [[명성왕후|{{{#ffd400 명성왕후의 부친}}}]][br]청풍부원군(淸風府院君) 충익공(忠翼公)[br]{{{+1 김우명}}}[br]金佑明'''}}}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우명 초상화.jpg|width=100%]]}}} || || '''출생''' ||[[1619년]] [[3월 24일]][br](음력 [[광해군]] 11년 2월 9일)|| || '''사망''' ||[[1675년]] [[8월 9일]] (향년 56세)[br](음력 [[숙종(조선)|숙종]] 1년 6월 18일)[* [[세는나이]] 57세.]|| || '''묘소''' ||[[강원도]] [[춘천시]] 서면 안보1리|| || '''[[봉호|{{{#ffd400 봉호}}}]]''' ||청풍부원군(淸風府院君)|| || '''[[시호|{{{#ffd400 시호}}}]]''' ||충익(忠翼)|| || '''[[본관|{{{#ffd400 본관}}}]]''' ||[[청풍 김씨]]|| || '''[[자(이름)|{{{#ffd400 자}}}]]''' ||이정(以定)|| || '''[[붕당|{{{#ffd400 붕당}}}]]''' ||[[노론]] ([[한당(붕당)|한당]])|| || '''가족''' ||{{{-3 아버지}}} [[김육]] / {{{-3 어머니}}} [[해평 윤씨]][br]{{{-3 아내}}} 덕은부부인 [[은진 송씨]][br]{{{-3 자녀}}} 9남 4녀[* 적자녀 4남 2녀+서자녀 5남 2녀]||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의 관료로 [[명성왕후]]의 아버지이자, [[현종(조선)|현종]] 말기부터 [[숙종(조선)|숙종]] 초기까지 [[한당(붕당)|한당]]을 이끈 관리이다. == 생애 == 1619년 경기도 가평군 잠곡 출생으로 아버지는 [[김육]]이다. [[인조]] 20년인 1642년, [[진사]]가 되었으며 7년 뒤엔 강릉 참봉과 세자익위사 세마(洗馬)로 관직을 시작했다. 1651년에 딸인 [[명성왕후]]가 당시 세자였던 [[현종(조선)|현종]]의 빈으로 간택이 됐고, 그 뒤 부솔, 공조좌랑를 지내다 우부승지, 가주서로 승진했다. 평시서령(平市署令), 공조좌랑, 공조정랑, 장악원 첨정(僉正), 부평부사(富平府使), 사재감첨정(司宰監僉正), 군기시부정(軍器寺副正), 예빈시정(禮賓寺正)과 제용감정(濟用監正) 등을 지냈다. 김육이 죽자 [[삼년상]]을 마친 뒤, [[한당(붕당)|한당]]의 영수가 되었다. === [[산당]]과의 갈등 === [[현종(조선)|현종]]이 즉위하자 국구로서 청풍부원군(淸風府院君)에 책봉과 동시에 당연 겸직인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로 제수되었다. 의원(尙衣院), 사도시(司導寺), 장악원(掌樂院), 빙고(氷庫)의 도제조직과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과 호위대장(扈衛大將)도 겸임했다. [[산당]]과 [[한당(붕당)|한당]]의 관계만큼 영수였던 [[송시열]]과도 사이가 좋지 않았다. 1674년에 대부복상문제(代父服喪問題)[* 아버지가 실성했을 때 그 아들이 상주가 되자 문제가 생겼다. 지금와선 [[예송논쟁]]과 비슷하게 보여 굉장히 쓸데없게 보이지만, 그땐 [[성리학]]의 교조화가 진행되었기에 유자들은 이런 것에 목숨을 걸었다.]가 부상하고 [[남인]]과 [[서인]]의 대립 때 [[허적]]의 의견에 동조해 외서내남(外西內南)이라는 평을 불러왔다. 사실, 송시열의 스승인 [[김집]]은 자신의 아버지를 대표하는 키워드인 [[대동법]]을 반대해 [[김육]]과 갈등을 빚었다. 그런데 김육의 장례식 때 국왕만 쓸 수 있는 수도(隧道) 사용에 대해 지적하자, [[민유중]]이 탄핵을 했다. 이 사건들을 거치며 김우명의 반송시열, 반산림 이념은 강해졌다. 그 뒤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다시 제수됐고, [[예송논쟁]] 때 [[남인]] 측을 지지하며 [[탁남]]인 [[허적]]과 협력하여 송시열과 산당을 공격했다.[* 여기선 숨겨진 사정이 있다. [[송시열]]은 한당 계열이면서 능력 있고, 왕의 신임도 받는 그의 형 [[김좌명]]과 손잡으려 했으나, 때맞춰 그가 죽어버리는 바람에(...) 실현하지 못했다.] === [[숙종(조선)|숙종]] 즉위 후 === [[숙종(조선)|숙종]] 즉위 후, 숙종은 아버지 [[현종(조선)|현종]]과 비슷한 산당에 대한 접근법을 가지고 있어 외척이자 외조부인 김우명을 포함한 [[청풍 김씨]]는 신뢰를 받았다. [[인평대군]]의 세 아들인 [[복창군]]과 [[복선군]], [[복평군]](이른바 삼복)은 그와 그의 가문만큼이나 신뢰를 받았으나, 그의 딸이자 대비인 [[명성왕후]]는 역시 같은 생각을 공유하는 아버지인 그에게[* 그 역시 [[송시열]]을 밀어내는데 앞장섰지만, 종친들이 권력을 가지는 것은 용납하지 못한다고 느꼈던 것 같다.] 부탁을 한다. 그해 2월 삼복 중 복창군과 복평군을 탄핵하는 소를 올렸으나, 관련자들이 모두 부인해 어영부영 넘어갔다. 이를 [[경신환국#홍수의 변|홍수의 변]]이라 한다. 이 사건으로 인해 [[허적]]과 [[윤휴]]와 갈등이 생긴다. 결국 김우명은 종친들을 무고한 사람이 되어 [[남인]]으로부터 지속적인 탄핵을 받았다. 모든 관직을 사임한 뒤 홧김에 술만 마시다 2개월 뒤 사망했다. 무덤은 당시 [[춘성군]], 현 [[춘천시]] 서면 안보1리 산25-1에 있다. 사후에는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시호 충익이 추서되었다. 숙종이 내린 시호 증시 교지는 후일 청풍부원군김우명상여(중요민속자료 120호)와 김우명영정과 함께 그의 12세손 김성구가 [[국립춘천박물관]]에 기증하였다. 그의 후손 중에서는 [[명성왕후]] 외에도 [[정조(조선)|정조]]비 [[효의왕후]]가 또 한번 배출되었는데, 효의왕후의 친정아버지 김시묵은 그의 아들 김석연의 4대손이었다. 그의 또다른 후손들 중 일부는 몰락하여 강원도 춘성에 정착했는데 후일 일제강점기의 소설가 [[김유정(소설가)|김유정]]의 선조가 된다. == 가족 관계 == * 부 : 문정공 [[김육]](文貞公 金堉) * 모 : [[해평 윤씨]](海平 尹氏) - 윤급[* [[윤두수]]의 장남 윤방(尹昉)의 4대손](尹汲)의 딸 * 형 : 청릉부원군 [[김좌명]](淸陵府院君 金佐明) * 형수 : [[평산 신씨|신지강]](申止康) - [[정숙옹주(선조)|정숙옹주]]의 4녀 * 조카 : 청성부원군 [[김석주]](淸城府院君 金錫胄) * 조카 : 조현기(趙顯期)에게 출가 * 누나 : [[청풍 김씨]](淸風 金氏) * 매제 : [[창원 황씨|황도명]](黃道明) - [[복창군]]의 장인 * 정부인 : 덕은부부인 [[은진 송씨]](德恩府夫人 恩津 宋氏) - 송국태(宋國澤)의 딸 * 장남 : 김만주(金萬周, 1639 ~ 1657) * 며느리 : 숙부인 [[여흥 민씨]](淑夫人 驪興 閔氏) - 좌랑 민임(佐郞 閔恁)의 딸 * 손자 : 김도제(金道濟) - 3남 김석연(金錫衍)의 장남 * 장녀 : [[명성왕후]](明聖王后, 1642 ~ 1684) * 차남 : 김석익(金錫翼) * 며느리 : 정부인 [[파평 윤씨]](貞夫人 坡平 尹氏) - 윤협(尹埉)의 딸 * 손자 : 김도영(金道泳) - 3남 김석연(金錫衍)의 3남, [[효의왕후]]의 증조부 * 손녀 : 홍중행(洪重行)의 처 * 3남 : 숭록대부 김석연(崇祿大夫 金錫衍) * 며느리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이정한]](李挺漢)의 딸 * 며느리 : [[함종 어씨]](咸從 魚氏) - 군수 어상준(郡守 魚尙儁)의 딸 * 손자 : 김도제(金道濟) - 장남 김만주(金萬周)의 양자로 출계 * 손자 : 김도함(金道涵) * 손자 : 김도영(金道泳) - 차남 김석익(金錫翼)의 양자로 출계, [[효의왕후]]의 증조부 * 손자 : 김도협(金道峽) - 4남 김석달(金錫達)의 양자로 출계, [[박문수]]의 장인 * 손자 : 김도흡(金道洽) * 손자 : 김도택(金道澤) * 4남 : 김석달(金錫達) * 며느리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인평대군]]의 손녀이자, [[복녕군]]의 딸 * 손자 : 김도협(金道浹) - 3남 김석연(金錫衍)의 4남, [[박문수]]의 장인 * 차녀 : [[안동 권씨|권익흥]](權益興)에게 출가 * 첩부인 : 홍씨 - 예영[* [[허견]]의 처]의 언니 * 서장남 : 김석구(金錫耉) * 첩부인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이필달[* [[효령대군]]의 3남 보성군 이합(寶城君 李㝓)의 후손](李必達)의 딸 * 서차남 : 김석제(金錫悌) * 서3남 : 김석순(金錫順)